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들깨 재배지의 식물기생선충 감염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1월 21일부터 10월 27일까지 8개 시군의 노지, 시설 들깨 재배지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 51점을 분석하였다. 들깨 재배지에는 뿌리썩이선충류, 나선선충류, 뿌리혹선충, 위축 선충이 감염되어 있었으며, 뿌리썩이선충 (39%)과 나선선충 (55%)이 다른 선충에 비해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들깨는 연작연수가 증가할수록 뿌리썩이 선충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1년 이상 연작하면 5년 미만일 때보다 발생 빈도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잎들깨와 종실용 들깨 재배지에 감염된 선충 종류와 밀도는 차이를 보였다. 들깨 검출 선충 가운데 경제적으로 중요한 뿌리썩이선충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2속 3종 (Pratylenchus penetrans, P. vulnus, Pratylenchoides leiocauda)의 뿌리썩이선충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들깨 밭의 선충 관리 전략 수립 을 위해서는 뿌리썩이선충이 문제 선충이라는 점이 고려 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lectrolysis techniques(electrokinetic) generally have been used mainly to remove the inorganic salts like Cu, Pb etc. in the soil. In the organic living, the effects of electrolysis has a direct impact on survival by dissociation of the ions inside the cell and accumulation of energy within cells.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for susceptibility to nematodes(Meloidgyne javanica, Pratylenchus coffea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current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Using the electrolytic bath and electrolyte material(TAE buffer, Nacl), the susceptibility of nematodes was evaluated in the range of 30 ~ 60V, 0.02 ~ 0.77A. Unusually, the high voltage and amperage did not increase the death rate of nematodes and the most resistant stage was not clear because sensitivity of each stage could not be distinguished. In 30V 0.52A, 0.70A, 0.72A, M. javanica eggs processed for 10 minutes did not hatch at all. In 30V 0.58A, M. javanica juveniles processed for 5 minutes were showed 100% mortality and in 30V 0.77A, P. coffeae juveniles processed for 5 minutes were showed highest sensitivity compared to other treatment range.
        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ost effective way to control plant parasitic nematodes are immersed in hot water, but the larger-scale processing is difficult to adjust a target processing temperature. Thermal equilibrium formula used to fit the processing temperature was very accurate and effective. Use of the thermal equilibrium formula was determined to be well suited on commercial scale(1400L volume chamber) hot water immersion treatment that should be quickly processed. 1000L of water based on 10%(111kg), 12%(136kg), 15%(176kg) filling ratio was applied in 48oC for 30min treatment and only 10%, 12% filling ratio was applied in 49oC for 10min. In 10% filling ratio, thermal equilibrium has been proceeding rapidly in 1-2 min, and no juvenile hatched in all treatments(at 48oC for 30min, at 49oC for 10min). In 12% filling ratio, though thermal equilibrium has been proceeding in 2 min, few juveniles were hatched in boundary temperature at 49.0oC. In 15% filling ratio, it took 7-8 minutes to reach thermal equilibrium after dipping. The result of applying the two treatment conditions(at 48oC for 30min, at 49oC for 10min) to commercial scale field experiment showed nematodes were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in hooker chive roots. However, some of living nematodes were observed in 15% filling ratio treatment.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의 콩밭에서 274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콩씨스트선충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38%(25-51%)였고 씨스트 밀도는 토양 300 cm3 당 평균 46개(1-500)로 중요도 1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검출율은 약 13%였는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에서 높은 검출율(16-44%)을 보여 중요도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내부기생성 선충인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은 경기, 강원 등 북부지역에서 검출율(10-13%)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중요도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나선선충류인 Helicotylenchus는 특히 제주에서 검출율과 밀도가 높았는데(62%, 토양 300 cm3당 평균 571마리), 제주도는 국내 나물콩의 주산지로 앞으로 나선선충이 나물콩에 피해를 주기 않을까 우려되며 중요도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위축선충류인 Tylenchorhynchus, 침선충류인 Paratylenchus, 주름선충류인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검선충류인 Xiphinema, 궁침선충류인 Paratrichodorus,Trichodorus 등은 국내 콩밭에서는 밀도와 검출율이 낮음으로 중요도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의 선충들은 콩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식이성이 토양 조균류인 Tylenchus, Aphelenchus, 잎선충류의 Aphelenchoides, 줄기구근선충인 Ditylenchus, 벼뿌리선충, Hirschmanniella immamuri, 그 외 꼬리주름선충 Basiria graminophila, 곤봉선충류인 Psilenchus, Pseudhalenchus 등은 콩밭에서 드물게 발견이 되고 콩에 대한 피해는 알려져 있지 않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창선충 Hoplolaimus tylenchiformis는 콩에 상당한 피해를 끼치는 선충이나 표본미확인 상태임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콩밭에서 총 26속 41종의 식물기생성선충이 보고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충 종류별 콩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콩 식물기생성선충을 16속 30종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주요 콩 기생선충의 중요 우선순위는 1) 콩씨스트선충, 2) 뿌리혹선충, 3) 뿌리썩이선충으로 생각되며 4) 제주지역의 나물콩은 나선선충의 피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4,000원
