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목적과 추진전략에 맞추어 사업계획 초기단계에서부터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는 지표를 살펴보고,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심성 분석결과 중심지구내 계획이 500m구간 내에 설정되어 집중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지구는 전라남도 옥곡면과 성전면지구와 충남 금산읍지구의 사업들이 집중도가 높게 설정되어 추진되고 있다. 둘째, 하드웨어사업비와 소프트웨어사업비를 년도별로 살펴보면, 기초생활사업비는 전체사업비의 50%이상을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지역경관개선사업비는 지속적으로 20%아래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역량강화사업비는 사업의 유지 및 성장동력으로서 지역주민들의 역략강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셋째, 기초생활기반확충의 하드웨어사업 예산이 비중이 높으므로 증가할 경우 자연히 타사업의 예산이 줄어들고 있다. 사업목적의 성취를 위하여 역량강화사업의 활성화를 꾀하여야 하나 오히려 시행계획단계에서 역량강화사업비가 줄고 있다.
        4,0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4,000원
        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농업은 각종 FTA, 고령화, 벼농사 가격하락 등 다양 한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 으로 시설원예를 통한 농산물 생산이 주목받아 2010년 이 후 농업에서 원예산업이 약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러한 원예산업은 국내 농업분야에서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 해 시설원예의 규모화, 단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새만금을 비롯한 간척지 사업에 적용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태 적 서비스의 제공은 인간사회에 필수적으로 필요요소 이지 만, 농업경관에서 시설원예단지 조성은 불투수면적 확장과 생물서식처 손실로 인해 생태계서비스 기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최근의 시설원예단지 개발은 대규모, 에너지 고효율에 초점이 이루어져 있어 농업경관 안에서의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고려사항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설원예단지 조성 시 고려해야할 생태계서 비스 기능 분석 결과 수자원함양(Groundwater recharge), 지 표수저장(Water storage), 양서파충류 서식처(Amphibian & Reptile habitat), 수서곤충 서식처(Aquatic insect habitat), 홍수조절(Flood control), 수질정화(Water purification), 조 류 서식처(Avian habitat), 경관창출(Creating landscape), 식생다양성(Vegetation diversity), 체험/생태교육(Experience, Education), 생물학적 방재(Biological control), 어류 서식 처(Fishery habitat), 기후순화(Climate regulation), 포유류 서식처(Mammal habitat), 대기정화(Air quality regulation), 유전적 다양성 보존(Mainenance of genetic diversity), 휴식 제공(Rest area) 순으로 분석된 바 있다. 그 중 경관창출 기 능은 논, 밭, 산림, 가옥 등 농업경관이 가지는 본래의 특유 경관으로 쾌적하고, 자연적이며, 밝고, 좋고, 친근감 있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설원예단 지 운영의 경우 경관에 대한 고려 없이 적재물, 폐비닐, 연료 통 등이 질서 없이 방치되고 기존 농업경관과 다소 조화롭 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단지의 생태계서비스 기 능 중 경관창출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사례 에 대한 경관이미지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 구를 통해 농촌지역의 경관을 아름답게 유지, 개선하고 앞 으로 조성 될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 시 경관창출이 가 능 할 수 있도록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국내 온실 분포현황을 고려해 대표적 시설 원예단지인 비닐하우스(Vinyl Greenhouse : v), 유리온실 (Glass Greenhouse : g)로 구분하였다. 비닐하우스단지는 충남 부여군 세도면에 위치한 토마토 재배단지를 선정하고 비교를 위해 일본(Japan : J) 후쿠오카현 원예단지 경관을 선정하였다. 유리온실은 국내(Korea, K) 최대 규모로 알려 진 구미 옥성리 화훼단지 경관을 선정하고 네델란드 (Nederland : N) Berkel en Rodenrijs 지역 유리온실 경관과 비교하였다. 경관 평가는 형용사를 활용한 어의구별척으로 실시하였다. 형용사 선정은 농업, 농촌, 경관과 관련된 대표 적인 선행연구인 KRCC(2007), Jo et al.(2012), Son et al.(2011), Kim et al.(2009), Yoo et al.(2000), Kim & Kim(2010), Joo & Lee(2012), Yoo et al.(2009), Lee(2005), Sin(2006) 등 총 10개 분석하여 사용빈도가 높고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사진 슬라이드는 연구대상 지역별로 3구역을 선정하였다. 평가는 2015년 10 월에 단국대학교 조경학과 3학년 51명, 경상대학교 생물산 업기계공학과 3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101명의 답변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평가결과 국내 비닐하우스 경관(Kv)은 인공적이고(-0.75), 갑갑하며(-0.50), 생명없어(-0.23) 보이는 등 대체로 부정적 인 결과로 분석 된 반면, 일본 비닐하우스 경관(Jv)은 조용하 고(1.38), 넓으며(1.24), 정돈되고(1.33), 쾌적한(1.31) 등 모 든 형용사에서 긍정의 이미지 평가 결과로 분석되었다. 구미 옥성리 유리온실 경관(Kg)은 넓고(0.66), 정돈되고 (0.57), 평화로운(0.49) 등의 긍정의 이미지로 분석되어 국 내 비닐하우스 경관 보다는 평가 결과가 높았지만 인공적이 고(-0.16), 생명없는(-0.10), 정감없는(-0.20) 등 부정의 이미 지를 포함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네델란드 유리온실 경관(Ng)의 경우 네가지 유형 중 가장 이미지 평가결과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설원예 단지의 경관을 위해 비닐하우스 유형은 일본을 유리온실 유형은 네델란드 형태로 개선을 추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비닐하우스 경관 보다 는 유리온실 경관이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비닐하우스 경관 에 대한 개선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분석을 통해 전봇대, 기름통 등의 가변요소, 녹시율, 도로폭 등을 분석하여 시설원예단지 경관 개선 및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자 한다.