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차이니즈 디아스포라를 다룬 할리우드 영화인 「조이 럭 클럽」(1993)과 「크 레이지 리치 아시안」(2018)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두 영화가 동양을 각각 재현하는 방식과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조이 럭 클럽」속에 드러난 세대갈등과 정체성 갈등은 문명-미개화, 부유-빈곤이라는 이분법적 대립구조 에 입각해 묘사되고 있고 그 속에서 이민 2세대가 미국 사회에 적응하려는 욕망을 포착할 수 있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은 그러한 이분법의 틀을 넘어 ‘리치’와 ‘크 레이지’로 동양의 성격을 표현하고 오리엔탈리즘의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 영화로, 중 국계 싱가포르인을 차이니즈로 혼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정체성의 갈등에서 벗어나 확고한 미국적 정체성을 가진 차이니즈 디아스포라를 보여준다. 두 편의 영화가 동 양을 재현하는 상이한 방식은 일종의 오리엔탈리즘의 서로 다른 변주이며, 차이니즈 디아스포라가 미국 사회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관련된 것이다.
        5,700원
        4.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 가치, 충성도 간의 구조적인 모형과 효과 성을 검증하여 축구클럽들이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 유소년 축구클럽 회원의 학부모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37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 에 활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를 검증하는 내적일관성을 실시했 다. 또한 AMOS(ver. 20.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효과성과 유의 성을 검증하는 붓스트랩 BC법을 적용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 는 가치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가치는 충성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충성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충성도 간의 가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4,000원
        5.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성인학습자들의 동아리활동 경험에 대한 탐색연구이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들은 오프라인 일반대학의 학습상황과는 다른 독특한 정서적 경험을 하게 된다. 사이버대학의 중도탈락 관련 연구들은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느끼는 정서는 학습지속과 관련하여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성인학습자로서 예술동아리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은 이들에게 어떤 의미이며 그 경험이 어떻게 대학적응에 유의미한 변화로 이어지는지 이들만의 주관적인 인식과 삶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술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학습자들은 예술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습자 간 친교감과 예술의 치유적 기능 그리고 실제적 경험을 통해 소속감과 만족감 등을 느끼는 긍정적 정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목소리로 그들의 정서적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정서적 경험이 적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학습자 중심에서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다.
        6,300원
        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구단 소속 스타 선수들의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K리그 구단 소속 축구 선수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1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을 조사하고 배드민턴 활동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는 스마트 의류를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서, 스포츠는 생활체육으로 친숙하게 접하고 있으며, 점차 동호회 형식으로 발달되고 있다.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은 많은 스포츠 상해가 있으며, 특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발목 부상은 스포츠 참여를 방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발목 부상을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예방 하는 스마트의류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특성 및 고려사항, 그리고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스마트 의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들과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 전문가의 대상으로 스마트의류 사용에 따른 문제 및 사용자 평가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사용자 평가 항목들을 통하여 스마트의류의 사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넷째, 발목 상해를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방지하는 스마트의류 프로토타입을 사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스마트의류를 통하여, 스포츠 상해 예방에 도움이 필요한 배드민턴 동호인들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그들의 상해와 건강 상태를 가상 게임의 아바타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상 게임 시스템은 스포츠의 상해 및 건강에 관련한 정보에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포츠용 스마트의류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부상을 예방하고 스스로 재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거나 스포츠 활동 또는 생체 신호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의류 디자인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ddie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golf caddies in Chin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olf caddie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nd China. Caddie education programs were collected from 4 golf clubs, 3 professional caddie education institutions and 8 public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nd 6 golf clubs and 2 professional caddie education institutions in Chin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lthough the caddie training in China is conducted over more time and term than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have an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golf expertise and quality of customer service. Therefore, the caddie education program in China is composed of golf related education(golf etiquette, golf practice skill), caddie duty training(safety management, customer service and image making), and training for caddie(fitness management, injury prevention, skin care, and cost-saving etc.). In the future, the Chinese golf club industry will has a potential to develop. In order to provide a consistent and systematic education, manual training on caddie education and training on caddie master to manage caddies should be conducted.
        4,000원
        1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육에서 쉽게 다룰 수 있는 소형 망원경과 DSLR 카메라를 활용하여 산개성단을 관측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천문학자들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산개성단까지의 거리를 탐구할 수 있는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교육에 적합한 과학 동아리 활동 수업 자료와 교사용-학생용 학습 콘텐츠를 개발했다. 지구과학 교육과 천문학 분야의 전문가(교사) 6명이 패널로 참가하였고, 패널들 간의 상호간 신뢰도를 구축한 후,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했다. 총 10차시 수업자료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CVI. .89)와 현장 적합성 정도(리커트 5점 척도, 4.17) 검사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검증 결과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패널들의 의견 반영과 델파이 분석으로 개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정-개선하여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천체 동아리 학생들(N=9)을 대상으로 시범적 예비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4.48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의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천체 탐구의 융합교육 활동으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우주와 천체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 탐구 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on football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Eight subjects performed Biodex and sling exercises for four weeks and compared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of the uninjured and injured feet. Stable and unstable foot % MVIC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in all muscles. The total balance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creased only in the unstable side. The anterior/posterior balance ability also re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the unstable side. The medial/lateral balance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nd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the unstable side. This study suggests that sling exercise contributes to improving % MVIC, total balance ability, anterior/ posterior balance ability, and medial/lateral balance ability of the unstable side.
