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에서 유통중인 포도씨유 50건을 대상으로 잔류농 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50건 중 49건에서 10종의 잔류농 약이 161회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boscalid, cyflufenamid, deltamethrin, difenoconazole, fluxapyroxad, fenpyrazamine, kresoxim-methyl, piperonyl butoxide, tebuconazole, trifloxystrobin 으로 살충제 2종, 살균제 8종이었으며 살균제인 boscalid가 44회, fluxapyroxad가 35회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었다. 검 출범위는 0.01-1.10 mg/kg으로 모두 포도의 잔류농약 허용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회수율은 72.6- 129.8%이었으며 검출된 농약의 위해성을 알아보기 위해 %ADI를 산출한 결과 0.0028% 이하로 나타나 포도씨유의 잔류농약으로 인한 위해성은 안전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료의 수가 적고 GC/MS/MS로 분석가 능한 농약만 조사하였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앞으로도 꾸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추출된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와 시판 포도씨유가 고콜레스테롤을 섭취시킨 Wistar계 흰쥐의 혈청 지질 개선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군은 식이지질의 종류에 따라 4 군으로 나누었다. 기본(BA) 식이군의 지질급원은 대두유(SO) 7%, 대조(CO) 식이군은 SO 7% + 콜레스테롤 1%, 친환경 오징어 간유(EFSO) 식이군은 EFSO 7% + 콜레스테롤 1%, 그리고 포도씨유(GO) 식이군은 GO 7% + 콜레스테롤 1%로 각각 조제하였다. 이들 지질을 4주 동안 섭취 시킨 흰쥐의 혈청 지질을 분석한 결과, triglyceride (TG), total-cholesterol (Total-C), LDL-C, VLDL-C 등의 함량이 CO 식이군에 비하여 EFSO 식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한편 GO 식이군에서 혈청 TG, VLDL-C, HDL-C 등의 함량은 EFSO 식이군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Total-C 및 LDL-C의 함량은 CO 식이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EFSO 식이군의 동맥경화지수(AI)는 CO식이군의 약 1/2 수준이었으며, GO 식이군에서도 이들 지수가 EFSO 식이군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외형상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식이군에서 백색 및 갈색 지방조직 함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EFSO가 실험쥐의 혈청 지질, 특히 LDL-C, TG 등의 함량을 저하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지질급원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e seed tea (GST) was prepared by roasting grape seed at 150-190oC for 10-60 minutes and then soaking inwater at 100oC for 20 minutes. GSTs made with grape seed with an L value of 19.5-20.5 were the best in termsof color, flavor, and sensory test. GSTs prepared using roasted grape seeds had higher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than GST prepared from raw grape seed. Roasting times to reach an L value of 19.5-20.5 were over60 minutes at 160oC, 40-50 minutes at 170oC, 30-40 minutes at 180oC, and below 10 minutes at 190oC. In a sensorytest, the total preferenc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asting. GST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used grapeseed roasted at 170oC and 180oC for 30 minutes.
        4,000원
        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적외선 조사가 포도씨 기능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가열출력(0, 900, 1800 W) 및 가열시간(0, 20, 40 min)을 달리하여 원적외선 조사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포도씨 추출물을 제조하고 기능성분으로서 가용성 고형분, 기계적 색도, 카테킨,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백색도 및 적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hechin류는 가열시간에 따라 catechin, procyanidin , epicatechin 함량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총 catechin 함량은 총 카테킨 함량은 900 W 및 20분 처리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가열출력 900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가열출력 900 W 및 가열시간 20분 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cathechin류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항산화능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도씨의 원적외선 가열처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가열출력 및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가열출력 621.82~818.18 W, 가열시간 16.3~19.83 min의 범위가 최적 가열조건범위로 설정되었다.
        4,000원
        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unctional muffin in which grape seed extract(GSE) was added at 0, 0.5, 1 or 2% levels an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olume of muffi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weight and height of muffin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The incorporation of GSE in the product lowered lightness (L value) and increased redness(a value). The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including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levels.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muffin prepared with 0.5% GSE was considered to be as acceptable as control, based on hedonic scale ratings given by untrained taste panel.
