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개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지지,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1.0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및 일원 변량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 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환경적 요인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환경적 요인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는 개인 환경 적 요인,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개인 환 경적 요인 및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 다.
        8,900원
        2.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직 무열정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이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정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며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며,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 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정은 직무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개인환경 요인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요소를 반영하여 직무열정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
        6,400원
        3.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ung Angklung Udjo (SAU) is recognized as a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in Indonesi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sumer personal value toward SAU. This research reported that consumers perceived angklung as an unique and attractive musical instrument and felt very satisfied to performance in SAU.
        4,0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변혁적 리더십 이론은 꾸준히 현재까지 연구되어 왔으나 상황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개인특성, 조직특성, 과업특성의 범주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제조업, 건설, 금융, 컴퓨터서비스업 등 4개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598명을 대상으로, 상황변수로서 개인특성을 도입하여,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들 사이에 있어서 내통제 성향, 부하의 성숙도, 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모형적합도 검정결과
        6,100원
        5.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and insight into behaviors that result in increased continuous sales and competitiveness. This was done by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 involve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switching cost and loyalty, the effect of trust on switching cost and loyalty and by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 of trust and loyalty to personal involvement on switching cost and loyalty of the patrons of casual dining restaura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a hypothe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propos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the proposed model was analyzed using LISREL 8.30 to prove the hypothesis and better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ause and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ix proposed hypothesis were chosen and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In other words, customers' personal involvement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trust and devotion and satisfaction influenced switching cost and loyalty. Trust had an effect on switching cost and loyalty and by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 the customers' personal involvement was shown to affect the switching cost and loyalty through satisfaction and trus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provides clues to better understand the eating-out behavior of customers and proves that personal involvement, satisfaction, trust, switching cost and loyalty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4,000원
        6.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employed in different foodservice settings. The subjects were dietitians(n=830) employed by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in Daegu Gyeongbuk a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determin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were the highest for hospital dietitians, and the lowest for industry dietitians (p<0.05). Industry dietitians felt significantly less loyal to their organizations than did the other dietitians(p<0.05). School and hospita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ay they cared about the fate of their organizations and thought their organizations were the best to work for. Age, education, length of employment, and wag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spital dietitians' commitment(p<0.05). For all dietitians, the fewer the work hours, the higher the commitment(p<0.05). When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their jobs, dietitians express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co-workers, and the least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ies. Schoo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pay and promotion than were the other dietit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ssociated with wages(0.05), autonomy(0.08), feedback(0.16), dealings with others(0.07), and task identity(0.09).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0.13), wages(0.10), autonomy(0.18), friendship opportunities(0.14), feedback(0.16), task identity(-0.1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0.40) (Lisrel program).
        4,600원
        7.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 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각 하위요인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직무만 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종속변수 와 관련되는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설명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련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도의 7개 요인중 동료애와 교직의식은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 과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발전성과 혁신성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만 관련되었고, 보상, 자율성, 업무부담 완화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에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던 직무만족도 요인은 보상뿐이었다. 이러한 결 과들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8.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 팀 선수들이 인지하는 과제상호의존성과 팀 소속기간에 따라 조직분위기가 개인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연고를 둔 청소년 축구선수들로 중학교 6개, 고등학교 11개 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답변을 한 8부를 제외한 42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삼원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상호의존성 중 팀승리에 대한 믿음이 높고, 선수들이 함께한 시간(팀 소속기간)이 길수록 조직 분위기가 개인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강화되었다. 특히, 조직분위기 구성요인 중 리더특성이 상호의존성과 팀 소속기간 수준에 따라 개인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므로 지도자의 행동유형이 선수 개인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 개인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과제상호의존성, 조직분위기와 같은 구성원 간 내재된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팀 소속 기간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