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 내 치유농장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경남지역에 적합한 치유농장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37개 치유농장 중 62.1%는 기존에 교육농장, 사회적 농업 거점농장, 농가 맛집, 체험농장 등으로 운영되다가 3년 전부터 치유농업을 도입하여 현재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농장 시설의 경우, 숙박시설이 있는 농가는 40.5%, 예약제로만 운영되는 농가는 59.5%,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마련된 농가는 48.6%로 나타났다. 또한, 응급 처치 및 안전 관련 용품은 100%의 농가에서 비치하고 있었고, 치유농장 홍보는 SNS와 온라인을 이용하는 농가가 84.1%로 가장 많았다. 예방 중심형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농가는 76.2%였고, 개인보다 단체 참여 비율이 86.3%로 높게 나타났다. 치유 프로그램 운영자는 치유농업사 양성기관 교육을 이수하거나 치유농업 시설 운영자 교육 이수자 또는 치유농업사 자격 소지의 농장 경영주가 59.6%로 가장 많았으며, 1회당 참여 인원은 11명에서 20명까지가 43.2%, 1회당 운영 시간은 120분이 51.4%, 참가 비용은 1만원에서 3만원까지가 71.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활용 자원으로는 식물 자원이 48.6%, 농촌 환경 문화 자원이 39.2%, 동물 및 곤충 자원이 12.2%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치유농장 운영자의 전문성은 4.48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유농장 자원 중 환경 자원은 4.37점, 편의시설은 쾌적하고 청결한 환경 4.13점, 기타 부가서비스는 농장의 신뢰성이 4.45점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효율적인 치유농장 운영에 있어 치유농장 운영자의 전문성, 친밀감·편안한 분위기, 자연경관, 편안하고 안락한 시설, 농장의 신뢰성 요소는 서로 상관관계(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농장방문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대상자에게 실시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2023년 6월 22일부터 9월 14일까지 주1회, 회당 3시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매 활동시 대상자들이 치유농장에 방문하여 다양한 원예활동과 농장 내 텃밭 정원을 가꾸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은 평균 연령 75.38세의 여성 노인 8명이었으며,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변화를 확인하고자 삶의 만족도, 고독감, 사회적지지 평가를 총 4회(사전, 4회차, 8회차, 12회차)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IBM SPSS 25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Friedman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의 정신건강이 증진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운영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국내외에서 발표된 치유농업 관련 분야의 실험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자원 및 치유농업과 관련된 논문은 총 103편으로,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 규모는 31명 이상, 총회기는 11~20회, 단위 활동당 시간은 60분 이내, 단위 활동간 간격은 주 1회, 기간은 2개월이 가장 많았다. 데이터 정보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논문기초정보와 그에 따른 데이터 정보 변인인 대상자 정보, 프로그램 정보의 유의한 연관성이나 차별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저자전공과 대상자정보·프로그램 정보는 대부분 항목에서 관계가 있었으나 저자소속, 발행연도, 논문구분, 치유유형 등은 1 또는 2개의 항목에서만 관계가 있었고, 종속변수 치유문제-중분류는 저자소속을 제외한 저자전공, 발행연도, 논문구분, 치유유형 항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치유문제-대분류는 저자소속과 발행연도를 제외한 저자전공, 논문구분, 치유유형 3개의 변인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유농업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여 치유농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농가에서 곤충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개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곤충 돌보기 중심의 치유프로그램과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야간 곤충채집 활동을 치유농업프로그램으로 개발하 고 시범 적용하였다. 야간곤충채집 활동은 대학생 9명에게 사전에 참여 동의를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학술림(장성)에서 1박 2일간 진행하였다. 18시부터 24시까지 야간 채집 활동과 익일 오전에는 채집한 곤충을 이용한 곤충 표본 제작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활동 전), 중간(채집활동 직후), 사후(표본제작 직후)에 뇌파, 맥파 검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뇌파 분석 결과, 야간 채집활동 직후 뇌파의 기초율동이 향상(10.67→11.44)하였다(p<0.05). 요인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분석 결과, 내적 스트레스는 3.22(사전)→2.96(사후)로 감소(p<0.1)하였고, 문제 수행능력 관련 스트레스는 2.92(중간)→2.70(사후)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간 채집 활동 속에 서 이용되는 근육의 움직임이 뇌 기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자가 적은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령대별, 성별 등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채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곤충생태원에서 진행되는 진로체험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곤충 캠프, 파브르의 하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하였다. 참가자는 전주시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중학생 16명이며, 야간시간(19:00-23:00)대에 활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전에 보호자로부터 참여 동의를 획득하였다. 야외 활동은 각 개인별로 랜턴과 채집 도구를 지참하였으며, 4-5명씩 한 조를 이루어 담당 교사와 보조 교사가 동행하였다. 주된 활동은 야간등화, 통나무 무더 기, 야생의 서식지, 미리 설치한 곤충 트랩 속 곤충 찾기, 스탬프 미션활동 등으로 구성되었다. 실내활동으로는 곤충 동정하기, 곤충 관찰 수첩, 나만의 곤충도감 만들기 등을 진행하였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전과 끝난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12.8세이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향상(3.34점→3.61)과 진로인식 향상(3.40점→3.66)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p<0.05). 