        4,000원
        1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private club members’ engagement of social media. Researchers selected private club members across the U.S. Participants (559 at a 20% response rat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club members’ perceptions of engaging with social media.
        1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eakfast Club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provide breakfast and nutrition education to students who require need breakfa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hanges 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among high-school participants of the Breakfast Club.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high school students (10 boys and 10 girls) via a focus group interview at each school. Experienced improvement and suggested future tasks from the experience of the Breakfast Club were categorized at three levels (themes): personal factor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The health belief, knowledeg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ffects of th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but the personal barriers need to be improved. At the school level, peer influence and school food policies were improved but some aspects of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and social norms need to be improv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home environment, such as family influence, and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were better after the program. The Breakfast Club changed not only personal behaviors but also the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4,000원
        14.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남부에 있는 소도시 소재 2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생 중인 92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지역 특화 주제를 정하여 운영하는 2개의 과학동아리 46명을 실험집단, 지역 특화 주제를 정하지 않고 일 반적인 수업을 운영하는 2개의 과학동아리 4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내용은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 중 과학적 태도와 관련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과학적 태도 의 평균점수가 동아리를 운영하기 전보다 향상되었지만 지역 특화 주제를 운영한 실험집단의 상승 폭이 통제집단의 상 승 폭보다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학교, 가정, 사회 상황에서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아리 운영 전후에 실시한 검사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지역 특화 주제를 운영한 실험집단에서는 가정과 학교 상황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현장에서 과학동아리를 운영하는데 있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4,000원
        1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문화 현안은 세계화로 인해 파급된 현상으로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현상 속에서 풀어야 할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우리의 시각은 다문화 사회가 자신의 삶에 미칠 영향력이나 자신 의 관심과 의미와 연결해서 해석하지 못하고 있어서 마치 외국인들을 위한 아니면 외국과 연관된 사람들만의 사 회라는 인식이 만연되어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을 다문화 감수성 교육이라고 규정하였다. 그 리고 세계시민으로 살아갈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성을 고 려한 다문화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체험 중심의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다문화 이해와 체험 활동 및 교류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면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공감과 소통의 능력을 신장하고자 하 였다. 또한 다양한 문화를 소유한 사회와 다양한 인종이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세계시민으로 살아가는 다문화 감수성을 함양하여 미래사회의 인재를 기르고자 하였다. 체험 중심의 동아리 활동으로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면서 다문화에 대한 학생들 의 인식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우선 다른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는 과정이 의미 있었다고 할 수 있 겠다. 차별과 편견을 극복하는 것을 시작으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성을 회복하고 함께 살아가는 세 계 시민으로서 개방과 통합의 자세를 갖게 되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특히 글로벌 규범을 바탕으로 글로벌 의식이 성장하고 소통과 협력의 역량을 개발하여 자신이 몸담고 살아가는 세상의 문제에 참여하고 세계 시민의 태도를 실천하는 성장 과정을 경험하였다.