        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1956 the state of Florida has been implementing Nematology regulatory programs to protect high value crops such as Citrus spp and ornamental plants. The discovery of Radopholus similis, which causes a severe disease called “spreading decline” of citrus, during the 1950s, prompted the state to develop and implement strict phytosanitary and regulatory measures, including quarantine and a citrus nursery certification program to avoid further dissemination of the nematode. This also included two other major citrus pathogens, Pratylenchus coffeae and Tylenchulus semipenetrans. Also, ornamental and other plant nurseries certification programs were implemented to promote the export of plants to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markets. These markets have restrictions against the movement of R. similis and other plant-parasitic nematodes that occur in Florida. Other plant-parasitic nematodes present in Florida, not regulated internally but regulated by other states and countries include Rotylenchulus reniformis and Belonolaimus longicaudatus. Regarding root-knot nematodes occurring in Florida, only Meloidogyne enterolobii is of regulatory concern because its ability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Mi-1, N, Rk, Tabasco and in omato, bell pepper, cowpea, sweet pepper and soybean, respectively, as well as other unidentified genes in soybean cultivars. The identification of M. enterolobii using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characters, molecular markers, such as isozyme phenotypes (esterase and malate dehydrogenase) and mtDNA (C2F3/1108 primer set) will be discussed.
        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nematologists we should ask ourselves how has nematode management changed or improved over the past 50 years. During this period we have lost over 12 key chemicals used as nematicides, some of which were highly efficacious. And in the meanwhile practically none have been added to our chemical control guides. This is problematic as we move into the future. For example, high value vegetable crops were highly dependent on methyl bromide for the past 40+ years. This product, whether used singly or in formulations mixed with chloropicrin, was highly efficacious against weeds, soilborne fungal diseases, and plant-parasitic nematodes. Now that the product is in very short supply, expensive, and allocated on the basis of critical use exemptions vegetable growers must begin to turn to other tactics. In 1994 scientist set a goal of developing a highly efficacious, reliable, and cost effective alternatives to methyl bromide but little success has been attained. The task was made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highly efficacious products, environmental constrains, worker protection issues, and newly imposed regulations that impact the use of soil fumigants. As a consequence we are moving toward a period when growers will be forced to choose less efficacious chemical products, if such products receive Federal registration, or choose other nematode management tactics. There has been only limited success with development of crop plants with resistance to plant-parasitic nematodes. Although promising, biological control has not yet made an impact on nematode management. Crop rotation, which has been listed as a control tactic for many years, remains one of the better choices for growers. Other tactics, e.g., solarization, organic amendments, and fallowing-flooding, etc have limited use. The pros and cons of each of these possible plant- parasitic nematode management tactics will be discussed.
        1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jor plant parasitic nematode in Chrysanthemum morifolium fields in Korea from May to June in 2005. A genus of Pratylenchus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plant parasitic nematode based on analysis of total 50 samples from 8 cities of chrysanthemum field. Pratylenchus showed 86% occurrence rate and average numbered 1,095 per 200㏄ soils and Ig root. Five Pratylenchus isolates, "Muan", "Masan", "Tean", "Gumi", "Jeongup", were selected for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of Pratylenchus, and ITS and D3-28S ribosomal DNA were amplified by PCR. For the ITS, only" Muan" isolate was differentiated by total 1 kb PCR amplification, which was 200 bp larger than all the other isolates. There was no size variation in amplified D3-28S rDNA and all isolate represented approximately 320 bp of PCR product. Sequence data of D3-28S rDNA were analysed by MegAlign program in DNASTAR software and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Sequence homology was 100% between "Gumi" isolate and "Tean" isolate and "Jeongup" isolate was also close to these isolates by 99.7% sequence homology. "Gumi", "Tean" group and "Jeongup" isolate were determined to be closely related to Pratylenchus vulnus by 96.7% and 96.3% similarity in respectively. D3 sequence of "Masan" isolate was 100% identical to P. penetrans, and "Muari" isolate showed 99.7% similarity to P. brachyurus. This result was congruent with the branch divergence pattern shown in phylogenetic tree.
