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세계는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경영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조직 내 리더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데, 최근 조직구성원과 리더의 세대 간 차이가 발생하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하 여 임파워링 리더십이 LMX를 매개로 창의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임파워링 리더십은 창의성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곧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역할 외 행동을 높이는 등 기업의 생존과 번영과 직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경상남도를 소재로 명확한 리더가 존재하는 기업의 구성원 중 MZ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창의성 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높은 질의 LMX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창의성·조직시민행동 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시대 기업의 생존에 있어 임파워링 리더십의 가치를 확인하게 되었으며, LMX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경영 문헌의 지식의 확장시키고 MZ세대 위주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시사점을 제언한다.
        6,1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탈에 대한 연구의 출발은 혁신의 경우 프로세스의 일탈에서 수반된다는 주장(Dougherty & Heller, 1994)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긍정적 측면의 건설적 일탈(constructive deviance)로 개념화 되 었다. 조직을 둘러싼 환경변화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창의적인 사고와 이를 통한 문제해결 및 선제적 인 행동을 요구하는데 건설적 일탈의 개념이 혁신과 변화 그리고 선제적 행동 측면에서 조직의 규정과 규범을 어기면서까지 더욱 적극적인 행동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건설적 일탈행동의 선행변수의 규명 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건설적 일탈행동의 선행변수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 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과정과 맥락으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 다. 건설적 일탈행동의 선행변수로 임파워링 리더십을 설정하였으며 직무열의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직무열의가 건설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위험감수성향의 조절효과도 살펴보았다. 또한 매개와 조절을 모두 반영한 조절된 매개효과도 살펴보았다. 건설적 일탈행동은 대인관계와 조직도전으로 구성하였다. 관련 변수들에 대한 문헌을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광역시 소재 제조업 15개, 서비스업 30개 기업에서 근 무하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동일방법편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사와 조직구성원들로 응답원을 나누었으며 총 40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Hayes(2018)의 프로세스 매크로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건설적 일 탈행동: 대인관계, 건설적 일탈행동: 조직도전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 무열의에도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는 건설적 일탈행동: 대인관계와 건설적 일탈행동: 조직도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행동: 대인관계, 건설적 일탈행동: 조직도전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셋째, 위험감수성향은 직무열의와 건설적 일탈 행동: 대인관계, 건설적 일탈행동: 조직도전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즉, 직무열의가 건설적 일탈행 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위험감수성향이 높은 경우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는 위험감수성향이 높은 경우 매개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어 조건부 간접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직구성원들의 건설적 일탈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임파워링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매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 무열의가 건설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위험감수성향이 높은 경우 영향력의 확대가 이루어 지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건설적 일탈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도 위험감수성향이 높은 경우가 큰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건 설적 일탈행동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과정과 맥락으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 적 의의 뿐만 아니라 실무적 의의도 갖는다.
        6,000원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조직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경쟁 우위의 원천으로서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촉진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주목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효 과성이 확인된 리더 겸손이 구성원의 자발적이면서 희생적인 행동이라 할 수 있는 지식공유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리더 겸손과 지식공유 간의 연구 관심 부족과 함께 리더 겸손의 영향력 과정 및 이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리더 겸손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의 정(+)적인 관계를 검증하여 지식공유에 대한 리더 겸손의 효과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둘째, 리더 겸손의 영향력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리더에 대한 충성도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리더 겸손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리더 전문성을 선정하여 리더 겸손이 미치는 효과의 역동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해군 간부를 대상으로 상사-부하 196쌍의 자료를 확보한 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및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더 겸손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에 대한 충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 겸손이 리더에 대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 전문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구체적으로 리더 전문성이 높을수록 정(+)적인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리더 겸손이 리더에 대한 충성도를 매개로 지식공유에 이르는 영향도 리더 전문성이 높을수록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높일 수 있는 리더십 유형으로 리더 겸손의 가치를 확인하였으며, 리더에 대한 충성도의 매개효과 및 리더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문헌에 관련 지식을 확장하는 이론적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증진하기 위하여 리더십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인사 배치 등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5,500원
        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기업체에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성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직무열의 에 미치는 영향과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하여 리더의 진성리더십 행동이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구성원들의 자율성 및 상사신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있는 기업체 근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3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성리더십은 직무자율성에 정(+)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활력, 헌신, 몰두 등 3가지 변인 모두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율성이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활력, 헌신, 몰두 간에 모두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신뢰가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활력, 헌신, 몰두 간에 모두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 구성원의 직무자율성은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하위변인 간에 주요한 변인임을 확증하였으 며, 상사신뢰 또한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 하위변인 간에 주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기업조직 에서는 리더가 진정성을 가져야 하며, 구성원의 직무자율성을 고양시키고 상사와 부하간의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6,000원
        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of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when road repairing.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is road traffic safety equipment and to conversions mechanical engineering and IT when road repairing. METHODS: The study used AHP based on the survey from road repair related expert that field engineers, design engineers, public officials and professors. The survey used paired comparison. The survey items were safety, convenience and economics. The safety is classified as visibility or efficiency, the convenience is classified as utility or mobility and the economics is classified as initial investment cost or maintenance $ management cost. The survey alternatives were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traffic regulation by human, traffic regulation by mannequin and traffic signs. The software for AHP is Expert Choice 2000. RESULTS : The results of AHP analyze, the weighted value of safety was analyzed with the highest at 0.488 of survey items. The weighted value of convenience was analyzed at 0.295, the weighted value of economics was analyzed at 0.218. The results of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the weight value of efficiency and utility were analyzed with the highest at 0.284 and 0.259 of alternatives. The weighted value of initial investment cost and maintenance & management cost were analyzed with the lowest at 0.203 and 0.211 of alternatives. The consistency test results of each items, null hypothesis is rejected because the CR values were 0.000 respectively. Therefore, the study results are consistency.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overall value of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came off second-best of other alternatives.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has been received highest praise by the result of the study as good road traffic safety equipment when road repairing because the weighted values of efficiency and utility were analyzed with the highest of survey items. The efficiency mean securing safety and the utility mean practical assistance when road repai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will effective for traffic safety when road repairing. economics and visibility are that supplementation of the road traffic safety moderator robot because the weighted values of economics and visibility were analyzed with the lowest of survey items. The consistency test results are consistency because the CR values were 0.000 respectively.
