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 is a major traded item worldwide. Uganda, where the coffee sector provides a livelihood to 1.8 million households, is Africa’s second-biggest coffee exporter. Pests and diseases are significant constraints affecting coffee production. Although the Ugand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trategies to assist farmers in addressing these constraints, coffee pests and diseases continue to affect the yield and quality of coffee crops. This ongoing issue highlights the need for more effective and sustainable solutions to protect coffee production in Uganda. This review examined two prevalent diseases and two major pests known to significantly impact Uganda’s coffee systems. It explored strategies that pathogens and pests would utilize to invade and colonize coffee plants. Furthermore, this review evaluated current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improving coffee pest and disease management. By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it aims to equip agricultural stakeholders with the knowledge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combating these persistent threats to coffee production in Uganda.
특정작물의 연작재배가 만연한 국내 경작지 중, 특히 인삼재배지는 인삼뿌리썩음병균, 시설재배지는 선충에 의한 연작피해가 매우 심각하며, 주로 화학·생물학 약제로 방제하지만 효과가 낮고 토양오염과 약제저항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음. 모든 살아 있는 병해충은 고온에 저항성이 없는 장점에 착안하여 마이크로파(915MHz) 전력밀도 균일화 응용으로 경작지 토양 30cm 이상 깊이까지 100℃ 이상 침투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방제장치 및 방제기술을 개발하여 토양 속에 존재하는 선충, 개미, 인삼뿌리썩음병균에 적용한 결과, 선충은 60℃, 개미는 50℃에서 완전사멸 되었으며, 인삼뿌리썩음병균은 80℃에서 연작 가능한 수치까지 떨어지는 방제 효과를 나타 냄에 따라 농약을 대체하는 방제기술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딸기 영상 데이터의 병충해 존재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병징에 특화된 분할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제 안하여 딥러닝 모델의 병충해 검출 성능을 향상한다. 딥러닝모델은 CNN 기반 YOLO를 선정하여 기존의 R-CNN 기반 모델의 느린 학습속도와 추론속도를 개선하였다. 병충해 검 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일반적인 데이터 세트와 제안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모델이 일반 적인 학습 데이터 세트를 학습했을 때 병충해 검출률은 81.35%이며 병충해 검출 신뢰도는 73.35%이다. 반면 딥러닝 모델이 분할 이미지 학습 데이터 세트를 학습했을 때 병충해 검출률은 91.93%이며 병충해 검출 신뢰도는 83.41%이다. 따 라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우 수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결구상추는 국내에서 17년 기준 825㏊가 재배되고 강원도 재배면적은 168㏊로 전국 2위이다. 하지만 발생 병해충 및 방제방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신소득 작물인 결구상추(학명 : Lactuca sativa var. capitata)에 발생하여 문제가 되는 주요 병해충의 종류 및 재배 작기 별 발생양상과 피해증상에 대해 영농현장에 알리고자 2017년~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홍천 등 3개 지역 결구상추 주산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주요 병해충으로는 무름병, 균핵병,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이 발생하였다. 봄 재배에서는 무름병과 균핵병이 6월 상~중순에, 가을 재배에서는 무름병이 9월 중순과 10월 상순에 발생하였다. 피해증상으로는 무름병은 결구포기전체가 물러 썩으면서 심한 악취가 났으며, 균핵병은 땅과 닿는 부분에 수침상의 병반이 생기면서 균핵이 발생하였다.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가을재배 시 발생이 많았다. 특히 9월 상~중순에는 발생한 파밤나방 유충에 의해 결구상추의 상품가치가 떨어져 농가피해가 심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oncerns about the pursuit of well-being culture and interest in safe food has increased and demand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 of diseases and pests and to select effective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 of diseases and pests in organic watermelon. The watermelon was damaged by diseases and pests such as Didymella bryoniae, Podosphaera xanthii, Aphis gossypii, Tetranychus urticae, thrips, Spodoptera exigua, and Spodoptera litura. Among them, powdery mildew and cotton aphid are major disease and pest in organic watermelon. The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and cotton aphid initiated in the middle of May in Chungju and Eumseong. The control efficacy for eleven organic materials against powdery mildew was evaluated. As the results, the symptoms of plant disease were effectively reduced by more than 85% in the treatments of materials such as sodium bicarbonate 80% and sulfur 80%. The treatment of TFM-6 (insect repellent 2%+paraffin oil 68%) and TFM-7(cinnamomum ext. 10%+derris ext. 20% + citranella oil 30%) showed by more than 80% in control efficiency against cotton aphid. T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ject of RDA.(Project No.: PJ0125302018)