        4,000원
        1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for the establishment of nematode management strategy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s in Korea. Nationwide soil collection was done in 11 areas of Cheju, Yesan, Gimchun, Goryoung, Hong chun, Pyungchang, Gimjae, Milyang, Namwon, Gangnung, and Inje in 2004-2005. Root-knot nematode juveniles(J2) were detected in 30 samples among the 50 samples. The average density was 12-69 J2/100㏄ soil. Praty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Ditylenchus sp., Tylenchus sp., and Tylenchorh-ynchus sp. were also detected in various locations, however, their densities were very low. Root-knot nematode females were collected from tomato roots inoculated with the potato field soils for PCR-RFLP identification. The females from Cheju, Milyang, and Goryung showed PCR products of 500 bp. And the Dra I restriction enzyme digestions showing 290 bp and 230 bp fragments confirmed their identity as Meloidogyne hapla.
        4,000원
        1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더덕의 주 재배지인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 15지역 116개 재배포장을 대상으로 한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9속의 선충 중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i 등 5종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M. hapla의 포장검출률이 61.9%로 가장 높았고, Tylenchu spp. 16.1%, Pratylenchus neglecrus 7.8%, Ditylenchus citri 5.1%, Helicotylenchus sp. 5.1%순이었다. 더덕 2년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포장감염률과 감염주율이 각각 67.0%, 60.2%였으며 평균 감수율은 10%였다. 전북지역 더덕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많았고, 평야지가 산간지나 중산간지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4,000원
        1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종류를 밝히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경북지역의 124개 복숭아 과원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분리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빈도(Frequency), 우점도(Simpson's index), 다양성지수(Shannon and Wiener index), 중요도(Prominence value)를 분석하였다. 식물기생성 선충은 총 124지점 중 9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우점도는 0.717-0.881, 다양성지수는 0.221-0.286로 복숭아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기보다는 몇몇 우점하고 있는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고 있었다 복숭아과원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은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Helicotylenchus digonichus 순이었고, 그 외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등이 검출은 되었으나 중요종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국내 복숭아과원 토양에는 Paratylenchus elachistus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면 외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류는 발견되지 많았다.
        3,000원
        1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과채류 재배단지의 뿌리혹선충 발생에 관한 조사를 위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 성주군을 중심으로 경기 여주군, 경남 함안군, 충북 청원군 등에서 과채류재배지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선충 종류와 밀도 조사, 뿌리혹선충 암컷의 효소표현형에 의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경북 성주군의 185개 참외재배 포장 중 99개 포장(53.5%)에서 뿌리혹선충이 검출되었고 나선선충류(Helocotylenchus spp.)는 7개, 둥근꼬리선충류(Aphelechus spp.)는 43개, 환선충류(Criconematid)는 26개 포장에서 검출되었다. 뿌리혹선충 암컷의 Malate dehydrogenase 및 Esterase 등 2가지 효소표현형을 이용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주요 4종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효소 표현형을 이용하여 성주군 선남면에서 채집된 13개 시료 중 당콩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된 것이 6포장, 고구마뿌리혹선충 5포장이었으며 2개 포장은 두 종의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주군 초전면의 6개 포장 시료 중 4개가 땅콩뿌리혹선충, 1개가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되었으며 1포장의 뿌리혹선충은 효소표현형이 미동정 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여주군의 참외재배단지에서는 14개 조사대상 중 당근뿌리혹선충이 11개 포장, 땅콩뿌리혹선충이 3개포장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지(主産團地)의 식물기생선충 종류(種類), 분포상태(分布狀態) 및 기생선충 밀도(密度)에 따른 피해정도(被害程度)를 파악(把握)코자 채 및 깔데기법(法)으로 마늘, 감자 등 18개(個) 작물(作物) 3,226포장(圃場)을 조사(調査)하여 1. 16속(屬)(genus)의 기생선충을 분류(分類)하였음. 2. 마늘의 구근선충은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81% 이며 이중 마늘 1구당(球當) 30마리 이상의 선충이 검출(檢出)된 포장(圃場)은 96%로 이러한 포장에서는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3. 고추, 오이, 토마토, 땅콩에는 뿌리혹선충이 주요(主要) 기생선충이며,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높을 뿐더러 선충밀도가 토양(土壤) 100gr당(當) 100마리 이상되는 포장(圃場)이 각각 35%, 17%, 28%, 31%로 이러한 지역(地域)은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4. 고추에 있어서는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가, 참깨에서는 Helicotylenchus dihystera, 사과에는 Pratylenchus vulnus, P. penetrans, 포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 뽕나무에서는 Paratytylenchus projectus, P. aciculus, P. morius, Meloidogyne arenaria, Helicotylenchus dihystera 가 각각 주요(主要) 선충이었다. 5. 고추의 경작년수(耕作年數)가 많을수록 뿌리혹선충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5년(年) 연작시(連作時) 토양(土壤) 200gr당(當) 3,500마리나 되었다.
