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language learning beliefs and English proficiency among 41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hort-term English program. Participants’ beliefs were assessed using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BALLI), and their proficiency was measured using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EIC).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sample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fou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listening and reading scores, and changes in beliefs varied with proficiency gains. Students with higher proficiency gains demonstrated improved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nd decreased instrumental motivation, whereas those with lower gains exhibited minimal changes in belief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elief shifts, such as reduced selfconsciousness and increased integrative motiv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oficiency gai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dynamic nature of learners’ belief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language learning outcom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belief systems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27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AI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활 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 조사를 통해 AI 프로그램의 유용성, 신뢰성, 사용 빈도,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 용성 인식이 높을수록 AI 프로그램 활용 빈도와 만족도가 증가하는 반 면, 신뢰성 인식이 낮을수록 사용 빈도와 만족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 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I 프로그램을 학습 도구로 효과적으로 통합하 기 위해서는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에서 AI 프로그램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중국 수채화 전공 대학생의 정서불안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중국 후베이성, 산동성, 헤이룽장성에 소재한 수채화 전공 대학생 574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2.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 들의 정서불안감을 야기시킬 수 있는 환경들을 제한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적절한 지원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정 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창의적 교실 환경이 자기 조절학습과 학습 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4차 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고, 주요 변인에 관하여 누락 응답이 없는 593개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SPSS 26.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 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의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 자기 조절학습, 학습 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자기 조절학습과 학습 효능감이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생이 수업 시 교 실 환경을 더 창의적이라 인식할수록 자기 조절학습이 촉진되며 이는 학 습 효능감을 증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도록 만들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공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해 조성해야 할 교실 환경의 중요성 및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 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언어학습 신념이 그들의 전반 적인 언어학습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찾기 위함이 목적이다. 여섯 명의 한국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 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언어학습 신념에 대한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Horwitz의 BALLI 문항을 기반으로 한 반구조적 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그들의 답변은 외국어 능력, 언어학습의 어려움, 언어학습의 본성, 학습 과 소통전략, 동기와 기대 등의 주제를 기반으로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항목별로 구분되어졌다.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그들의 한국어 실력이 향상될수록 자신감을 가졌으며, 그들은 문화에 대한 학습이 언어 학습에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지했다. 또한, 가장 효과적인 학습법은 실제적인 상황과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꼽았으며, 그들은 대학 졸업 이후에도 한국에 남아 있기를 희망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몰입으로 연결되는 인과관계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사이에서 자기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S시에서 거주하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 일까지 자료 수집한 19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 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유학생의 학습동기는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국유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중 학습몰 입의 하위요인인 감성몰입만이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중국유학생의 학습동기 는 자기효능감을 증진하여 학습몰입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를 통해 중국유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대학 교육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육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학습 참 여 동기와 진로의사 결정 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의사 결정 성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아 울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증진 향상을 위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중국 랴오닝성 S시(遼寧省S市)에 소재학습참여한 대학생이며,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응답 자료는 SPSS 21.0 프 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참여 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참여 동기 가 진로의사 결정 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진로의사 결정 성향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참여 동기와 진로 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의사 결정 성향의 매개효과가 전체적 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의사 결정 성향은 부분 매개 작용을 하 는 것으로 밝혀져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 의 학습 참여 동기 및 진로의사 결정 성향는 진로준비행동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crafting through job enthusiasm. A survey was conducted on 451 safety workers at large domestic compan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odel suitability, influenc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with AMOS 23.0 using SPSS 23.0. Through research, we found fiv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perly explained the empirical data. Second,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but informal learn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enthusiasm. Thir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while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crafting. Fourth, job enthusias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nally, job enthusia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hese suggest that continuous environmental efforts and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so that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thusiasm can be express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that can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wa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중년기 고등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삶의 의미와 생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를 중심으로 학위가 수여되는 고등교육기관에 재학하고 있는 중 년(40세-65세)기 학습자 525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고등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고등교육 학습자의 삶의 의미는 학습참여 동기와 심리 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고등교육 학습자의 생산성은 학습참여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년기 고등교육 학습자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motivation. Its main concern is with how the relationship varies between three student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ir vocabulary achievement. A survey was taken by a total of 275 students enrolled in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232 students were selected to be studie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advanced,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 based on their performance in vocabulary test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SPSS to produce both basic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show the three groups differ regarding which strategies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 these were memory and cognitive strategies for the advanced level group; decision, social, memor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the intermediate level group, and none for the beginner level group.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hree groups differ regarding which strategies only extrinsic or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pose: This study seek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nd transfer motivation among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 the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class. Method: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4th year stu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learning self-efficacy is 6.03±.69 (7 points), learning satisfaction is 4.23±.57 (5 points), and transfer motivation is 5.70±.90 (7 points). The transfer motiv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learn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are learning self-efficacy (β=.87, p<.001) and learning satisfaction (β=.24, p=.028), which together account for 61.9% of the transfer motivation.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o enhance the transfer motivation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and curriculum for increasing learn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및 자기주도학습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골프전공 대학 수업에 참여한 257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270명의 학생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21.0 및 AMOS 22.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골프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은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골프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Kim, Suyeon. 2017. “L2 Learners' Perception of STAD and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Styl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2), 73~10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learning, L2 learning, and learning styles. To that end, I utilized Slavin's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s (STAD) and investigated how learners perceive the effect of STAD on second language (L2) learning and how the effect of STAD is associated with their learning styles. I implemented STAD in two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during a semester, with 44 learners completing two questionnaires and six participating in interviews. Three key findings emerged: 1) L2 learners perceived STAD as being more useful than lecture-centered classes in improving their conversational skills, promot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nd developing higher self-confidence and lower anxiety, 2) while avoidant learning sty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perceptio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sulted with the majority of learning styles, and 3) collaborative and independent learning styles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L2 students' perception of STAD than other learning styles. The results show tha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L2 learners are scaffolded to improve conversational skills, and STAD accommodates diverse learning styles by giving learners equal opportunities for success. This study implies that L2 learning can be maximized when teachers employ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styles to participat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EFL students’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ies,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change as they advance to upper level schools. Data were collected from 44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cho-gu, Seoul, using Self-Directed Language Learning Readiness (SDDLR) and a revised version of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DDLR and SIL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learner factors, interest toward English study was the only factor which affected all the three groups’ SDDLR as well as SILL scores. The influence of study-abroad experience and starting age of private education was limit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 indicating their short-lived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trategy use. Lastly, there was a high or moderat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DDLR and SILL in all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specific relationship among subcategories of the two constructs was complicated and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In order to promote social responsibility, a company read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o ensur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ne of the activities is to input human/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draw and develop the core abilities of member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compan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capability improvement of members in relation to core company performance,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education training in a company may contribute to team performance by leaning transfer through empirical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of members, as well as the training programs, within the company can be a significant factor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the company. In addition, team members noted that learning transfer take place when effectively lead through the leadership of a boss and identified that this leadership ultimate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performance.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요인으로서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인적자원개발(HRD)과 인적자원관리(HRM) 활동이 조직의 재무성과와 유효성 증진을 위한 선행요인이라는 점은 많은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 왔으며,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수준에서의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HRD와 HRM의 기능이 갖는 역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조직성과 향상에 있어 두 영역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 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주요 변인으로서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RD와 HRM 영역이 갖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의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견지하기 위해 성과와 학습으로 대변되는 HRD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과 갖는 관계를 가설적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S그룹 5개 계열사의 Senior Manager급 이상 관리자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72개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은 모두 인사관리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은 사람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인사관리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을 조성하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요인들을 구분하여 그 관계를 설정하고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수준별 요인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