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01

        2379.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onesia has the largest economy in Southeast Asia and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economies of the wor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donesian food consumers, and to provide the marketing implications for food exporting companies in Kore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95 local consumers in Indonesia and the study analyzed their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Korean culture.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and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onesian consumers had a strong preference for Ramyeon, noodles, snacks and kimchi among Korean foods. Second, the preference for Korean culture was high in a descending order of Korean dramas, cosmetics, songs and news. Third, both Korean food and Korean culture prefer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Lastl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ood preferences and Korean food purchase intentions. Further, the consumers’ Korean culture preference had a mediating effect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arketers in Korea food companies need to consider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Korean culture when they build proper strategies for exporting Korean foods to Indonesia.
        4,000원
        238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입 증명, 위생등급제, 식품 민원처리, 식품 관련 인증, 식품 위해정보 관리 및 식품이력추적 관리제도 등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도입의 적절성을 효과성과 제약성 평가지표에 따라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식품안전 업무영역별 블록체인 도입 적절성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진행하여 블록체인 도입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블록체인 도입 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영역은 식품인증, 위생등급제, 위해정보 및 수출입 증명 업무였다. 반면, 이력추적 및 민원처리 업무의 경우 블록체인 도입의 효과성이 낮아 도입대상에서 제외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조사된 6가지의 식품안전관리 업무영역 모두에서 블록체인 도입 시 비용, 법·제도 개정 등 보통 이상의 제약성이 존재하였다. 특히, 식품이력추적관리 분야는 도입 추진 시 가장 제약사항이 많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블록체인 도입 시 수출입 증명 업무의 효과는 높으나 비용과 법 개정 등 제약성이 높아 블록체인 도입을 위해서는 제도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가대상 업무분야들 중 식품인증, 위생등급제 및 위해정보 관련 업무는 블록체인 도입 시 신뢰성과 투명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제약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블록체인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평가 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