        4,000원
        6.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is scarce research in the domain of sustainable marketing and renewable energy,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area. The consumers should adopt and increas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RE) because renewable energy sources contribute to reduce the dangerous gas emissions and resource depletion.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what drives the consumer demand for RE is essential. Sustainable marketing ha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d promoting sustainable patterns and levels of consumption of the end users.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the knowledge about renewable energy (RE_KNOW), the attitude toward RE (RE_ATT), the willingness to pay more for RE (RE_WPM) and the predisposition to ecological consumer behaviour (ECCB) were analysed as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use RE (RE_INT). Moreover, the effects of RE_KNOW on RE_ATT and on ECCB and the effects of RE_ATT on ECCB and on RE_WPM were also assessed. Based on an online survey, the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onstructs were assessed presenting good valu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 The results confirm all the determinants of RE_INT except the RE_WPM. The ECCB is the stronger determinant of the RE_INT, followed by the RE_ATT. The beliefs – attitude – intention link was found which supports the TRA. The effect of RE_KNOW is stronger on ECCB than on RE_ATT, and the effect of RE_ATT is stronger on ECCB than on RE_WPM. Furthermore, the moderator effects of sex and age were evaluat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For women and men, the proposed relations do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for the younger group, RE_ATT is the on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RE_INT whereas, for the older one, ECCB and RE_WPM are the significant ones. For younger individuals, RE_KNOW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RE_ATT which in turn has a direct, positive and strong effect on RE_INT,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RE_ATT has a direct, positive and stronger effect on ECCB than RE KNOW has. For older individuals, the relation RE_KNOW– RE_ATT – RE_INT is not significant. This research offers insights that help the electricity companies to develop sustainable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broadly support the attitude-behavior link for consumer RE use. However, for specific groups, the older one, this is not the case. To capture younger consumers it is important that companies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RE_KNOW and consequently to strengthen RE_ATT to obtain strong RE_INT and RE use. However, to conquer older consumers the effort should be putted more on the reinforcement of ECCB and on the RE_WPM. Therefore, the marketers need to develop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target groups to promote the electricity products. Campaigns about renewable energies, their advantages and impact on the environment should be targeted to younger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RE However, to attain more willingness to pay a price premium for green electricity by the older consumers, the companies should document and communicate well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their green offers. Moreover, for this older group, the promotion of other consumer sustainable behaviors will be desirable since the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RE.
        7.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labeling as a technique to promote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children, and examine more specifically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age. We run an experiment on a sample of 115 3rd to 6th grade children and show that 1/ children exposed to a social labeling actually declare more pro-environmental behaviors and that 2/ children at an intermediate age (between 9 years and a half and 11 years and a half) are the most responsive to the technique, underlying an inverted-U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abeling effectiveness and children's age. These results contribute to a bette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labeling mechanism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makers.
        4,000원
        8.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 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8,900원
        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의료환경 변화에 따라 병원조직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리자의 바람직한 리더십의 개발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조직구성원의 창의성과 혁신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하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기업 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과 일부 호텔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제한된
        5,700원
        1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간과 돈 효과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돈보다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 및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과 돈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는 각 개인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시간은 경험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은 물질적 제품보다 경험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하는 반면, 돈은 소유로 대표되는 물질주의적 가치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경험적 제품보다는 물질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품유형에 스마트폰을 더하여 시간과 돈의 효과가 소비자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였던 제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만족도에 대해 시간과 돈 활성화 조건과 3 가지 제품유형(패밀리 레스토랑, 스마트폰, 고급브랜드청바지)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스마트폰에 있어서는 시간활성화가 돈활성화보다 높은 만족도를 유발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1에서 사용된 제품유형에 대한 이미지 광고를 사용하여 시간과 돈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구매의사, 개인적 관련성 변인 모두에서 시간돈활성화 조건과 제품유형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역시 스마트폰에서만 유의미한 활성화조건간 차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활성화조건의 주효과도 관찰되어 시간활성화 광고가 돈활성화 광고보다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용적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4,000원
        12.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성인 불안정 애착, 대인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8개교의 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성인 불안정 애착, 심리적 소진, 대인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변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불안정 애착이 강할수록 심리적 소진이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성인 불안정 애착과 소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성인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 불안정 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을 하여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경기보조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근무환경의 개선 등에 고려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남북도 7개의 골프장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 집락 무선 표집에 의해 골프경기 보조원 5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에 대한 척도로서 각 척도별 문항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후 본 조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첫째, 골프 경기 보조원의 연령, 경력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고, 학력에 따라 업무관련 스트레스와 동료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라운딩 횟수에 따른 차이는 동료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령과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 요인 중 자기발전 요인에서 차이를 보였고, 결혼유무에 따라 직업가치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골프 경기 보조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간의 인과성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관련한 세부적인 논의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