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phidius is the most commercially available species in greenhouse control, especially for aphids. Although twelve species were recorded in Korea, we collected 7 species including 2 unrecorded and 1 unidentified species. We aligned 16 sequences, except for duplicates, from 31 individuals of 14 species including GenBank sequences, and made phylogenetic tree based on Neighbor-Joining method. Surprisingly, 3 species were clustered into a clade and some species was not monophyletic. In this study, we reconstructed phylogenetic tree of Korean Aphidius species using COI marker, and compared them with GenBank sequences. In addition, we try to experiment a new marker and check its ability of discrimination.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umping plant-lice (Hemiptera: Psylloidea) are known for a few deleterious pest species worldwide, yet the phylogeny of the group has been poorly understood. The goal of researching the Korean Psylloidea is to achieve a total overview of the group. The systematic study relies on three main pillars which are i) the taxonomic review of superfamily Psylloidea in the Korean Peninsula, ii) the correction of taxonomic confusions caused by phenetic plasticity and iii) the molecular phylogeny of Psylloidea to elucidate the higher-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families and subfamilies of the superfamily Psylloidea. Discussions of the early diversification and evolution of Psylloidea will be presented together with comments on biogeography and host plant association.
        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perfamily Psylloidea of Korean Peninsula is systematically revised. Systematic studies on the Psylloidea are conducted mainly three themes: (1) The taxonomic review of superfamily Psylloidea (Hemiptera: Sternorrhyncha) in the Korean Peninsula, (2) DNA barcoding for the correction of taxonomic confusions and confirmation of seasonal forms, and (3) molecular phylogeny of Psylloidea to elucidate higher group relationships and to test current controversial morphological classifications.
        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syllids have shifted lately into general awareness as vectors of pathogens causing serious plant diseases, as pest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or as potential control agents of alien invasive weeds. These small insects are plant sap feeders which are generally very host specific. In addition, related psyllid species tend to develop on related plant species. This makes them an ideal group for studies on insect–plant cospeciation. A sound taxonomic and phylogenetic base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pest control and meaningful research on insect–plant interactions. Currently almost 4000 named species of Psylloidea exist worldwide of which half was described in the last three decades. Despite this tremendous progress there are at least another 4000 species which remain undescribed particularly in Africa, South America and tropical Asia. Since White and Hodkinson’s seminal paper in 1985 a series of studies tested their classification with additional taxa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In 2012 Burckhardt and Ouvrard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Five of their families (Calophyidae, Carsidaridae, Homotomidae, Phacopteronidae and Triozidae) are identical with or similar to those of White and Hodkinson but three differ fundamentally from previous classifications (Aphalaridae, Liviidae and Psyllidae). Many of the recognised families and subfamilies are restricted more or less exclusively to a single plant taxon, e.g. Calophyidae, Phacopteronidae and Rhinocolinae to Sapindales, Carsidaridae to Malvaceae, Homotomidae to Moraceae, Spondyliaspidinae to Myrtaceae, and many Psyllidae to Fabaceae. The 1000 described species of Triozidae, in contrast, have colonised many families of dicots and, a few, even monocots and conifers. Several analyses suggest that cospeciation may be less important than geographical vicariance to explain the observed species richness in psyllids, and that shifts to new host taxa are frequent.
