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 보호지역 내 도로 밀도를 분석하여, 산림 보전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로는 산림 관리에 필수적인 기반 시설이지만, 보호지역 내에서는 생태계를 파편화하고 서식지를 훼손할 수 있다. 특히 보호지역의 보전 목적과 실제 관리 현황 사이의 괴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유형별 도로 밀도 차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보전 목적에 부합하는 관리 실태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산림 보호지역의 평균 도로 밀도는 19.6m/ha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적정 임도 밀도 범위 (5.12m/ha~14.01m/ha)를 크게 초과하는 수치였다. 보전 목적이 가장 엄격한 카테고리 Ⅰa에서도 도로 밀도는 52.6m/ha 에 달해, 보전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과도한 개발 수준을 보였다.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카테고리 Ⅵ 또한 29.1m/ha의 비교적 높은 도로 밀도를 기록하였다. 이는 보호지역의 지정 유형과 관계없이 도로망이 과도하게 발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높은 도로 밀도는 보호지역 내 생물다양성 보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서식지 단절과 생태계 교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호지역 내 불필요한 도로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생태적으로 복원하는 정책이 시급하며, 보호지역의 법적 기준 또한 생태적 요구에 부합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techno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older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3,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at seven senior welfare centers in J city. A total of 156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with Scheffé post hoc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9.0. Results: E-health literacy, techno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Collectively, these factors explained 29% of the variance in older ad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F=22.54, p<.001). Conclusion: Intervention strategies to effectively promote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should focus on enhancing e-health literacy, reducing technostress, and improving perceived health status. Scenario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future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o strengthen learners’ competence in geriatric care.
The rapid increase in global meat consumption, driven by population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intensified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protein supply. Moreover, conventional livestock produ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further underscoring the need for alternative protein sources. Alternative proteins, including those derived from plants, mycelium, and insects, as well as cultured meat, offer sustainable and nutritionally viable substitutes for traditional animal-based proteins. Among these, mushroom-based alternative proteins demonstrate exceptional environmental, nutritional, and functional advantages. In particular, mushroom-derived proteins can closely replicate meatlike tastes and textures, positioning them as promising candidates in the rapidly growing alternative protein market. In this review, we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cent advancements in the production of mushroom-based alternative protein, focusing specifically on mycelium cultivation techniques, edible mushroom applications, and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Furthermore, we evalu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compounds, and associated health benefits,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umer acceptance, all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We extensively discuss technological innovations aimed at optimizing texture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Finally, we propose concrete policy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sustainable growth in the alternative protein industry, emphasizing regulatory frameworks, research investment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유아의 기질 유형이 부모의 요인과 영유아의 요인에 따른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여 부모가 영유아의 기질 유형을 파악하고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6세 이하의 영유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9,230 부의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우리나라 영유 아의 기질 유형은 순한 기질 64.3%, 더디고 느린 기질 17.9%, 복합적인 기질 15.4%, 까다로운 기질 2.5%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와 아버지가 인식한 자 녀의 기질 유형의 비중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 유형의 분포는 유사하였으나, 연령에 따라 기질 유형의 분포에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관행적으로 수용하여 온 선행연구의 결 과가 우리나라의 실정과 다른 점을 고려하여 자녀의 발달 및 부모의 양육상담 현장에서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offshore eel trap fishing process using one year of fishing logs and fishermen’s insights to identify
key operational challenges and propose equipment improvement for greater efficiency and safety. Conger eel catches varied
significantly by season, depth, and temperature, peaking in winter at 85–90 m and 23°C. The western water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a major fishing ground, with the highest catch recorded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uly, reflecting
seasonal trends. Each fishing operation deployed about 10,000 traps, with an average loss of 38 traps, posing economic
concerns. The process involved intensive manual labor in bait preparation, trap retrieval, catch separation, line loading, and
unloading, leading to high physical demands and safety risk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proposed autom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line loading device, trap cleaning device, bait processing machine, and automatic catch separator.
These innovations could reduce the labor force required by one to two workers per process, alleviate workloads, and enhance
resource management. By integrating quantitative logbook analysis with field-based knowledge, this study offers practical
valu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automation development, cost-effectiveness, and field validation to support safer
and more sustainable eel trap fisherie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부 외국인 환자의 구강건강 및 치과치료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인의 구강건강증진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 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2019년 12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서울 C치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 305명의 치과 차트에서 수집 및 분석되었다. 우식경 험영구치, 치조골, 기능 치아, 치과치료 필요 및 수요를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우식치아는 상악, 하악의 2대구 치에서 높게 나타났고 충전치아는 상악 중절치, 상악 우측 2대구치, 하 악 1대구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상실치아는 상악과 하악 1대구치가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충전치료가 필요한 우식치는 3.83개, 신경치료가 우식 치는 4.60개, 상실 치아는 1.27개, 치료치아는 1.18개로 나타났다. 하악 구치부에서 치조골 흡수율이 높았고, 기능치아는 25.7개로 나타났다. 환 자의 국적에 따라 치주 치료와 임플란트 치료의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또한 보험가입 유무에 따른 치주치료와 발치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결과적으로 저작기능이 높은 구치부는 우식 발생 률이 높았고, 국가별, 보험 가입별로 치료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구강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 료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목적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거주 노인의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의 이동권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 고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4년 7월 22일부터 동년 8월 16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노인복지기관을 방문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200부 중 19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분명한 설문지 33부는 제외하여 총 16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다중응답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 참여자들은 버스(34.6%), 자가운전(32.1%), 이륜차(16%) 순으로 이동 수단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복지시설(31.1%)과 병원 진료(23.7%), 사회활동(17.5%)을 위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인 식하는 운전의 주요 제약 요인은 시력 저하(38.3%), 반응 속도 저하(21.0%), 인지 저하(14.8%) 순의 결과를 보였다. 연 구 참여자 53.1%는 자가운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반면에 면허 반납에 대한 인식은 69.1% 수준으로 높은 필요성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 40.7%는 운전중단 시기를 스스로 운전을 못한다고 생각할 때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운전 재활에 대한 인식률은 91.4%로 매우 낮게 나타났고, 자가운전 지속을 위해 필요한 도움으로 운전 재활 전문가의 교육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북지역 노인의 이동 현황과 자가운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주요 이동 수단, 이용 목적, 자가운전의 제약 요인 및 면허 반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 및 제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 구 대상 지역과 집단의 범위를 확대하고, 운전중단 이후의 대체 교통수단과 운전 재활 지원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 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