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하에서 개인의 정보추구 행동에 영향 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 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의 하위 구성요소 가 정보추구 행동(검색과 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대학생 총 2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 리 터러시의 구성요소인 정서와 참여, 비판적 읽기는 검색행동과 공유행동 에 정적(+)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나, 가치는 공유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교육 경험은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 경험이 모두 정보추구 행동(검색과 공유)에 정(+)적 영향을 보여주 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적극적인 정보추구 행동을 위해 디 지털 리터러시의 정서와 참여, 비판적 읽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교육에 단초를 제공한다.
        6,300원
        2.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 게임 활용 교육 및 게임 리터러시 코칭을 위해 유아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유아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558명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다. 설문은 미디어와 게임을 활용한 교육 현황, 유아 게임 리터러시 와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분 석을 통해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능력은 긍정적이나, 미디어 리 터러시에 대한 교사 교육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게임을 교육에 활용할 의사는 있으나, 교육에 게임을 적용한 경험은 그 리 많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게임 이용에 대하여 교사는 유아의 게임 리터러시 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게 임 리터러시를 현장에 활용하기 위하여 게임 컨텐츠를 보강하여야 하며, 예산과 수업 운영 매뉴얼 지원, 부모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유아 게임 활용 및 유아 게임 리터러시 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교사 역량과 환경을 고려할 때 유아 교육 현 장에 게임 리터러시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700원
        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전 지구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는 인류 공동의 노력에 발맞추어 과학교육 측면에서 기후 변화를 설 명하는 효과적 개념 체계로서 극지 소양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현재 고등학생들의 극지 소양 현황을 양적 검사와 질적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시사점을 논의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2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29명으 로 극지 소양 원리를 참조해 개발한 진위형 25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에 참여했고, 이들 중 13명이 면담에 참여했다.연구 결과, 극지 소양 원리의 일부 영역에서 다소 미흡한 이해와 함께 개념적 공백이 나타났다. 극지의 지리적 특징에 대한 지식이 견고하지 못하고, 빙권의 구성 요소와 주요 특성을 거의 알지 못했다. 이러한 개념의 결손으로 극지 변화 와 전 지구적 기후 변화의 작동 기작을 잘 연결하지 못했다. 학교 교육과정에서 충족되지 못한 개념을 학교 밖 매체로 부터 비판 없이 수용하면서 기후 변화의 기작을 다소 단조롭거나 왜곡되게 인식했다. 한편, 극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 모호한 이해와 함께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인지 전략으로 언어 정보, 비유, 시각적 관찰 등을 활용했다. 이상의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기후 변화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 체계로서 극지 소 양 교육을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이밖에도 타교과의 극지 소양 관련 지식의 일관성 검토, 기후 변화를 다루는 학교 밖 매체 정보에 대한 비판적 기준 제공, 학생들의 오개념 점검 및 사고 전략 파악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5,200원
        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은 이제껏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파급력으로 우리 삶 전반에 걸친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이 변혁의 물결을 잘 헤쳐나갈 수 있는 지혜와 통찰력이 더는 전통적인 교육 환경에서만 키워질 수 없다.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교육방식의 도입과 확산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육방식의 변화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하게 이뤄졌다는 진단에서 출발한다. 디지털 혁신과 인터넷 기반의 확대로 인해 누구나 온라인을 통해 선진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21세기에 필수적인 협업, 소통, 비판적 사고, 창의력 등의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21세기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강조될 것이며 이것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학습자 중심 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과 학습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필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의 시대적 요구를 도출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배양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필수 요건임을 주장하며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고등교육을 활성화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적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디지털 기술 혁신이 가져온 문명의 이기를 교육에 접목하는 것은 선택사 항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교육 혁명은 첨단 기술의 융복합에 힘입어 새로운 가치들을 무한히 창출할 것이며 인류문명의 도약을 위한 기름진 토양을 제공할 것이다.