        5,400원
        16.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advances in digital and social media technologies, sportswear and athletic shoe brands have provided more technology-based services to their consumers (Do et al., 2015).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direct-to-consumer (DTC) sales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DTC sales through social media and mobile technologies. In the case of Nik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TC sales has been increased over the last few years in comparison to the sales to wholesalers while sales to wholesalers are still the primary revenue source (Soni, 2014).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TC sales, Nike is lagging in the market in terms of the ratio of DTC revenue to total revenue as opposed to its competitors (Soni, 2014). In response, Nike has implemented various DTC initiatives using digital and social media to facilitate demand creation and maintain market dominance (Guard, 2013; Heitner, 2016; Soni, 2014).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DTC revenues, Nike introduced the new Nike+ app in 2016; however, the new app has been not well received by the public due to some functionality and gamification issues (Welch, 2016). Given the importance of the mobile apps’ forefront role for any sports brand,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what influence the adoption and use of the brand apps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 satisfaction level and adoption. Thus, the current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use of a sports brand app using the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vis et al., 1992; Ha et al., 2015; Kim et al.,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261 Nike+ Run Club app user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216 app users, 133 respondents (51%) were female 129 were male (49%). About 64.8% were between the ages of 20 and 39 years and 35.2% were aged over 40 years. All respon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Nike+ app.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scales that measur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age frequency as well as personal information. Harman’s single factor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a possibility of the common method variance (MacKenzie & Podsakoff, 2012). Data were primarily analyz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and multi-group analysis (PLS-MGA). PLS algorithm procedur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research model (Ringle et al., 2015). The level of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beta = .58, t = 11.94) while perceived ease of use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beta = .58, t = 9.81). Behavioral inten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enjoyment (beta = .45, t = 7.46), followed by perceived usefulness (beta = .32, t = 3.64), and perceived ease of use (beta = .16, t = 2.07). As expected, behavioral intention positively affected actual behavior (beta = .31, t = 5.90). PLS-MGA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ree age groups; 20s (n = 78), 30s (n = 91) and over 40 (n = 92), in regard to the use of a sports brand app.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stronger with younger age groups,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njoy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greater the age,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perceived enjoyment on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only the path from perceived ease of use to behavioral inten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0s and above 40 groups.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supporting the efficacy of the modified TAM for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use in the context of a sports brand app. In general,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perceived enjoyment is a more powerful predictor tha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gamification should be tactically applied when developing and improving a sports brand app in order to create engaging experience with enjoyment (Hofacker et al., 2016; Zichermann & Cunningham, 2011). Also, given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greatly influenced by 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 sports brand app provider should conduct a more thorough market research to understand what is expected by app users and ways to meet their expectations (Yoon & Rolland, 2015).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found some evidences of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adoption and use of a sports brand app (Ha et al., 2015). More detailed results and discussion will be presented at the conference.
        1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과 성장 및 2015년도 온실가 스 거래제 시행 등으로 산업체 및 관련기관에서 기후변화전 문가의 인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Eco기후환경 융합 인력 양성 사업단은 기후환 경변화와 관련한 기본 및 응용 교육과 현장 훈련을 통한 관련분야 융합지식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 및 산업체 등 현장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과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산학협력 가족회사와 연계한 현장실습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을 통한 현장 적응형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사 회에서 요구하는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적응능력을 향상시 킨다. 그리고 현장실습과 연계하여 취업하도록 장려하고 있 다. 또한 취·창업, 학술동아리 활동, 캡스톤 디자인 등을 운 영·지원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 고, 취업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 또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학습을 통하여 학교와 기업체간 상호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aning and attraction of school sports club games in review of the specific inside of school sports club games where students can fully show off their developed skills and high satisfaction effect in school life. We have conducted a survey to find sports fun factors among 88 middle school students advanced to the quarterfinals of 'The 7th Education Support Commissioner's Cup Baseball Tournament' in G city of Gyeonggi-do and analyzed the results by one-way ANOVA and 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5 sports fun sub-factors amo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ports club games showed relatively high scores in the order of victory and competition, team atmosphere, practice and recognition of its effectiveness and parental suppor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fun factors by grade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fun factors by types of participation.
        4,000원
        1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ho joined a school sports club on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6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s and 154 students in high schools located in Cheonan-si and Gongju-si, Chungcheongnam-do in 2013. Questionnaires on physical self-efficacy factors used in studies by Moon Jin (2008), Seo Cha-Won (2012) and Park Yoon-Kee (2013) and on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 factors by Do Gie-Bong (2007), Park Jae-Suk (2008), Kim Min-Jeong (2010) and Lee Se-Mi (2013)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with the addition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 after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component content and items according to expert advic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using SPSS Statistic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tical purpo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a sub-factor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other sub-factor. In school level, the junior high schools showed higher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than the high school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the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sports club was high in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group exercises, in descending order,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the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physical education grade was high in lower, middle and upper classes, in descending order,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gender,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harassment, verbal-psychological abuse, and bullying, sub-factors of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erbal-psychological abuse. In school level, the high schools showed higher harassment and verbal-psychological abuse than the junior high schools as a difference in other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junior high schools showed higher harassment than the high schools, but this wa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the harassment and verbal-psychological abuse, the differences i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 of sports club were high in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group exercises, in descending order, but all of th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arassment, the differences i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were high in upper, lower and middle classes, in descending order. In the verbal-psychological abuse, the differences i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were high in middle class and showed the same value in upper and lower classes, but all of th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dolescent physical self-efficacy o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ysical self-representation confidence a sub-factor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arassment verbal-psychological abuse and bullying. Although the perceived physical ability as another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rassment verbal-psychological abuse and bullying,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olescent physical self-efficacy and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and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also increased in the proportion of the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a sub-factor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that this has caused an unexpected negative result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due to the absence of the system that students can positively release their passionate energy in the current school sys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make efforts from various perspectives so that adolescent passion strength and energy from the physical self-efficacy can be released not in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but in healthy and desirable physical activities and sports participation as a method to reduce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s of adolescent students with high physical self-efficacy.
        5,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