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윌리엄 볼츠는 이집트의 상형문자와 수메르 문자를 한자와 비교 연구하였다. 그는 “모든 한자는 반드시 표음 성분을 갖는다”라는 대원칙 아래에 한자를 “表意文字”가 아닌 “表詞文字”로 규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윌리엄 볼츠에 의하면, 한자는 自源文字(다른 문자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문자)로서 그림에 기원한다. 또한 “前文字”에서 “文字”로의 전환은 돌발 적이고 순식간에 이루어진 과정이다. 한자는 “문자” 단계로 진입 후, “그림문자 단계”, “다의적 문자부호 단계”, “語音 및 語意 성분 제한 단계”의 3단계 발전 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최종적으 로 拼音化 단계는 밟지는 않았는데, 이는 중국어 자체가 지니는 언어적 제약과 중국인들이 가진 사상 및 이념의 영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윌리엄 볼츠는 이처럼 총체적 시각에서 한자의 기원과 초기 전개 과정을 서술함과 동시에, 또한 한자의 기원과 관련된 전설, “六書”와 『說文解字』, 초기 한자의 규범화 및 표준화 등과 관련된 문제도 다루었다.
        6,400원
        2.
        202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longitudinal case study using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track how two Korean university students improved their English writing competence over one year with the aid of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AWE) program, Criterion. The participants wrote essays outside of class every month for one year, submitting first and later second draf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TOEIC writing tes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udy; students’ reflections on their writing development, obtained through interviews and journal entries, were also examined. A comparison of scores, errors, and quantitative measures of fluency and grammatical complexity indicated writing improvement. Both participants used Criterion feedback effectively to render informed judgments and valid corrections. Essay revision based on Criterion feedback yielded more self-directed learning and greater comfort with writing in content courses.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AWE feedback transfers to long-term improvement. The results point to the potential benefit of AWE use in individual out-of-class writing practices.
        6,4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교육용 게임으로서 text-to-scene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사용자 입력 문장의 의미구조를 분석하여 장면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사용자가 문장을 교정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정답 장면과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한 장면을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입력 문장의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파악하고 문장을 수정할 수 있다. 기존의 text-to-scene 연구에서 정교하게 장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 구축이 어렵고 처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외국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장면을 단순하게 표현한다. 실험결과 격조사나 문장 요소 생략 등을 고려하여 15개의 단어를 임의로 조합하여 5개 어절 이내의 문장 1,048,576개 문장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모델은 한 문장당 평균 14.94ms가 소요하면서 안정적으로 장면을 생성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작문 시험 결과, 종이를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10개 문항 중 오답 문장이 평균 4.7개 나왔는데,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을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한 문장 당 평균 1.56회의 미리보기를 하고 문장을 수정하여 0.87개가 나왔다.
        4,0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예는 문자를 매개체로 삼아 지ㆍ필ㆍ묵을 통하여 작가의 성정ㆍ주 관ㆍ학식ㆍ정감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이중에서 문자를 직접 서사하는 것은 붓이기 때문에 이를 운용하는 필법은 서예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서예의 삼 요소는 필법ㆍ필세ㆍ필의로 나눌 수 있다. 필법은 붓을 잡고 운용하는 방법이며, 필세는 올바른 필법을 통하여 글자와 필획 사이에 나타나는 형세이며, 필의는 작가의 성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필법의 기초가 확실해야 필세를 나타낼 수 있고, 필법ㆍ필세가 제대로 된 뒤 비로소 작가의 성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서예에서 기본이 되는 필법의 중요성을 알 수 있고 이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본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필법의 변천에서 맹 아기는 선의 운용을 통한 기초적 필법이었고, 형성기는 예서를 통하여 일파삼절의 모순점이 통일되어 비로소 기본필법을 이루었다. 발전기는 예서의 필법이 점차 사라지면서 주로 해서ㆍ행서ㆍ초서에서 필법 체계를 이루었고, 특히 왕희지의 필법을 통한 새로운 심미적 표준을 제시하 였다. 완성기는 ‘이왕’의 필법을 흡수하고 북비를 융합하고, 안진경을 대표로 필법 성취를 이루었음을 확인하였다. 필법의 특징에서 서예의 우주 관은 우주만물의 형상을 통하여 심미를 추구하는 것이고, 음양론은 우주 관을 바탕으로 음양의 허와 실을 체현하면서 시간과 공간의 절주의 미를 표현하는 것이며, 의인화는 생명력을 통하여 심미가치를 표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필법의 가치에서 서예는 문자를 통하여 생명력을 체현하는 기본이 결구이고, 이를 결정하는 것이 필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필법의 근본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대로 뛰어난 작품들은 신채가 뛰어나면서 필력이 돋보였다. 그러나 이는 탄실한 필법의 기초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간과할 수 없다. 역대 서예가들이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으면서 필법을 통하여 절주를 표현하고, 끊임없이 이에 대한 탐색과 모색을 한 원인도 바로 여기에 있다. 서체의 변천과 시대의 심미관에 따라 작품의 경향이 달라졌으나 변하지 않는 것은 필법이다. 만약 필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다면 여기에 시대미를 더하여 새로운 창작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필법의 변천과 발전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더욱 현실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7,000원
        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structure has always been one of the basic problem of Chinese philolog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and methods, previous scholars mostly rests on the static analysis of individual or stage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y can’t overall research the development of ideogram. On the basis of full possession of ancient texts, and through the dynamic analysis of the way that ideograms are constructed, we can find that the ideogram has always been in dynamic development. In the early stage of ancient writing, most ideograms are combinations of imageries. However, after Qin dynasty characters, the pictographic feature of Chinese characters are greatly reduced, and most of the ideograms are linguistic type. Beginning with the oracle inscriptions in Shang Dynasty, ideograms had tended to be semantic-plus-phonetic. And there were varied ways to achieve this transformation. This trend was gradually strengthened by Zhou dynasty, and it reached the peak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6,7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literature circle activities which integrated journal writing practices on college L2 learners’ writing development and their perceptions on integrating literature circle activity in an academic writing classroom.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was measured focusing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through the paired t-test and writing proficiency test In both computer-based analysis and manu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articipants’ lexical diversity and variation, in such measures as the number of diverse words, type/token ratio, and lexical variation. In the syntactic complexity, in the use of complex nominal phrases per T-unit, complex nominal clauses per clause, coordinate phrases per T-unit and clause per T-uni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ll three measures of accur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fluency were also found to be improv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 journal writing practices and discussion for literature circle activity, over 75% of students positively respond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gration of literature reading and writing can positively influence on L2 learners’ writing development.
