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담양군 치재산(가마골) 일원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분포를 밝히고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현장조사는 2022년 3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총 21차례 실시하였 으며, 그 결과 101과 304속 444종 10아종 35변종 3품종 총 492 분류군의 식물표본을 채집하여 목록화하였다. 제작된 표본목록을 분석한 결과,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 14 분류군, 희귀식물 9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환경부 지정 국가적색식물 7 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68 분류군으로 등급별로 보면 I등급 45 분류군, II 등급 5 분류군, III 등급 16 분류군, IV 등급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55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 물은 38 분류군으로 7.7%의 귀화율과 6.1%의 도시화지수를 나타냈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생태계교란식물은 4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치재산의 특이식물에 대한 자생지 보전과 증식을 통해 정원식물로 활용한다면 담양만의 특색있는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남원시, 장수군과 경상남도 함양군의 경계에 위치한 백두대간 봉화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생물다 양성 보존 및 외래식물의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된 봉화산 표본 검토와 함께, 2020년 4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조사 지역의 관속식물은 97과 279속 409종 16아종 32변종 9품종의 총 46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8분류군, 적색목록 중 취약(VU)에 속하는 종은 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57분류군으로 Ⅴ등급에 1분류 군, Ⅲ등급에 9분류군, Ⅱ등급에 14분류군, Ⅰ등급에 33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으며, 외래식물은 24분류군, 그리고 생태계교 란야생종은 1분류군이었다. 분류군의 유용성 조사에서 식용 353분류군, 섬유용 3분류군, 약용 71분류군, 관상용 21분류군, 목초용 108분류군, 공업용 2분류군, 잡용 7분류군, 용재용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남 보성군 일림산(664m)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의 분포와 유용 산림자원을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장조사는 2020년 3월 31일부터 2021년 9월 22일까지 총 27차례가 수행되어, 101과 304속 444종 11아종 42변종 3품종으로 총 500분류군, 853점의 식물표본이 수집되었다. 조사된 식물을 동정한 결과, 산림청 지정 한국특산식물 16분류군, 희귀식물 7분류군, 환경부 지정 적색식물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69분류군으로 Ⅰ등급 49분류군, Ⅱ 등급 7분류군, Ⅲ 등급 11분류군, Ⅳ 등급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159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물은 총 49분류군으로 귀화율이 5.6%, 도시화지수는 7.9%이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 균형을 교란시킬 우려가 있는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Jinjosan Mt. (Uljin-gun, Gyeo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9 times between March 2019 and April 2020. The results of this survey revealed a total of 414 taxa comprising of 87 families, 274 genera, 365 species, 12 subspecies, 32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m, 9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5 taxa were rare plants of Korea. In additi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6 taxa including 1 taxon of grade IV, 18 taxa of grade III, 24 taxa of grade II, and 23 taxa of grade I. Additionally, eight taxa were classified as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Thirty-one taxa were of alien plants and three taxa were of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which were also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and the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to be 7.5% and 5.0%, respectively.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vascular plants flora, and will guide the conservation processes of plant resources such as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al changes in Jinjosan Mt.
천황산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 식생유형과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고자 2014년 2월부터 9월 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상은 91과 259속 408종 3아종 52변종 7품종 총 47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14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7분류군이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2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22분류군, Ⅰ등급 21분류군 등 총 62분류군이 분포한다.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귀화율은 4.7%로 나타났다. 천 황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45개소의 식생 자료를 구분한 결과, 식생유형은 1개군락군(당단풍나무군 락군), 2개 군락(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4개 군(쇠물푸레나무군, 마가목군, 사람주나무군, 고로쇠 나무군), 2개 소군(병꽃나무소군, 억새소군)으로 총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ascular plants of Mueuido in In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11.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mountains (Mt. Horyonggok and Mt. Guksa), coastal areas and annexed islands (Silmido and Somueuido). Vascular plants were found to have 338 taxa, including 90 families, 235 genera, 297 species, 5 subspecies, 32 varieties and 4 form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had 5 taxa including Utricularia bifida, U. vulgaris var. japonica, U. racemosa, Ottelia alismoides, and Arisaema heterophyll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had 3 taxa of grade V and 5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0 taxa that made up 8.3%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본 연구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서부전선(파주-연천) 일대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증 표본을 근거로 한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관속식물은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종은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비롯하여 약 4,880여종의 식물이 보고되었으며 한반도 전체 식물의 약 11% 정도가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 생물은 Ⅱ급 층층둥굴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태풍전망대에서 