        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생이(Mauremys reecesii)는 파충강(Reptilia) 거북목 (Testudines) 남생이과(Geoemydidae)에 속하며, 오염되지 않은 일부 하천, 강이나 호수 등 유속이 느린 담수에 서식한 다.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도서지방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며, 국외에는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경제개발 위주의 사회변화에 따른 극심한 환경오염,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 남획,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소실 등의 이유로 남생이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천연기념 물 제 453호와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 어 보호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의 적색목록에 등재되었고, 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의 부속서 III에 포함되어 국제거래를 규제하고 있지만, 아직도 불법적으로 거래가 많 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남생이의 분포현황 및 서식처 복원 등 남생이의 증식・복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 들이 진행되었고, 교잡종, 종 식별, 계통진화학적 기원 등 분 자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에 서식 하는 남생이 집단과 중국 남생이 집단과의 분자유전학적 연 관성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예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남생이 미토콘드리아 DNA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b(CYTB) 유전자를 이용하여 한국 남생이 집단 과 중국 남생이 집단의 mtDNA 다형성과 계통구조를 비교 하고, 동아시아 집단들과의 계통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남생이의 꼬리, 등갑, 혈액 등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였고, CYTB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남 생이 집단의 계통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해외에 서 보고된 남생이의 CYTB 서열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한국 남생이 집단(n=47)의 haplotype을 분석한 결과, 총 6가지 haplotype (Kor01-Kor06)으로 구분되었고, 대부분 Kor01 (n=19)과 Kor03 (n=23) haplotype에 포함되었다. 중국 남 생이 집단(n=40)도 6가지 haplotype (Chi01- Chi06)으로 나 뉘며, 30개체의 CYTB 서열이 Chi01에서 발견되었다. 한국 과 중국의 남생이들을 모두 함께 분석한 결과에서 CYTB 유전자 서열(n=87)은 7가지 haplotype (KChi01-KChi07) 으로 구분되었고, KChi01 (n=53)과 KChi03 (n=23)에서 많 은 개체들이 포함되었다. 동아시아 남생이의 CYTB 유전자 서열(n=226) 전체는 총 6가지 hapotype (Hap01-Hap06)으 로 구분되었다. 한국, 중국, 일본의 남생이 집단에서는 각각 4개의 haplotype이 있었으며, 대만 집단에서는 3개의 haplotype이 확인되었다. 중국 남생이 집단은 Hap01, Hap02, Hap04, Hap05에 포함되었고, Hap01이 85.0% (n=34)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한국 남생이 집단은 Hap01, Hap03, Hap04, Hap05에 포함되었고, Hap03에서 51.0% (n=24)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CYTB 서열들 간의 유전적 거리지수는 0.0009-0.0212 사이 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에서 발견 된 6가지 haplotype 중에서 한국 남생이의 CYTB 서열만으 로 구성된 haplotype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의 남생 이가 다수 포함된 Hap03에서 중국 남생이의 CYTB 서열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점은 한국 집단과 중국 집단이 지리적 으로 격리되어 진화한 결과로 추정되며, 현생 남생이에 대 한 한국 고유 집단과 중국 고유 집단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에서 발견 된 mtDNA CYTB 서열의 haplotype들과 근연종의 CYTB 서열의 NJ tree 분지 양상에서,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6개 의 haplotype들은 Hap04와 Hap05를 포함하는 하나의 cluster(A1)와 Hap01, Hap02, Hap03, Hap06을 포함하는 또 다른 cluster (A2)로 구분되었다. A2 cluster는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대부분의 서열(n=215)을 포함하여 95.1%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haplotype의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국가별 남생이들이 서로 혼재 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각 국가별로 다수의 서열을 포함하 는 haplotype은 서로 구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남생이 집단의 6개의 haplotype들은 계통수 상에서 모두 단계통적 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하나의 선조집단에서 진화 한 집단들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이동과 지리적인 격리 이 후 지역 내 진화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현재 한국의 남생이 집단은 우리나라 고유집단으로 추정되 는 것과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이 공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mtDNA CYTB 유전자 서열을 토대로 유전적 다양성 및 계 통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은 진화과 정을 통해 유전적으로 모계가 다양한 개체가 서식하고 있다 고 판단된다. 비록 분석에 이용한 서열이 일부 지역에 편중 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유전자 서열과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유연관계는 향후 남생이의 보존 및 유전적 특성을 이용한 모계 분석 등에 유용한 정보 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양한 서식지에서 수집된 충 분한 수의 남생이를 대상으로 mtDNA의 다른 유전자 서열 이나 핵 DNA marker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 진다면,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남생이의 모계 유전 및 계통 유연관계를 보다 명확히 해석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arabaeus typhon has the extensively wide distribution from Europe to the Far East Asia and the extremely similar morphological feature with closely related species. The Korean population of S. typhon had often been confused in its specific status including several misidentifications and synonymous name. By these circumstances, we presu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exist potential cryptic species or subspecies, which might be separated between local populations across their distribution range. Therefore,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reassess that the geographical populations of S. typhon can be divided into each other and to establish a sketchy knowledge of its unknown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ives using COI gene and comparative morphology. As the result, S. typhon was detected as a single species despite to have the wide distribution and the various intraspecific distances ranging from 0.67% to 3.50%. Two species, S. pius and S. babori were revealed to have two distinct lineages respectively. Among them, two Korean female specimens were detected belonging to group B of S. pius, it is suggested as a cryptic species or subspecies.
