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유학 중인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중국유학생 208명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 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동기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둘째,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 였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 과는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를 검토하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 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둔다.
        6,300원
        7.
        202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스타일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 이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세~5세 유아의 부 모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권위적 양육스타일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유의 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조절능력은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주의적 양육스타일 또한 사회적 기술에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이 역시 정서조절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허용적 양육스타일은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직접효과가 정서조절능력을 포함한 회귀모 형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매개효과가 성립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능력이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 관계를 매개하는 핵심 심리적 기제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 회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 및 정서지도 개입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며, 양육스타일과 정서조절능력 간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의의가 있다.
        5,200원
        8.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국적기업은 다양한 국가의 직원들이 협력하여 운영되는 조직으로, 조직일체감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 이다. 이 과정에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직원들 간의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다 국적기업 자회사에서 현지직원은 외국인 임직원과의 사회적 접촉을 통해 본사와 자회사 간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하는 현지직원의 외국인 임직원과의 사회적 접촉이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본사국과 현지국 간의 문화적거리 및 경제적거리가 이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살펴 보았다. 한국 내 23개국 출신으로 구성된 52개 다국적기업 자회사에서 근무하는 현지직원 4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임직원과의 사회적 접촉이 현지직원의 조직일체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본사국과 현지국 간의 문화적거리는 외국인 임직원과의 사회적 접촉과 조직일체감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사국과 현지국의 경제적거리는 외국인 임직원과의 사회적 접촉과 조직일체감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국적 기업이 자회사 현지직원의 조직일체감을 강화하기 위해 본사국과 현지국 간 문화적 특성과 경제적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커뮤니케이션 및 접촉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7,700원
        1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려동물은 점차 인간 삶의 중요한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반려동물 상실과 이에 따른 애도에 주목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상실은 다른 상실과 달리 대개 그 부적응이 오래 지속되는 복합 애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vs.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하며, 이는 반려인이 자신의 상실 경험을 타인에게 제대로 이해받지 못한다고 여기게 만드는 일종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즉, 반려인의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이들의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회복을 저해하고 복합 애도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초기 상실 이후 적응을 방해함으로 써 그 충격이 복합 애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상실의 충격과 복합 애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상실 충격으로 인한 복합 애도는 사회적 제약을 크게 지각할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경험과 애도를 이해하는 데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인식 변화 및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4,600원
        15.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ginal third places concept conveyed the offering of much-needed settings for social comfort, thereby complementing the absence of equal opportunities at home (1st place) or in the workplace (2nd place). 3rd place is a crucial term to connect customers’ social needs, perception of service encounters, and the service provider’s managerial operation. Following the Covid-19 outbreak, various distancing forces have impeded previously intense social interactions featuring human-human contact. The increased use of contactless services and social distancing measures has impacted these. Such measurements refer to mandatory actions to maintain a fixed physical distance from others (i.e., two meters or six feet) via seating arrangements or suggested signage. While such compliance practices successfully limited the spread of Covid-19, they were also a signal of regulated behaviors and acceptable personal boundaries. The current study addressed this question by conducting experiments in three scenarios: a café, restaurant, and sports stadium. Following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typology, the three represent a passive absorptive experience, an active absorptive experience, and an immersive experience.
        16.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consumers with high (vs. low) usag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prefer NFTs representing a partial but the only digital piece (vs. one of the limited digital copies) of artwork. NFT uniqueness is identified a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SNS usage effect on NFT preference.
        4,000원
        17.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social media influencers (SMIs) have brought dramatic shifts to the marketing trend. Apart from product endorsement and ad campaigns, they are increasingly hired by brands for promoting social causes including Black Lives Matter movement, COVID-19, and LGBTQ+ issues owing to their perceived authenticity and expertise (Open Influence, 2022). As such, brands promoting social causes to take ethical obligations to the society, namel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become an indispensable business practice (McWilliams & Siegel, 2001). Accordingly, past studies revealed that SMIs’ capability of creating authentic connection with target consumers and the fact that stakeholder awareness and authentic motives are pre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CSR initiatives can create a synergic effect (Yang et al., 2021).
        4,000원
        18.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s consumption of meat alternatives. In response to rising demand, many brands add meat alternative options to their offerings (e.g., Impossible Whopper from Burger King, McPlant from McDonald’s). Consistent with this trend, a growing literature explores how to encourage consumers to reduce meat consumption and increase acceptance of meat alternatives. However, there are two major limitations in literature. First, most studies in this area do not employ real behavioral outcomes as the focal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we cannot be certain that such findings can be extrapolated into real-world settings. Second,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focused on cognitive factors in investigating acceptance of meat alternatives. Hence, there is a need to attend more to affective factors when investigating how we can advertise meat alternativ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regulatory mode (a motivational factor) and positive emotion (an affective factor) for driving social media engagement in advertising meat alternatives. Regulatory mode theory posits that consumers engage in goal pursuit by adopting locomotion (a motivation to “just do it”) and assessment orientations (a motivation to “do the right thing”). We propose that different, discrete positive emotions could interact with regulatory mode to create “fit” effects. Specifically, the fit between assessment orientation and the emotion of awe, and between locomotion orientation and the emotion of love will lead to increased social media engagement.
        19.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pre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affects social fairness and selfish monetary decision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lockchain technology enhances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 study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make less selfish decisions when blockchain is present. To test these predictions, the study conducted three experiment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dictator game scenario where participants decide how to divide a sum of money among themselves. In Study 1,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and allocated more to the third player when blockchain technology was present,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under the blockchain-presence condition. The medi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social fairness mediates the effect of blockchain technology on monetary decisions. Study 2 replicated Study 1 with real monetary incen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Study 3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irst player's allocation on participants' behavior und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blockchain technology can positively influence social fairness and reduce selfish monetary decision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blockchain developers to design and implement blockchain systems that promote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reby enhancing social fairness.
        2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정서지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인인 정서인식명확성이 노인들의 낮은 사회적 상호작 용 불안을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노 인 21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자존감,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 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정서인식명확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매개분석 결과, 자존감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매개한 반면, 자기효능감은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즉,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개인의 자존감을 높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줄이지만, 이러한 매개효과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노년기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는 명확한 정서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특히 건강한 자기 개념 중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높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