A review was made on notorious insect pests and diseases of crops, resulting about 25-35% yield loss annually in Nepal. Among the insect pests;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rice, cotton bollworm (Helicoverpa armigera) in various crops, armyworm (Mythimna separate) in rice and maize, white stemborer (Xylotrechus quadripes) in coffe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and red ants (Dorylus orientalis) in potato are causing periodically havoc. Whiteflies, mealybugs and leaf miners are emerging as major pests. Recently introduced South American tomato leaf miner (Tuta absoluta) in tomato, officially identified in 2016 from Kathmandu valley is reported as possible dangerous pest. Similarly, blast (Magnaporthe grisea) and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late blight and bacterial wilt of tomato and potato, club root and black rot of crucifers, downy mildew and virus complex of cucumber, citrus greening (Liberobacter asiaticum), leaf and stripe rusts of wheat, northern leaf blight of maize, panama wilt of banana etc. are considered as major diseases of economic importance. Bacterial stem rot (Erwinia caratova) of tomato and gray leaf spot (Cercospora zea maydis) of maize are emerging for significant yield loss. The newly introduced coffee rust (Hemileia vastatrix) is now becoming serious threat to coffee plantation.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and UG99 virulence race of Puccinia graminis need to prevent becoming dangerous from their entry. This review would be helpful to policy planning, future research and extension works.
단감 병해충의 관리와 원활한 수출 정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전남 순천, 경남 진주, 창원(동읍과 북면), 김해, 그리고 울산 울주지역의 수출과원과 비수출과원과 수확과에서 병해충을 조사하였다. 수출 단감과원에서 확인된 병은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이었고, 그 중 둥근무늬낙엽병의 피해가 높은 편이었다. 과일에서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olletotrichum acutatum 탄저병의 피해가 문제였다. 발견된 해충은 5목 20과 32속 33종이었고 점박이응애도 발생하였다. 그 중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와 식나무깍지벌레,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담배거세미나방, 차잎말이나방 등도 발생하고 있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매우 낮았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과 감꼭지나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고,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선과장과 수출과에서는 이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 감꼭지나방,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깍지벌레와 점박이응애가 낮은 비율로 발견되었다. 병으로는 진주와 김해의 저장고 수확과에서 C. acutatum탄저병 이병과가 1개 과에서만 발견되었다.
A new Bacillus subtilis isolate showed high anti-fungal activities (more than 80% control efficacy) against several plant diseases such as rice blast (Magnaporthe grisea), tomato gray mold (Botrytis cinerea), tomato late blight (Phytophthora infestans) and wheat leaf rust (Puccinia recondita). We tried to confer an insecticidal activity to this B. subtilis isolate for constructing a recombinant strain which has dual functions,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The insecticidal cry1Ac gene of B. thuringiensis was constructed under its own promoter in a minimal E. coli-B. thuringiensis shuttle vector (pHT1K-1Ac). The plasmid, pHT1K-1Ac was introduced into B. subtilis isolate by electroporation and the transformant was confirmed by PCR with cry1Ac specific primers. B. subtilis transformant produced a parasporal inclusion in the cells as in B. thuringiensis and the size of that protein was appox. 130 kDa.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transformant was checked against lepidopteran pest, Plutella xylostella. This result suggests that this recombinant B. subtilis strain shows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harmful insect pests as well as plant fungal diseases simultaneously at one crop, and both culture broth and harvested cells of this strain can be used as individual biological control agents separately for integrated crop protection.
본 연구는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병 들 중 의 하나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충북 음성에서 소과종 수박에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 결과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목화진딧 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일반수박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 는 대부분의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흰가루병은 6월 중순에 품종 별로 27~99.3%의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에 품종별로 엽당 마릿수가 79.9~111마리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과 상순에 황색과 청색 평판점착트랩 각각에 트랩당 407마리와 774마리로 높은 유살수를 나타냈다. 포장에서 마 요네즈와 올레산 그리고 현재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3종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 마요네즈 그리고 대황추출 물 1%가 함유된 자재가 60% 이상까지 효과적으로 병 발생을 감소시켰으며, 이중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가 83%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소 과종에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정보와 sodium bicarbonate 80% 함유 자재가 흰가루병 방제 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