        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yster mushrooms including of P. ostreatus, P. eryngii, P. pulmonarius and P. cornucopiae are one of the famous mushrooms for foods in Korea. RAPD were carried out using 14 of oligoprimers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57 strains of 32 Pleurotus species. Most of species formed the minimum clade with strains within species and was divided respectively species. Therefore clade was separated well in accordance species. Pleurotus species formed again clade to be added in close related to other species, and were discriminated by sixteen clades with each representative species including high similarity groups. Sixteen clades were composed representative species according to each clade. There were clade I of P. pulmonarius(P. sajor-caju, P. opuntiae, P. sapidus), clade II of P. eryngii(P. fuscus var. ferulae, P. fossulatus), clade III of P. ostreatus(P. ostreatus var. columbinus, P. spodoleucus, P. floridanus), clade IV of P. florida, clade V of P. djamor(P. flabellatus, P. incarnates, P. salmoneo-stramineus), clade VII of P. populinus(P. subareolatus), clade VIII of P. cystidiosus(P. cystidiosus var. formosensis), clade X of P. dryinus(P. dryinus var. pometi), clade XIV of P. cornucopiae(P. citrinopilieatus, P. euosmus), and clade XV of P. australis. These species were representative species each clades. Five species, P. ulmarius(clade VI), P. griseus(clade IX), P. calyptratus(clade XI), P. lampas(clade XII), P. smithii(clade XIII)and P. serotinus (clade XVI) were used each one strain in analysis, so they were clustered other groups.
        4,000원
        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eurotus has increased rapidly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cause of highly nutritional value, natural healthy food and so on. The basic studies for Pleurotus need for development of mushroom industr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mong 15 strains of 6 species and to analyz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mycelial growth activity at different media, temperature and pH. The optimum media for mycelial growth were YM and MCM in most specie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ere 25˚C and 30˚C. The optimum pH for mycelial growth were widly range from pH 5.1 to 7.4. Through the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IGS (intergenic spacer) I region in ribosomal DNA, it was analyzed phylogeny of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Each species was discriminated well as isolates within each species formed clade to be distinguished other species. P. florida was highly similar to P. floridanus, and P. flabellatus was P. cornucopiae. P. fuscus var. ferulae was highly similar to P. eryngii but discriminated different species in analysis of RFLP of IGS I region and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mycelial culture. RFLP of IGS I region was useful of studying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pecies and population.
        4,000원
        1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vious studies for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Elateridae were carried out, but not constructed a reliable evolutionary hypothesis.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robust evolutionary hypothesis, focusing on major subfamilies of the family Elateridae sensu stricto, using extensively selected 12 genetic markers, COI, 16S rRNA, 18S rRNA, 28S rRNA and 8 nuclear genes. As the results, phylogenetic analyses for 12 multiple genes constructed robust phylogeny with almost very strongly supported nodal values (>90%) and represented that the previously questioned systematic positions of nine subfamilies are fully resolved, excepting the basal lineage split. Especially, three subfamilies, which were recently reduced into tribal rank, Hypnoidinae, Oxynopterinae, and Denticollinae are monophyletic, respectively, and it is supported the traditional taxonomic schemes that had been treated these three taxa in subfamily rank. Whereas, Elaterinae, Hiopinae, and Melanotinae are clustered to a monophyletic group. Two tribes, Denticollini and Ctenicerini in Denticollinae are paraphyletic, respectively and it needs to reclassify their systematic positions. This study recovering of relationships between subfamilies using 12 gene loci resulted that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re sufficiently and successfully resolved with strong supported nodes and provided more possible interpretations from subfamily to tribal levels than the previous studies.
