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에 의한 검은콩의 최적 발효조건을 확립하고 발효된 검은콩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가정에서 제조된 배추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SU22는 병원성 세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고 생체 아민과 발암성 효소인 β-glucuronidase를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검은콩 발효의 스타터로 선정되었다. 검은콩은 5 kgf/cm2, 150oC로 조절된 팽화기에서 10분 동안 팽화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각각 10- 30% 혼합액을 만들고 L. plantarum SU22를 1%(v/v) 접종하여 37oC로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면서 유산균의 생육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산균의 생균수는 L. plantarum SU22 로 발효된 팽화 검은콩(20%) 배양액에서 9 Log CFU/mL 이상이었다. 20% 팽화 검은콩 배양액을 alcalase로 가수분 해한 후 L. plantarum SU22로 발효하는 것이 최적 조건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산균의 생균수가 10.30 Log CFU/ mL까지 증가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94.02 mg GAE/g)과 DPPH 라디칼 소거능(92.50%)이 비 발효 대조군(87.74 mg GAE/g, 83.14%)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검은콩을 팽화한 후 alcalase 처리와 L. plantarum SU22를 병행하여 발효할 때 바이오제닉 아민이 없는 검은콩 발효액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총 폴리페놀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기능 미래 식량자원으로서 이용 가치가 높은 밀웜과 검은콩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고, 밀웜 및 검은콩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기호성을 비교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밀웜의 첨가량을 0%, 10%, 20%, 30%로 증가한 쿠키와 밀웜과 함께 검은콩 분말 10%, 20% 를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관능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창율, 손실율은 밀웜만 첨가한 쿠키와 밀웜과 검은콩 분말을 함께 첨가한 쿠키 모두에서 밀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ABTS 측정 결과 밀웜 분말과 검은콩 분말을 첨가한 쿠키 모두에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쿠키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밀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여 밀웜 분말 30%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한 양의 밀웜에 검은콩 분말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밀웜 분말만 첨가한 쿠키 보다 총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밀웜만 첨가한 쿠키의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밝기(L 값)와 황색도(b 값)는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적색도는(a 값) 증가 하였고, 밀웜과 검은콩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적색도(a 값), 밝기 (L 값), 황색도 (b 값)가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 되었다. 쿠키의 조직감 측정결과 밀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 < 0.05), 검은콩을 함께 첨가한 쿠키는 강도가 강하게 나타나 밀웜 증가에 의한 쿠키 강도의 감소를 검은콩을 첨가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밀웜 쿠키의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기호성을 모두 향상하기 위해서는 밀웜 분말을 10%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being subjected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small black beans (Rhynchosia nulubili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retained bioactive compounds. Using uncooked, pan broiled, boiled, steamed, and pressure cooked beans, the inhibitory effects of MCF-7 cell migration were evaluated at protein concentrations of 40, 160, and 640 μm/mL, using the Boyden's chamber assay. All protein concentrations (40, 160, and 640 μm/mL) of pan broiled bean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59.83, 32.48, and 21.37%, respectively) in the rate of cell migration to the lower chambers (p-value less than 0.001). Estimated cell migration rates correlated to the exponential decay between experimentally measured cell migration rates and converted samples. The range of estimated cell migration rate for each 100 mg/mL of cooked sample was as follows: pan broiled (21.16%), boiled (22.48%), steamed (22.48%), pressure cooked (29.52%), and uncooked (35.03%) beans. Our study indicated that selective modifications of cooking methods for small black beans, such as pan broiling, amelior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CF-7 cell migration. This suggests that optimized cooking methods increase the nutritional contents of the cooked food.
        4,000원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know proper drying condition for making a safe Sunsik, uncooked food,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real dried by hot-air drying was investigated. As moisture content of 3 Sunsik samples was reduced to about 8%, protein, carbohydrate, fat and ash content of those was increased. But approximate composition of black bean, black rice and glutinous millete and black bean showed little changes during hot-air drying (30, 40, 50oC). Lightness (L value), redness (a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was increased after hot-air drying. In case of black rice and glutinous millet, b value and L value wasn't changed individually. When we measured a texture for 3 kinds of raw cereal for, hardness of dried cereals was lower than raw cereals. Hardness of dried cereals was increasd as dry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As results of mocrobiologicl experiment for 3 kinds of sunsik on hot-air drying conditions, total cell count was reduced 2 log - 3 log and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 wasn't detected except B. cereus.
        4,000원
        1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와 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붉은팥과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붉은팥 종피의 용액 추출 시 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에서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pH 조건에서는 pH 5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검정팥 종피의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5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3. 착액 추출 시, 붉은팥의 경우 pH 5의 전처리가 증류수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으며, 검정팥의 경우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증류수가 pH 5에서 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4시간 이상의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붉은팥 종피의 경우에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검정팥 종피의 경우에는 10mmol첨가가 20mmol 첨가보다 안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black bean using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B fermented and heat-treated black bean. Two LAB strains were selected by analysis of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identified a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CH9 an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U18 by 16S rRNA sequencing. Both strains showed similar or higher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GG, a commercial probiotic strain. The heat-killed cells of CH9 and SU18 strains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live cells. Fermentation of black bean (30%) treated with Alcalase using the two selected strains was found to be optimal condition, increasing viable cell count of LAB up to 10.8 Log CFU/g. During the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of Alcalase-treated black bean was notably increased with concomitant decrease in the pH. LAB fermenta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s well as total phenol content. In addition,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p<0.05) enhanced by heat processing (121C, 15 min) of the fermented product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LAB-fermented foods containing heat-killed probiotics.
        13.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14.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black-bean- Chungkukjang-added black food (SBCB) and soybean Chungkukjang (SC) extract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yields of the hot-water-and-ethanol SC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ot-water-only SC extracts,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thanol-only SC extracts.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and-ethanol SBCB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EDA values of the hot-water-and-ethanol SBCB extracts were higher in the 0.625~5.0 mL/mL extract concentr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those of the SC extracts were high in the 10 mg/mL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only SC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thanol-only SC extracts was higher at pH 1.2 than that of the hot-water-only SC extract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only SBCB extracts were higher in the 0.625 mL/mL extract concentr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reducing power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was high in the hot-water-only SBCB and SC extracts.
        15.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 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pH 값은 5.04~5.32로 시험구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원료 콩을 상압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가압이나 스팀보다는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4.26~7.72 mL로 나타났으며, 가압 증자한 검정콩 간장(4.26~5.61 m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압(7.32 mL), 스팀(5.99~6.96 mL)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원
        16.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후,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308.3∼925.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이나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의 총질소 함량이 아주 낮았고, 스팀증자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
        17.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키위와 무를 첨가하여 42에서 72시간동안 발효시킨 검정콩 청국장의 pH, 총산, 환원당, 질소화합물 및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검정콩 청국장의 발효중 pH는 증가하였고, 총산은 감소하였으며, 키위를 첨가한 검정콩 청국장을 제외한 시료구 모두 24시간 이후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24시간을 전후하여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검정콩 청국장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나머지 청국장은 비슷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24시간 이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