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신선 채소의 병원성 미생물 제어를 위해 phytic acid (PA)가 포함된 30 mg/L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의 세척 효과를 평가하였다. 로메인 상추, 방울토마토, 당근에 Escherichia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를 접종하고 수돗물 또는 SAEW-PA 소 독수로 5분간 세척하였다. 전반적으로, 시료를 SAEW-PA 로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 모두 방울토마토와 당근 보다 로메인 상추에서 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 구는 또한 식품 접촉 표면인 고무, 플라스틱 및 스테인리 스 스틸의 S. Typhimurium 바이오 필름에 대한 SAEW-PA 소독수의 세척 효과를 평가하였다. S. Typhimurium 바이 오 필름은 고무 재질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고, 플라스틱 과 스테인리스 스틸이 그 뒤를 이었다. 세척 효과는 식품 접촉 표면 및 세척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SAEWPA 소독수로 1분간 세척하는 것이 스테인리스 스틸에 가 장 효과적이었으며 고무 및 플라스틱에 미치는 영향은 적 었다. 세척 시간을 5분으로 연장하면 모든 표면에서 바이 오 필름 제거 효과가 향상되었다. 특히 고무 재질에서 NaClO에 비해 SAEW-PA 소독수가 바이오 필름을 더 효 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식품 산업에서 고무 장갑과 같은 고무 표면을 소독하는 데 SAEW-PA 소독수를 활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산물 재배, 수확 후 세척 등에 사용되는 농업용수는 미생물에 오염될 경우 병원균을 농산물로 전파하여 식중 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등 다양 한 수원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오염 수준 을 조사하고 자외선(ultraviolet, UV) 소독이 농업용수 내 미생물을 저감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였다. 농업용수의 미생물 수질조사 결과 대장균 오염도는 수원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의 대장균 농도는 평균 0.95±1.23 log CFU/100 mL였으며, 저수지는 평균 0.76±1.07 log CFU/100 mL, 지하수는 평균 0.1±0.47 log CFU/100 mL, 기타수원은 평균 0.6±0.87 log CFU/100 mL로 조사되었다. 수원별로 보면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순으로 높은 미생물 오염을 보였다. 다양한 용수 조건에 서 자외선 소독을 테스트한 결과, 99.9% 미생물 비활성화 에 필요한 UV 선량은 증류수에서 1.2-1.6 mW/cm2·sec, 농 업용수 원수에서 2.0-2.7 mW/cm2·sec 범위 였다. 고형물 응집제를 통해 전처리된 농업용수는 처리되지 않은 농업 용수 원수에 비해 자외선 투과율이 높았으며, 미생물을 99.9%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자외선 선량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수 자외선 투과도가 감소함에 따라 소독 효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본 실험에서 조사된 선량 은 수질에 상관없이 수초 내 99.9%의 미생물 감소를 달 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UV 소독기술은 농업용수의 미생 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2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ad (Pb) is a major heavy metal that augment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s a health risk to living organis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 on characteristics of planarian, Dugesia japonica. Briefly, planarians were cultivated in water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0–400 mg/L) of Pb, and incubated for varying durations (1, 3, and 5 hr). After termination of the incubation time, motility and seizure-like behaviors (c-like, head-bop, snake-like, and screw-like) of the planarians were counted in fresh water.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Pb concentration and time resulted in decreased motility of the planarians (p<0.05).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b also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izure-like behavioral patterns, in particular the c-like and head-bop behaviors. In order to examine eye regeneration, the head region was cut, and rest of the body was incubated in water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Pb, until emergence of the eye extrusion. Formation of eye spots was initiated in amputated fragments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Pb) on day 4 after incubation, whereas appearance of the eye spots was delayed in planarian exposed to 200 mg/L Pb. Moreover,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that formation of the optic nerve was delayed in planarians exposed to Pb. Thus, our studies determined that planarian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Pb resulted in decreasing motility and induction of seizure-like behaviors, as well as delayed eye regeneratio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erefore validate that exposure to lead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ifespan of aquatic organisms and can cause disturbance of the nervous system in animals, thereby implying the possibility of threatening health.