        1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비늘버섯속 18 균주와 개암비늘버섯 2 균주를 대상으로rDNA의 ITS region 염기서열과 genomic DNA의RAPD-PCR을 수행하였다. ITS1과 ITS2영역의 염기의수는 각각 233~271, 158~233 그리고 174~219 염기쌍으로 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는데 ITS2영역의 염기서열이 ITS1의 영역보다 변이가 높았고 5.8S지역의 염기의 수는 비교적 변이가 적었다. 각각의 균주 간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ITS영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계통도를 작성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8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종의버섯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20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비늘버섯속 버섯을대상으로 RAPD-PCR을 수행한 결과 15개의 primer가효과적으로 염색체 DNA를 증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증폭의 양상은 primer의 종류와 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계통수는 ITS 영역의 PCR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험에 사용한 비늘버섯속 버섯의 종과 계통 간의 유연관계는 높았으며, rDNA ITS 영역의 염기서열분석 결과를 이용해 공시된 각각의 비늘버섯 종을 분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였다.
        4,000원
        1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imicomorpha is one of the most diverse groups in true bugs, and attract a great attention for a variety of reasons, among them, extraordinary insemination methods in the bed bugs and their relatives (Cimicoidea), feeding-habits alternations in the plant bugs (Miridae), parasitism in the bed bugs and their relatives (Cimicidae and Polyctenidae), agricultural pests in the lace bugs and the plant bugs (Tingidae and Miridae),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the minute pirate bugs and the plant bugs (e.g., the genus Orius), disease transmission in the Triatominae (Reduviidae), and micro-habitat transition in the assassin bugs and the flower bugs (Reduviidae and Anthocoridae). In this talk, we propos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Cimicomorpha especially including some critical taxa in terms of the biological traits such as haemocoelic insemination and parasitism (e.g., the species belonging to Lasiochilidae, Lyctocoridae, Prostemminae and Corydromius). Based on the phylogenetic results, we also present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specialized biological traits of the Cimicomorpha using phylogenetic comparative analyses.
        1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집한 83개의 뽕나무버섯속 균주의 rDNA의 ITS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수집한 균주목록과 종이 다르게 동정된 균주가 52%였으며. 같은 종으로 분류한 균주들 간에도 균사 및 균사체의 배양 특성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수집 균주간의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 결과 A. tabescens, A. mellea, A. novae-zelandia, A. gallica, A. ostoyae 등으로 분류되었고, A. gallica, A, cepistipes, A, gemina는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여 ITS 유전자 수준에서 종을 동정하기는 어려웠다. ASI10104 등 12균주는 A. gallica, A, cepistipes, A, gemina와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ASI10017과 ASI10114는 A. sinapina, ASI10045는 A. borealis, ASI10002와 ASI10025는 A . ostoyae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뽕나무버섯속 균주에 대한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종류의 유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존중인 잎새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보존 당시 동정한 결과와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학명이 다른 균주가 4균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잎새버섯속은 모두 G. frondosa로 동정되었고, 일본에서 수집한 3균주 중 1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2균주는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국에서 수집한 3균주중 2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고, 1균주만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같은 종내에서도 분포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밴드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G. frondosa 1개의 분류군으로 이루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crosiphini is the most largest group in aphids, comprising near half of the described aphid species. The existence of Macrosiphini could be related to host alternation and various life cycle. Sinc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tribe Macrosiphini has been still controversial, we analyzed Bayesian phylogeny (BP) and Maximum-likelihood (ML) based on molecular data (cytochrome oxidase I, tRNA-leucine+cytochrome oxidase II, 16S ribosomal RNA and elongation factor-1 alpha gene), and compared with the Shaposhnikov (1998) 's subtribal division: Macrosiphina, Myzian, Anuraphidina and Liosomatinae. Analyses for host range association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e.g. Siphunculus and antennal tubercle on head) correspond to the tendency of host range radiation in the tribe Macrosiphini.