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획 대상지가 위치한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 1리는 주변에 수려한 자연경관과 농업환경, 산업단지 등 다양한 자원요소가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북면의 면사무소가 위치하고 있어 지역의 대표이미지를 결정하는 상징적 의미가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방문객들에게는 통과지역으로만 인식되고 내부적으로는 면소재지임에도 불구하고정비되지 않은 가로경관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공간의 부재 등은 애향심과 삶의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대상지의 마을환경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위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마을 만들기, 지역의 정체성 확립 및 주거환경의 쾌적함 창출, 합리적이고 입체적인계획수립이라는 목적을 설정하고 기본계획내용을 수립하였다. 본 계획을 통해 북면소재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semination process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results has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typical R&D results.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adequately considered on the basis of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performance system, the resulting management plans, and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results of agricultural R&D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exposed the problem of the inadequat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areas, particularly the lack of unified R&D-related institutions and the inadequacy of the system to monitor outcome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in the agricultural R&D programs in Korea, the policies pertaining to agricultural R&D performance, results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the U.S. and Japan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we proposed strategies to improve the agricultural R&D policies in Korea.
        6,900원
        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4,000원
        1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 Geumsan. The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ree villages of Geumsan in 2018 and total 96 residents had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usually have interests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t demographic factors. It is interesting that active interaction among residents during the projects and satisfaction on process are important factor for overall project satisfaction. For successful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In addition, more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foster residents’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13.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is irregular in the amount of generated and runoff. About 70% of the water pollution sources in Korea are NPS. Most of the rural areas are small towns with less than 50 families. This is where sewerage supply is poor. This is where the domestic swage of the house flows directly into the small stre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domestic swage. And investigated NPS for public officials. We have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here. Local government officials lack the concept of NPS. Rural residents also do not know about NPS. Therefore, we proposed NPS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linked to public administration. This is an extension of the national budget and interest. The domestic swage is discharged at about 272 liters per day in a house. We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small facilities. If the capacity remains, it is suggested to link to cattle shed, pigsty and so on. The BOD, COD, TN, TP, and SS concentrations were all high. This suggested a reduction in concentration in combination with natural water. Finally, NPS facilities were proposed to be put into rural areas. And it was determin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was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applied to NPS management.