        6,700원
        6.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률 증가는 사람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 하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하였다. 미디어는 TV, 라디오와 같은 전파 매체와 신문, 잡지와 같은 인쇄 매체의 형태에서, 접근성이 좋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이와 함께 다양한 플랫폼들의 등장은 수많은 콘텐츠들을 생산하였 다. 플랫폼들은 소비자들에게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손쉽게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등 콘텐츠 소비와 제작의 접근 성을 더 용이하도록 하였고 1인 미디어를 발전 시켰다. 플랫폼과 콘텐츠의 종류와 형태 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콘텐츠 소비 시간도 크게 늘면서 미디어에 의한 문제점들도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가짜 뉴스의 범람과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과장된 선입견의 여러 행태들과 왜곡, 편향성들은 건강한 커뮤니케이션의 근간을 흔들며 정보의 혼란을 가속화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는 개인과 사회에게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정치적, 사회적, 기업의 경영 이윤과 같은 문제에서 객관적이지 못하고 자유로울 수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여 비판, 사고, 추론, 평가가 가능한 교육이 반드 시 필요한 사회가 된 것이다. 그래서 미디어 소비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하여 정보의 비판적 수용자세와 함께 올바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습득하여야 하고 이를 통한 미디어의 자율적 규제가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과거로부터 그 사회의 사회상, 예술성 을 담고 있는 광고를 활용하여 흥미로우면서도 우리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 점들을 파악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자를 양성하기 위한 부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5,100원
        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multimedia literacy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 components of multimedia literacy, SNS, YouTube clips, the recording function of mobile phones, and reading tasks were given to 29 university students in an introductory level Japanese language clas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in which they evaluated whethe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multimedia literacy were helpfu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solving skills, and reading and speaking skills were enhanced by using a team-based learning. Second, the class using SNS was very useful for enhancing the language skills due to the convenient presentation of learning materials, the submission and the review of assignments, and the immediate feedback. Third, Korean composition sentences and reading task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practicing pronunciation and enhancing conversation skills. Fourth, voice files and YouTube clips provided for absent students could make up for the contents they missed in class. On the basis of this study,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multimedia literacy are expected to be designed and discussed.
        5,100원
        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urposed to see the effectiveness of a media literacy activity in a Japanese conversation class. For this class,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were developed utilizing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Specifically, a CF production activity was crea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compared with other conventional activities such as free talking and deb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F production activity resulted in high scores and most students found the activity fun, cooperative, and creative. However, when compared with other course contents, it didn’t show much improvement in the students’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o more research on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and related methodologies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between ‘having fun and developing creativity’ and ‘improving Japanese language skills’.
        5,500원
        9.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한자교육은 보통 유아식자교육이라 일컬으며, 기초교육단계의 학령아동(6~12세)에 대한 한 자교육은 학령아동 한자교육이라고 부른다. 현재 학계에서는 아동 한자교육의 실행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취학 전 아동인 유아한자교육은 주로 식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령아동 한자교육 연구도 유아한자교육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식자에만 제한되어, 교육의 다양화 확대 및 제고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학령아동 한자교육 대상인 초등학교 6세~12세 학생들이 학습하는 한자지식 내 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초교육한자 교학 및 연구자들에게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째, 기초교육단계에서 식자가 여전히 유일한 교학목표인가? 둘째, 학령아동에게 체계적인 한자 지 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아동 식자교육의 개선 및 확대를 제고할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정책분석, 설문조사 및 교학실천의 네 가지 방안을 토대로 학령아동을 대 상으로 한 확대된 한자교육 내용에 대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900원
        10.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고대 한자교육인 “識寫分流, 先認後寫”의 전통에 따라 “三, 百, 千”등 중 국 전통 교재의 편찬 경험을 흡수하고 중국 현대 어문교육 연구의 성과를 병합하 여 소학 1, 2학년 어문 교재는 아래와 같은 이념을 가지고 있다. (1)많이 알고 적 게 씀으로써 아동들이 조기에 독립적으로 독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식 하고, 쓰고, 말하는 분별화된 교육이 하나로 합일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되고 영 향을 미치는 관계를 통해 최대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한다. (2)한자교육 교재는 최대한 아동들의 일상 언어 생활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하여 아동들의 인지 발달 에 가장 가깝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언어 발전을 돕도록 한다. (3)일정한 양의 기본 한자를 인식한 후 병음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흥미를 만족 시키고 조절함으로써 한자 병음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4)여러 한자 학 습 방법을 채용한다. 각 한자교수학습 방법은 각기 그 응용의 장점과 한계가 있으므로, 서로 보충함을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한자교육의 이념을 사용하여, 교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 반응을 살핌으로써 (1)아동의 한자 교육에 대한 흥미를 배가 시키고, (2)아동이 독립적으로 한자를 습득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식자량을 증대시키고, (3)아동이 여 러 한자 교육 방법을 습득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문은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 성과들을보고 하고 더 나아가 중국 소학 어문 교재의 “識字寫字”의 개선점과 관련된 여러 생각과 전략을 구성해 보았다.