임진강에 이르는 군작전로 가장자리에 3개체가 생육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3분류군,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13분류군, Ⅰ등급 22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고려엉겅퀴 등 4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숲 절개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 분포하였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 층층둥굴레 1분류군, 취약종(VU) 느리미고사리 등 4분류군, 약관심종 (LC) 쥐방울덩굴 등 6분류군으로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1분류군으로 귀하율은 9.14%, 도시화지 수는 15.89%로 산출되었으며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DMZ 생태축의 서부지역 식물상 연구를 수행하고 주요 식물의 분포 양상과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We report recent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Soyo and compare it with previously reported floras by Lee and Yim (2002), Jang et al. (1999) and Kim and Han (2000). Fieldwork was investigated from April to October in 2007, from April to October in 2012, and supplemented by photos taken from 2003 to 2012. As a result, Vascular plants based on voucher specimens were summarized as 564 taxa, including 102 families, 331 genera, 493 species, 4 subspecies, 54 varieties, and 13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64 taxa, 15 Korean endemic species, 75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16 rare plants, and 29 naturalized plants. Growth overall plant species, Korean endemic plants,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d rare plants was decrease then Lee and Yim (2002) but naturalized plants was increase. This result is due to human intervention, such as construction of roads, parking and so many hikers. In addition, one of the effects of heavy rains. We need to the ecological monitoring and regulation of hikers for the preserv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in Mt. Soyo.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남산, 토함산, 단석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총 7회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96과 284속 385속 4아종 41변종 6품종으로 총 43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분류군,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1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3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이다. 한편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확인하였으며, 귀화율은 6.65%, 도시화지수는 9.03%이다. 조사된 436분류군의 유용도는 목초용 자원식물이 182분류군(41.7%), 식용 176분류군(40.4%), 약용 147분류군(33.7%), 관상용 52분류군(11.9%), 목재용 18분류군(4.1%), 염료용 16분류군(3.7%), 섬유용 8분류군(1.8%), 공업용 자원식물이 1분류군(0.2%) 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79분류군(18.1%)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크기가 크고 남방계인자들이 간헐적으로 보고 된 덕적도 일대에 대하여 자연자원의 분포를 규명하고, 환경 및 기후변화 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속식물에 대한 분포조사를 2007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 35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108과 320속 480종 2아종 45변종 8품종의 5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에서 국화과 식물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벼과, 콩
본 연구는 팔공산자연공원 갓바위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갓바위지구를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전체 식물상은 75과 167속 214종 3아종 18변종 3품종으로 총 2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2012년 확인된 관속식물상 59과 108속 117종 14변종 3품종 등 총 134분류군(You, 2012)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20종, 귀화식물은 총 18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을 지형적 특성, 이용적 특성, 수광량 등에 따라 3개 권역으로 구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출현 식물종수는 A 구간(119종)<C 구간(147종)<B 구간(161종)순으로 나타났으나 식물상 다양성은 A 구간(126.60)<B 구간(127.78)<C 구간(132.43) 순으로 확인되었다. 즉, C 구간이 A·B 구간에 비해 다양한 종과 속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갓바위지구는 팔공산의 다른 지구와 비교시 다양한 식물상이 관찰되지는 않았으나 생태학적으로 중요종인 특정 식물종 등이 서식하고 있고 지구 곳곳에 다양한 지형자원이 산재되어 있으므로 중요종의 서식처 보호 및 자연자원 보존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인위적 간섭과 교란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A·B 지역은 환경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등산로 폐쇄, 휴식년제 도입, 훼손지 복원, 귀화식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등 건전한 산림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Bulmyeongsan in Jeollabuk-do from April 2015 to October 2016.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33 taxa, including 100 families, 290 genera, 382 species, 4 subspecies, 38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433 taxa, 5 Korean endemic plants and 4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 taxa of grade IV, 10 taxa of grade III, 3 taxa of grade II and 19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8 taxa that made up 6.5%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Janggunbong (1,136 m) in Bonghwa-gun, Gyeou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5 times from 2006 to 2015, consisted a total of 462 taxa; 82 families, 279 genera, 397 species, 2 subspecies, 55 varieties, 8 forms. 10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recorded and 1 taxon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5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7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Ⅳ, Ⅲ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cluded 8 taxa and 14 taxa, respectively. Based on the usefulness, edible, pasturing, medicinal, ornamental, timber, stain, industrial, fiber and unknown usefulness plants included 352 taxa, 107 taxa, 71 taxa, 18 taxa, 8 taxa, 5 taxa, 3 taxa, 2 taxa and 111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