        1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it was reorganized as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nature of the project was changed to solve long-time aspired projects of some districts unlike various proje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projec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vitalization project plans and operation monitoring to make rural center villages, establishes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monitoring. With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with centrality analysis for long-term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the analysis on the 8 districts' centrality analysis and the function of the master pl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ut there is not enough interrelation. Regarding the consulting methods for weak districts to activate facility operation after the project is implemented, the field consulting performed by the collaboration of Gyeongsangnam-do government, Gyeongnam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and Gyeongnam branch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hows 87.6% of satisfaction level, which indicates it is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ethods on resident demand survey, dimension and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project when preliminary plans are establish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standards not to change preliminary plans excessively during the master plan establishment process, and to oblig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experts. The joint monitoring and consulting systems of exper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pplied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master plan, so that it can be sustainabl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1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ore reasonable and efficient development plans to engage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n rural areas. To survey university students, residents, administrators and experts involved in such projects on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is regard, SWOT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llowed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evaluate their relative importance,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WOT group was in the order of opportunity, strength, threat, and weakness. For each SWOT fact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engths was in the order of students’ aspiration and passion, availability of creative ideas and designs, and improved attachment to their community. The relative importance of weaknesses was in the order of the lack of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short preparation periods and insufficient budgets, and the lack of experience in similar projec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opportunities was in the order of young students’ activity itself being a boost factor to the community, students’ endeavors arising a consensus among residents, and students feeling a sense of duty as representatives of their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reats was in the order of projects being one-shot, temporary events, immaturity, and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To draw an overall ranking of the sub-factors evaluated, the overall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cision-making factors was evaluated. Among the sub-factors for each SWOT group, young students’ activity itself being a boost factor to the community as an opportunity factor was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while the lack of experience in similar projects was shown to be the least important as administrators and experts made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each stage.
        16.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entral place improvement projects, this study classifies subject residents into two groups of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target regions and those of surrounding villages, and conducts ver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Variety of cultural programs is the only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target region, and it has been analyz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that a one-unit increase in securing rest areas lower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surrounding villages. This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central place improvement projects currently promoted is at a low level, and there is also a risk of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in the target region and those in surrounding villages.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shows that a method to provide the residents in surrounding villages with the project-related information and to guarantee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enhance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surrounding villages. Theref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reflecting this need to be made.
        1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n result, They evaluated that the agriculture development institutes very well progressed pest management researches in principle. However, some chronic bottleneck problems still existed such as pesticides resistant pests, lack of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designing proper direction,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ated preferently.
        1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urism is oft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industries to promot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 small South Pacific islands countries. In Fiji, this was recognized in the 1960s, and resulted in large-scale resort based tourism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While tourism has obvious advantages to the economy, a lot of problems such as exclusive foreign control of the main hotels and resorts, considerable overseas leakage of earnings, the limited participation by indigenous resource owners, and localized environmental damages to reefs and mangroves are emerging.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t is needed to set growth objectives and targets for tourism in terms of benefits to Fiji, and to concentrate support on ‘Rural Tourism’ such as community-based tourism that have lower leakage and put more into local economies. Through case study in this paper, to develop rural tourism at the local level, several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1) to introduce various rural tourism programs such as experiencing Fiji’s traditional cultu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picking fruits and harvesting agro-products, 2) to enhance aggressiv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3) to build the capacity of local commun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ourism services, and 4) to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tourism business such as road accessing, water supply and disaster prevention.
        1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basic research logic stating that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rural housing plot's boundary barriers should call for the integrated consideration of their on-and-around installing settings, this study tries to analyse characteristics of installing environment of boundary barriers for improvement works of th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screening process, 3 influencing and appraisal factors were determined: main house-boundary barrier shortest distance as on-site factor, building coverage as inside one, and attached road width as outside one. 21 study villages were subgrouped into structurally improved(9) and not(12). 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has varied very much, i.e. in some cases it is positive or complementary, but in other cases, negative or crossed. Therefore this study would propose that differentiated and flexible strategies with integrated consideration of on-and-around site installing settings be applied in their improvement projects rather than village-wide unified or straight forwarded ones.
        2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urism service quality is the lifeline for the survival of tourism enterprises , which is the core embodi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tourism enterpris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ourists perceived value,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quality of rural tourism of Shandong province, it indentified the effect factors of tourist service quality from two research perspective: the impact to the expectations before the tourists travel process and the experience during tourists travel the process. And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s existing in the rural tourism service of Shandong province, it put forward the relative countermeasures. Key Word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