        4,900원
        1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phonics instruction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o literacy instruction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wo approaches on literacy skills and affective facto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eight weeks by sampling 56 fifth-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honics instruction using English stories,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ing the same English stories. The instruments included pre- and post-reading and writing English tests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d more positive effect than phonics instruction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urthermore,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of interest, self-learning attitude and recognition, whereas two sectors of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s more efficient than phonics instruction in developing learners’ literacy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6,300원
        12.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globalization, observation was made for the need to challenge cultural homogeneity and to diversify readers’ interpretations, defining this as critical literacy.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engaging the dominant in developing critical minds. This study investigated reading practices of students from privileged background when they were asked to critique what was hegemonic in a globalized society. Three Korean students were from upper-middle class backgrounds and were successful academic achiever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guided the data analysis of students’ emerging patterns in reading practices. Readers took complicated paths: students were explicit in current beliefs about poverty, were critical about those naturalized view, and were bought into the dominant belief system. The reading practices that re-visit readers’ cultural view and consider diverse perspectives were suggested. Hybrid literacy practices, as opposed to having ability to read across spaces or not1 was important. Critical positions emerged when including those missing perspectives.
        6,300원
        13.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교육과 독해의 결합은 전통적인 중국의 어문 한자교육에서 중시받고 귀감 으로 삼아야 할 귀중한 경험 중 하나이다. 이 경험은 한자의 특성과 규칙과 부합 할 뿐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형음의를 통일하여 연결하여 학습하게 하 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해 줌으로서 한자교육의 범위를 넓혀 준다. 또 한 측면에서 한자교육의 효과는 언어를 운용하는 범주에까지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훌륭한 언어 감각을 배양하게 하여 언어 운용의 훌륭한 기초를 쌓도록 하여준다.
        4,300원
        1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the Earth system based program to help students achieve science literacy.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be connected across grade leve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to have meaningful interdisciplinary context. All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 were inquiry-based,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sidered essential throughout the program. In addition, appreciation and stewardship for the Earth system were systematically emphasized on any grade level. Design of the program applied U.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quality of and conditions for school science programs.
        4,000원
        15.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오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단순히 지식을 많이 암기하는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를 찾아내고 다수와의 협업을 통해 이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더하여 지금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사회가 개선되는 빅데이터(Big Data) 사회라 볼 수 있으므로 새로운 인재는 문제 해결과 관련 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는 역량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새로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초‧중‧고(K-12)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문제해결 역량을 키워주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소 프트웨어 교육은 코딩과 같은 프로그래밍을 중심으로 실시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첫 번째 단계인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는 중요성이 덜하게 여겨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수업을 CT-CPS 모형에 기 반하여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포함되지 않은 수업을 적용하고, 실험집단에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포함된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 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16.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 아버지의 문해 교육이 어떠한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분당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유아기 자녀를 둔 5명의 아버지이다. 연구 기간은 2013년 6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10주 동안 인터넷 카페 운영, 심층 면담, 이야기 쓰기, 연구자 약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심층 면담 내용의 전사 및 확인, 자료의 통합,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버지의 문해 교육에 영향을 준 사람은「뿌리가 된 아버지」, 「문해 교육의 동반자가 된 아내」, 「정보를 교류하는 지인」그리고 「공부하는 자신」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아버지의 문해 교육에 대한 생각은 「문해에 대한 관점」과 「시대의 조류 속에서 생각하기」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문해 교육의 실제는 「내 아이 가늠하기: 문해를 여는 열쇠」, 「문해 학습으로의 초대」그리고 「문해 문화 속에서의 산책」으로 나타났다.
        17.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리터러시는 우리에게 바다가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의 삶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부산지역 23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개발하였다. 7 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는 실내이론, 실내체험, 현장탐방, 현장체험 등 4가지 형태의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교 육을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76cm*56cm 크기의 해양교육 안내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지리적 여건 과 관광지가 결합된 형식이며,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시간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합되어 있어서 수요에 따라 계절적 변화요인 또는 기호에 맞 게 피교육생들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이용한 해양교육 안내지도의 제작은 해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해양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해양의식 함양과 바다와의 친숙화를 통한 해양전문인력 육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교육용 교재 및 부교재의 개발, 교육보조재를 활용한 실내교육의 단점보완,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 해양교육 개발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