        1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존중인 Polyporus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보존 당시 동정한 결과와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종이 다른 균주가 3균주와 학명이 다른 균주가 4균주로 전체의 53.8%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Polyporus속은 경우 P. alveolarius, P. brumalis, P. squamosus, P. tuberaster, P. arcularius 등 5개 종으로 동정되었고, 미국에서 수집한 균주는 P. alveolarius와 P. arcularius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일본에서 수집한 균주는 P. arcularius로 동정되었다. RAPD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Polyporus속간에는 완전히 다른 밴드 패턴을 보였지만 같은 종내에서는 비슷한 밴드 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P. alveolarius 등 5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Nymphalidae (Lepidoptera: Papilionoidea) have been controversial in several 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sequenced a total of ~ 3,500 bp from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16S ribosomal RNA (16S rRNA), and elongation factor-1 alpha (EF-1α) in 80 nymphalid species belonging to seven subfamilies (Linmenitidinae, Heliconiinae, Nymphalinae, Apaturinae, Libytheinae, Satyrinae, and Danainae), along with those of six lycaenid species as outgroups. Phylogenetic analyses via Bayesian Inference (BI) and Maximum Likelihood (ML) algorithms concordantly supported the subfamilial relationships of (((((Linmenitidinae + Heliconiinae) + (Nymphalinae + Apaturinae)) + Libytheinae) + Satyrinae) + Danainae), with high nodal support for monophyletic subfamilies and tribes. This result is largely consistent with a previous study performed with a substantially large sequence inform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except for the position of Libytheinae that has previously been placed as the sister to all reminder of Nymphalidae.
        1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Nymphalidae (Lepidoptera: Papilionoidea) have been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sequenced approximately 1,099 bp from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1,336 ~ 1,551 bp from 16S ribosomal RNA (16S rRNA), and 1,066 bp from elongation factor-1 alpha (EF-1α) in 80 species belonging to seven subfamilies (Linmenitidinae, Heliconiinae, Nymphalinae, Apaturinae, Libytheinae, Satyrinae, and Danainae) of Nymphalidae, along with those of six lycaenid species as outgroups. The average base compositions for the three genes (COI, 16S rRNA, and EF-1α) are as follows: A (30.6%, 38.8%, and 25.8%), G (14.7, 5.2%, and 23.6%), T (39.8%, 45.2%, and 23.4%), and C (14.9%, 10.8%, and 27.3%). This result shows the A/T bias in the mitochondrial genes, but not for the nuclear EF-1α. Between the two mitochondrial genes, the 16S rRNA gene evidenced a significantly higher A/T content than was detected in the COI gene. These sequences were subjected to phylogenetic reconstruction via Bayesian Inference (BI) and Maximum Likelihood (ML) algorithms. Both analyses concordantly supported the subfamilial relationships of (((((Linmenitidinae + Heliconiinae) + (Nymphalinae + Apaturinae)) + Libytheinae) + Satyrinae) + Danainae), along with highly supported monophyletics of tribes within subfamilies. This result is largely consistent with a previous study performed with a large sequence inform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except for the position of Libytheinae, which was suggested to be the basal lineage of Nymphalidae.
        1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oidea) and the rice leaf roller, Cnaphalocrocis medinalis (Lepidoptera: Pyralidae), were sequenced. Each 15,388 bp and 15,368 bp-long genome contained both the lepidopteran specific gene arrangement that differ from the most common arrangement of insects by the movement of tRNAMet to a position 5’-upstream of tRNAIle. Neither of the species have typical COI start codon. Instead, the CGA (arginine) sequence that is commonly present in other lepidopterans was also found both in S. litura and C. medinalis. The evolutionary rates among 13 protein-coding genes (PCGs) in Lepidoptera showed ATP8 the highest, whereas COI the lowest. The high A+T-content, which is characteristic of mitochondrial genome was well reflected in the two lepidopteran mitochondrial genomes: higher frequency of A/T-rich codons, severe A/T bias in 3rd codon position, and extremely high A/T content in the A+T-rich region. Because insect mitochondrial genomes harbor biased nucleotide and resultantly biased amino acid sequences, phylogenetic inference is often misled by them. Although each recoded and unrecoded datasets for nucleotide sequences and amino acid sequences of PCGs provided overall identical topology, regardless of recoded scheme, each nucleotide and amino acid dataset provided difference in the status of Macrolepidoptera, providing a monophyletic group by amino acid dataset, whereas non-monophyletic group by nucleotide dataset.
        2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존중인 구름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보존 당시 동정된 결과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종이 다른 균주가 5균주와 학명이 다른 균주가 6균주로 전체의 61%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구름버섯의 경우 T. versicolor, T. elegans, T. gibbosa 등 3개 속으로만 동정되었고, 미국에서 수집한 균주는 T. junipericola로 동정되었다. Trametes spp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T. versicolor와 T. gibbosa는 아주 다른 밴드 패턴을 보였다. 또한 같은 종내에서서 분포지역에 따라 상이한 밴드 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T. vericolor 등 4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비교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보존진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