        6,400원
        7.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reading is part and parcel for the development of L2 literacy skills, such as in reading and writing, the skill has been practiced more often for grammar instruc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EFL contexts. While realizing there is les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L2 skills through extensive reading (ER) in EFL university context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 of an in-class ER approach in English university classrooms. With 249 students, the study reports on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ity level ER class and the outcome for L2 development via the measures of L2 reading speed, L2 speed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exical writing ability. Results indicated positive outcom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2reading ability, productive retrieval of academic words and lexical variety. The outcome of the ER program validates the effort and time expended on such programs when graded readers are utilized at matching student Lexile levels.
        6,600원
        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recipes from local food contents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representative long-lived area Damyang. The information on digging 'story' was collected through the region's representative local native journal, searching for related websites, analyzing old literatures, and interviewing traditional household; 'telling', the part of conveyance, was organi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including historical condition, regional food materials, cuisine, region symbolism, etc. After nutritional analysis, the prepared, balanced, and healthy Korean food dishes using the traditional food contents were displayed. In Damyang, the story was extracted from Heuichoon Ryu (柳希春, 1543-1577) - figura of Damyang - and his collection, 'Miam's diary', and described about native food. The traditional history of many foods that were used mainly as rewarding during one's trouble, showing good faith, and delivering gratitude is recorded in Miam diary. A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express the classical scholar's clean and neat dining table which was the mixed Damyang's clean image and nobleman's straight integrity in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Nutrition fact of 'Miam's table' was based on the Daily Reference Values of Koreans aged 65 or older.
        4,200원
        10.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 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 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 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 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 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 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 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 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 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 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1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journal as a way to encourage pre-service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s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reflection through journal writing. Journals were kept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uring a teacher preparation course where the focus was on the understanding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ixteen participants were juniors in an undergraduate teacher development program in a university in Korea. The journal entries the trainees kept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 in relation to the dual role as learners and prospective teachers. Within this research framework,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flected internally on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could connect the concepts and abstract ideas to their personal experience of learning English. Also,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isplay their reflective capabilities through the exercise of journal writing in spite of their limited L2 writing skills. From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journals can be used as a valuable tool for the teachers-in-preparation, both in developing reflective teachers and in generating powerful insights which later would influence their own classroom behavior and motivation as a teacher.
        6,600원
        1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role of scaffolded prewriting activity in accelerating English writing development. Two Korean elementary students were engaged in a journal writing activity after they had read the first part of an informational trade book. During the next session, they had read the second part of the same book and then engaged in a scaffolded prewriting activity and a journal writing activity. The paired journal writing products without or with scaffolds were compared. The outcome of interest in the study included quality of writing and was assess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two students produced better writing in terms of focus, support, and organization when they had the scaffolded prewriting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al method of providing strategic writing scaffolds may foster English language learners’ writing skills development.
        6,300원
        1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of a new EFL course, English Practice. This is designed to enhance English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increase literary experience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literature for young adults and e-mail writing were introduced to change teaching/learning conventions in an EFL setting. The research framework was practitioner research.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a survey, students’ writing in the classroom, and the instructor’s field notes and journal. Data were analyzed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happens when university EFL students read and write English for real purpose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1) the students viewed literature and e-mail writing as a new experience of language learning, 2) the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ir learning, and 3) the students’ experiences with the literature went beyond language learning.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unique course program provided students with new ways of developing understand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express individual experiences of the texts they read.
        6,100원
        1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과제에 나타나는 언어의 형식적 측면에서의 발 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언어발달지연이 호소되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 25명, 비다문화가정 아동 25에 대한 수용표현어휘력검사 및 문장완성검사를 실시하고, 이들 중에서 표현어 휘력이 -1 SD 이상인 다문화가정 아동 16명과 비다문화가정 아동 24명에 대한 쓰기 과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쓰기 과제의 분석 변인으로는 맞춤법 요소인 띄어쓰기와 철자 오류율, 형태론적 분석 요소인 조사와 어미 오류율, 통사론적 분석 요소인 C-unit의 평균낱말길이(MLC-w)와 내포절 사용 빈 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띄어쓰기 오류율, 철자 오류율, 어미 활용 오류율, MLC-w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였으나 조사 오류와 내포절 사용 빈도 에 있어서는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 다문화 환경에서 자라는 아동들이 언어 가 다른 부모로부터 이중언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단일언어 환경에서 자라나는 아동에 비해서도 쓰기 발달에서 지연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기 언어 지도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20.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as mediation in a Korean EFL beginner writing context. The theories of Vygotsky's socio-cultural learning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take into account the background of the s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