야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기는 하지만, 참여자의 재참여 의도가 90점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에, 향후 추가적인 연구 및 새로운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치유농업활동이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효과가 있 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22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에 11명씩 최대한 동등하게 배정한 다음 활동 후 얻은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 점수를 비교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실험집단은 1일 1회 7일간 ‘수확의 기쁨’ 제목의 치유농업활동을 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간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조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의 경우 활동 후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셋째, 적극적 대처행위를 더 빈번하게 소극적 대처행위는 덜 빈번하게 사용하 였고, 넷째, 직무만족도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치유농업활동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요양보호 사들의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용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 산업의 분류체계 구축을 통해 치유농업 산업의 범위에 근거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치유농업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반영하여 특수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통해 치유농장을 대상으로 운영 및 경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치유농업의 산업적 구성과 비중을 분석하였다. 국내 치유농장의 사업 비중은 전체 매출액 중 치유농업 산업이 47.8%, 투입재 산업 40.4%, 파생 산업은 11.9%를 차지하였다. 소분류기준 매출액이 가장 많은 분야는 공동체 서비스 교육, 정신적 재활치료, 치유농업 농산물 재배업 순이었다. 치유농장의 81.1%가 치유농업 운영을 위해 시설을 건설하였는데 그 종류로는 조경 및 공원, 녹지 조성이 77.9%로 가장 많았다. 한편 매출액이나 종사자 규모로 살펴본 결과, 국내 치유농장은 매우 영세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치유농업 산업이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써 도입되고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산업 현황자료로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향후 치유농업의 효율적인 사업경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한편 치유농업법에 따른 정기적 실태조사 추진의 방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치유농업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모집단은 치유농업육성 시범사업에 참여한 173개소의 농장으로 하였으며, 2019년을 기준으로 치유농업 사업을 운영한 농장 중 설문에 응답한 곳은 106개소였다. 조사 결과, 치유농장에서 운영한 프로그램의 개수는 농장당 평균 3.8개였다. 프로그램 운영 기간은 4∼10월에 집중되었다. 대부분은 요일에 관계없이 주중, 주말 모두 운영하였으며 시간대는 주중과 주말이 유사하게 10시에서 16시까지 운영하는 곳이 많았다. 이용객 비중은 단체가 69.1%, 개인이 30.9% 이었으며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자원은 식물이 58.8%로 가장 많았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초/중/고 청소년이 69.8%로 가장 많았으며, 특성별 기준에서는 일반인이 70.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프로그램 1회당 정원은 평균 26명이었고, 연간 평균 진행 횟수는 19회, 연간 평균 참여 인원은 450명 수준이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 다양화나 대상자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좀 더 심화된 사례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 치유농업이 관심이 많아지고 농촌지역의 활성화의 일환으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치유와 농사가 결합 된 것으로 치유농업을 다양한 동물군을 활용하여 국민들을 심신을 치유하고 건강을 증진시켜주고 있다. 다양한 동물군 중 곤충과 관상어는 다른 동물군들에 비해 비교적 대중의 관심과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곤충과 관상어는 다른 동물들에 비해 남녀노소 구분 없이 관리가 쉽고 기르는 비용이 적고, 공간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이점이 있고, 또한 전염병 및 기생충 등과 같은 질병의 감염에도 비교적 안전하다. 선행연구들 로 하여금 대상자들이 곤충과 관상어를 돌보고 관찰함으로써 스트레스, 우울감, 불안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감소하고, 자아성취감, 자존감 등의 긍정적인 감정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보고 되었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다른 해외 시장과 같이 국내 곤충과 관상어 산업의 활성화 및 곤충과 관상어를 활용한 치유농업 프로그램들이 증가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eeds and operational status for care farming of education or experience farms i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made up of 38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mong owners in education and experience farms (total 264 sites) in Seoul and nine provinces in September 2017. A total of 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response rate was 44.6%. As the results, the purposes of farm operation reported as experience (85.9%), education (79.5%),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67.9%), and healing (47.4%). Main visitors in education and experience farm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89.7%), adults (51.3%), and families (46.2%). A farm activity program was mainly provided by a one-time experience using crops (69.2%), animals (16.7%), and food processing activity (10.3%). Fifty percent of the responding farmers receiv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such as public relations (32.5%), operational funding (32.5%), and management consulting (15.0%). The lack factor of operating in farms was lower profit system (24.4%), poor farm infrastructure (21.8%), and lack of promotion and marketing ways (16.7%). 97.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very necessary’ and ‘necessary’ of care farming. Specifically, the care farming service reported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children and adolescents (55.1%) and people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15.4%). The present study is anticipated to offe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are farm and provides reference data of the policy suggestion for care farming setting i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of farms in South Korea which provide care farming activities in order to develop and settle care farm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60 questions about resources, clients, management, background of establishment, budget, manpower, organization, etc.