        4,000원
        17.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중 Tylenchida 목에 속하는 Aphelenchoides parasaprophilus, Paraphelenchus myceliophthorus, Helicotylenchus belli, Quinisulcius capitatus 등 4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중에 Paraphelenchus 속과 Quinisulcius 속은 우리나라 미기록속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식물기생 선충은 2목 18과 44속 102종이 발견되였다.
        4,000원
        18.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원예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의 종류와 분포 그리고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을 알기위하여 경남북 주요 시설원예단지 6개소를 대상으로 총 70개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조사포장에 대한 주요 식물기생선충의 속별 출현빈도는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고 다음이 Tylenchus , Hirschmanniell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Merlinius , Pratylenchus 순이였다. 2. 지역별 선충밀도를 보면 Meloidogyne는 남지가 2104마리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밀양이 671마리 삼낭진이 401마리 순이며 Tylenchus는 성주가 57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Pratylenchus는 구포가 127마리로 가장 높았고 Aphelenchoides와 Criconemoides는 각각 26마리로 34마리로 삼낭진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3. 지역별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를 보면 남지는 대대분 고추-오이 작형, 밀양은 고추-배추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았고 삼낭진은 대부분 딸기-휴작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구포는 공히 토마토-배추 작형이며 Pratylenchus와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고 성주와 유천은 수박-벼, 고추-벼 작형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4. 시설원예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선충은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이고 다음으로 지역과 작물에 따라서 다르나 Tylenchus, Aphelenchoides, Merlinius, Criconemoides라고 사료된다. 5.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은 총 2목 10과 13속 15종이 발견되었다.
        4,000원
        19.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제주도내 제주시를 비롯한 각 읍 면에서 28종의 기생식물, 42개 재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의 식물기생성선충으로는 2아목 10과 16속 22종이 발견되었으며 속별분포율을 보던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Helicotylenchus로 이었으며 Criconemoides , Tylenchus , Pratylenchus , Neolobocriconem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 Hirshmaniella , Heterodera , Nothotylenchus , Tylenchorhynchus , Merlinius , Rotylenchus , Discocriconemella , Hernicriconenoides 로 나타났다. 2. 제주도에서 새로 발견된 종은 Nothotylenchus acris, Tylenchorynchus dubius, Merzinius nothus,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thornei. Hirshmaniella inmamuri, Rotylenchus robustus, Helicotylenchu erythrinae, Meloidogyne arenaria, Discocrico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
        4,000원
        20.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32개군에서 125종의 농작물에서 식물 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 9과 28속 42종을 발견하였다. 그중에 다음 8종은 우리나라 미기록 종이며 이미 발표된 종에 대해서는 특이할만한 형태적인 특징만을 언급하였다. Criconemoides morgensis(Hofmanner & Menzel, 1914). Crossonema(Crossonema) menzeli(stefanski, 1924) Metha & Raski, 1971. Macroposthonia ferniae (Luc, 1959) De Grisse & Loof, 1965. Macrobosthonia rustica (Micoletzky, 1915) De Grisse & Loof, 1965. Neolobocriconema aberrane(Jairajpuri & Siddiqi, 1964) Methat & Raski, 1971. Nothocriconema demani(Micoletzky, 1925) De Grisse & Loof, 1965. Rotylenchus pini Mamiya, 1968. Xenocriconemella macrodora(Taylor, 1936) De Grisse & Loof, 1965.
        4,9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