        4,000원
        7.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상어는 최근 전 세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관상어의 산업적, 사회적 가치가 재인식됨 으로써, 우리나라의 관상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지만, 상품으로서는 일부 품종에만 한정되어있어 경쟁이 가능한 품종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관상 어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홍보 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 토종 담수 관상어의 대중화를 위해 일반인 10대부터 50대까지 의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한국 토종 담수어의 관심도는 ‘예’ 32%, ‘아니오’ 68%로 관심이 비교적 적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담수 관상어의 개발현황 파악 인지도는 ‘예’ 18%, ‘아니 오’ 82%로 일반인 소비자 대부분이 개발현황 파악 인지를 하지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소비자가 바라본 한국 담수 관상어의 개선방안은 ‘수입어종보다 아름다운 어종’ 88%, ‘홍보’ 76%, ‘사육난이도’ 43%, ‘분양비용’ 39%로 외관적인 개선과 홍보 전략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관상어의 대중화를 위해 한국 담수 관상 어의 외관적인 개선과 지속적인 홍보 전략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000원
        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oling water treatment with ionized calcium on calcium content, extending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fresh chicken meat in poultry slaughtering proces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0% without ionized calcium) and treatment groups (0.5, 0.7, 0.9% ionized calci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oling water treatment with ionized calcium exhibited the bacterial counts of 105 CFU/cm2 in surface of chicken meat, and maintained the quality of fresh chicken meat with extending the shelf-life above seven days whe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 results found that the cooling water treatment with ionized calcium could produce the calcium enrichment of chicken meat as nine times higher in calcium content of chicken meat whe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pH, water holding capacity, TBARS (MDA mg/kg) in chicken meat via the cooling water treatment with ionized calcium showed 6.4, above 50, below 0.10, respectively, with preventing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Lightness (L*) as a chicken meat color, shear force indicated above 60, below 1.70 kg/0.5 inch2, respectively.
        4,300원
        10.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the active ingredients and to screen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freshwater laver, Prasiola japonica, the only species grown in Korea. According to results of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ssay, components from P. japonica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from sea laver. Of particular interest, our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of P. japonica (PJE) contained loliolide, sorbitol, mannitol, and alverine, which wer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anti-oral microbial, osmotic diuresis, and smooth muscle relaxant, respectively. In addition, five solvent fractions of PJE (water, but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hexan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and a higher amount (>100 μg/mL) of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hexane fraction were considered to play a specific role in cancer cell death. PJE and its solvent fractions found to be effective scavengers of free radicals, particularly, hydroxyl radicals. Glucose uptake in L6 myoblast cell line that stably expresses the glucose transporter type 4 (GLUT4) proteins was also remarkably enhanced upon treatment with solvent fractions, remarkably chloroform fraction. Taken together, we concluded that P. japonica may have potent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u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novel natural candidates for various disease targets.
        4,000원
        11.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후반에 시작된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 하천수 유입에 따른 하구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다소 미흡 한 실정이다. 또한 낙동강 하구에는 서낙동강 및 낙동강 본류의 2개지점에서 담수의 외해 방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향후 4대강 사업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공사 전후의 하구역 수질의 특성을 비교함에 있어서도 현 시점에서의 유입지점별 하천수 유입 특성을 명확 히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하천 유입지점 3곳에 대한 수질 자료를 4대강 사업 시행 이전(2008년)과 이후(2009년) 시점으로 구분하여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질관측자료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3,000원
        12.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증류수 및 수도수 중에서 방열기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합금재의 온도 변화, 탈기에 의한 개로전위, 부식전류밀도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청수 중에서 개로전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비전위화 되고, 또한 탈기 후의 개로전위는 탈기 전의 개로전위보다 비전위화 된다. 2. 증류수 중에서의 부식전류밀도는 수도수 중에서의 부식전류밀도보다 더 억제된다. 3. 탈기 후의 부식전류밀도는 탈기 전의 부식전류밀도보다 크게 억제된다
        4,000원
        1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values of the heavy metal in the fresh water fish and shellfish collected from fish market. The levels of the heavy metal were determined in a total of 319 samples of 11 species of the fresh water fish and 14 species of the shellfish by mercury analyzer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The averag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in the fresh water fish were Pb 0.075, Hg 0.053, Cd 0.002, Cr 0.135, Fe 8.695, Mn 1.078, Zn 9.491, Cu 0.548 mg/ kg. The averag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in the shellfish were Pb 0.059, Hg 0.007, Cd 0.146, Cr 0.147, Fe 40.808, Mn 7.738, Zn 13.943, Cu 2.731 mg/kg. Being compared the averag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of the fresh water fish with those of shellfish, the average contents of Cd, Fe, Mn, Cu in the shell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fresh water fish(P$lt;0.001). Depending on the sampling areas, the averag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were different by districts. The contents of the heavy metal were changed with the seasons(P$lt;0.05).
        4,600원
        15.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영만으로 유입되는 수영강수에 의한 하구의 물리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월별로 관측된 염분 자료와 Officer(1977)가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담수량 및 그 체류 시간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수평적으로는 수영만의 동백섬을 기준으로 수영강과 접하고 있는 만 안쪽으로 저염화가 강하게 나타나고 연직적으로는 강 혼합과 부분 혼합의 특징이 나타났다. 그리고 수영강을 중심으로 광안리 쪽이 해운대쪽보다 높은 담수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거리에 따른 담수율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영강에서 외해쪽으로 6개 정점에서 각각 계산한 담수율을 각각의 최대치로 나누어 계절별로 정규화한 결과 담수율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추계에는 정점C3를 기준으로 감소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는데, 이것은 성층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앞에서 구한 담수율을 이용하여 수영강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체류시간을 계산한 결과, 약 1.3일인 하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계절은 약 10~15일 정도임이 밝혀져 하계가 다른 계절이 비하여 담수의 순환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0.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α-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