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 and phone interview in the period of July to August, 2016. Five farm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the results, each farm had a different size of land, about 744 – 39,670 m2. The farms were classified by different types of farming activities such as cultivating horticultural crops or cultivating horticultural crops and raising animals. The background of farmers was health, special education, social welfare or professional farmer. The income sources were from care farming programs, educational program, and crop produ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care farm were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y, adolescents, adolescents with behavior problem, adults, adults with mental disability or developmental disability, mental illness, dementia, addict, etc. The major activities in care farms were plant cultivating, harvesting, garden maintenance, cooking by using harvest, crop processing, waling in the farm, caring for animals, dealing with farm work equipment, and farming activity with local residents, etc. The participation duration was 25% for one-day experience, less than two weeks in a week, and more than six months, respectively. To settle and develop care farming of South Korea, the concept, clients, operation, professional manpower, policy, support, etc. sh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치유농업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유농업서비스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는 아동 용 느낌말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6년 4월 27일에서 5월 10일까지 서울, 전주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조시를 실시하고, 조사에 정확하게 답한 39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조사내용은 한국비폭력대화센터에서 제시하고 있는 느낌말 목록(162개,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71개, 욕 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92개)으로 제시하고, 정확히 알겠다. 보통정도다. 정확히 모르겠다의 3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목록 중 초등학생 80%이상이 알겠다고 답한 느낌말은 고마운, 즐거운, 행복한, 사랑하는, 감사한, 기쁜, 반가운, 신나는, 감동받은, 편안한, 재미있는, 따뜻한, 뿌듯한, 평화로운, 든든한, 여유로운, 용기나는, 가벼운, 당당한, 자신감 있는, 만족스 런, 차분한, 힘이 솟는, 진정되는, 활기찬, 안심이 되는 , 흥분된, 두근거리는, 긴장이 풀리는, 상쾌한, 포근한, 흥미로운, 기운이 나는, 살아있 는, 느긋한, 감격스런, 개운한, 짜릿한, 잠잠해진, 고요한, 흐뭇한, 평온한, 통쾌한, 들뜬으로 44개 느낌말로 나타났으며, 20%의 학생만이 알 고 있는 느낌말은 원기가 왕성한, 누그러지는으로 조사되었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의 목록 중 초등학생 100-80%가 정확히 알겠다고 답한 느낌말은 무서운, 걱정되는, 화나는, 힘든, 심심한, 슬픈, 놀란, 부끄러운, 짜증나는, 외로운, 겁나는, 답답한, 억울한, 두려운, 안타까운, 떨리는, 실망스러운, 지루한, 그리운, 서운한, 귀찮은, 불편한, 속상한, 긴장한, 우울한, 괴로운, 피곤한, 불안한, 지겨운, 민망한, 지친, 쑥쓰러운, 섭섭한, 열받는, 어색한, 질린, 신경쓰이는, 서러운, 오싹 한, 분한, 약오르는, 조마조마한, 멍한, 좌절한, 초조한, 절망스러운, 혼란스러운, 찜찜한, 허전한, 따분한, 섬뜩한으로 51개의 느낌말로 조사 되었다. 암담한, 곤혹스러운, 겸연쩍은은 20%미만의 학생들만 알고 있다고 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ublic recognition about the concepts and literary definition ‘curing, healing’ as a reporter for basic research to be able to use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erminology related to ‘agro-healing’. The public was aware that ‘curing’ and ‘healing’ are different, ‘healing’ is natural compared to ‘curing’, ‘do’ is for ‘curing’, ‘become’ is for ‘healing’. This is interpreted as ‘curing’ is active, ‘healing’ is ‘passive’ and natural processes manually. And also, ‘healing’ is required for those who do not have a problem and was recognized as priority access to psychological and social purposes. ‘Healing’ has the means to cure the sick and disease, and the target of ‘sick, disease’ include abstract and mental. It equals to literary defini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the ‘agro-healing’ in Korea, it will have to go to find the direction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purpose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with the medical approach. This study looked at with meaning and usage of english vocabulary. The area which is discussed as ‘agro-healing’ in Korea is expressed as green care’, ‘care farming’, ‘green care farming’, ‘social farming’, etc. in Europe. There are presented translation of the term differently for each schola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proposed as ‘agro-healing’ in final. How to use the english vocabulary may not be considered, but to develop the ‘agro-healing’ as science, brand name and industry internationally, which english brand name will be used should also be important. When we saw the meaning of many english vocabulary, including usage and discussion, the word ‘healing’ which means the healing in humans is considered the best goal-oriented and well known term that reflects the current social trends. when combined ‘agri’ which means the ‘land’ comes from the Latin word as a expression that encompasses rural resources with ‘healing’, ‘agro-healing’, it could be used as english name which has comprehensive meaning that is healing and rural resource utilization through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