        4,000원
        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lm with methylcellulose(MC) and grape seed extract(GSE) were prepared by casting their aqueous solution at 80oC and dryng at 23oC for 48 hrs. Effect of grape seed extract (GSE) on the barrier permeabilities and the thermomechanical property of methylcellulose(MC) film was studied. The barrier permeabilities and the thermomechanical property of MC films containing various contents of GSE were evaluated in terms of water vapor, oxygen permeabilities, and dynamic mechanical analysis(DMA). The rate of water vapor permeability of MC films decreased with GSE contents in the MC films. Also, the rate of oxygen permeability also decreased with GSE contents indicating higher oxygen barrier property of the MC film. The results showed that GSE had a good miscibility with MC and acted as a plasticizer for MC films resuling in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4,000원
        8.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grape seed (GS) prepared by freeze-drying (GSFD), infrared drying (GSIR), hot-air drying (GSHD), or sun-drying (GSSD)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s of GSFD, GSIR, GSHD and GSSD powders were 4.53, 6.71, 6.91 and 5.55% respectively. Hunter’s color valu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 value of GSIR was lower, and the a* and b* values of GSIR were higher, than those of GSFD, GSHD, and GSSD. The total polyphenol and proanthocyanidin contents of GSF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flavonoid related substance contents were in the order of GSFD (7.68 g/100g) = GSSD (7.59 g/100g) = GSHD (7.33 g/100g) > GSIR (6.45 g/100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500 μg/mL solutions of GSFD, GSIR, GSHD and GSSD were 88.71, 52.62, 65.20, and 65.22%, respectively, while their reducing powers (OD700) were 1.633, 1.097, 1.217 and 1.054 absorbance unit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same trend was observed for the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ies of the extracts as that observed for their electron-donating abilities and reducing pow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SFD is the best method for preparing GS extracts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at GS extracts may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material for use in health foods.
        9.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에 함유된 항산화 및 아질산염소거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고자, 추출조건(microwave power 0~120 W, 에탄올 농도 0~100%, 추출시간 1~5 min)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건별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의 는 0.8024-0.9498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 기능성분들의 최대 예측값과 최적 추출조건은
        10.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의 총 카테킨 함량과 추출물의 항산화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microwave power , 에탄올 농도 , 추출시간 )을 설계하고, 종속변수로서 추출물의 수율, 카테킨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는 0.9 이상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카테킨 함량의 최대 추출 값은 434.16 mg%로 예측되었으
        11.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허용된 용매들(물, 에탄올, 아세톤)의 가열 특성을 확인하고 몇 가지 기능성분의 추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추출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microwave power(0, 50, 100, 150 W), 추출시간(1, 3, 5, 7, 9 min), 시료와 용매비(1:20, 1:10, 1:5, 1:2.5), 시료 입자크기(whole, 20, 40, 60 mesh)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으
        12.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포도씨유 제조기술 개발 및 시제품을 생산하기위해 먼저 일반 재배 및 유기농 재배 포도로부터 각각 수거된 포도씨의 수율,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피토스테롤, 토코페롤, 총카테킨 및 4가지 카테킨 조성)의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다음, 용매추출법과 화학적 정제방법에의한 포도씨로부터 고품질의 포도씨유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시제품을 생산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재배 및 유기농 재배 포도로부터 얻어진 포도씨유 및
        13.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에탄올로 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탈지추
        14.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grape seeds which up to now have been discard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on process was predic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The extraction amount of grape seed phenolic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co-solvent (ethano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84.83C, 51.50MPa and 1.27% ethanol. The yield of phenolics using SFE was higher with 3 folds than ethanol and 4 folds than hexane but less than 80% methanol. In the respects of food poisoning, the approved solvents were restricted to ethanol and hexane. So, SF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could be powerful alternative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