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3

        1582.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계육 창상부위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동정하였다. 계육의 등과 다리 창상 부위로부터 무작위 선별법을 통해 총 10주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 배양된 균주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5 균주가 높은 유효성을 지녔으며, Shigella sonnei, Proteus mirabilis, Escherichia coli로 동정되었다. 또한 16S rRNA sequence를 실시한 결과, 동정된 균주는 Shigella sonnei(
        1583.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주스의 열수 살균조건과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살균 조건에 따른 당도, 산도 및 pH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색도는 살균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무첨가구의 색도 값이 비타민 C 첨가구(0.1%)에 비해 살균 전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살균온도 에서 10분과 20분간 처리한 구에서만 일반세균과 곰팡이, 효모가 검출되었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살균시간
        158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 L 부피의 발효용기에서 어간장을 발효하면서 용기의 내부 온도 변화와 염도, pH, 산도, 총질소, 유리아미노산,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고 4개월 발효후의 어간장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용기로는 새 옹기와 재사용한 옹기,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고 발효숙성은 외기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옹기가 가지는 통기성 및 보온성으로 인하여 발효 중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조성하여 여러 가지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585.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의 첨가 형태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발효 기간이 경과 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매실 첨가구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도의 변화도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 첨가구는 발효 초기에 미생물의 성장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발효 말기에는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김치의 색도는 담금 직후 매실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L,
        1586.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
        158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업유전자원정보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농업유전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업무관리시스템과 농업유전자원정보 를 웹 서비스하는 홈페이지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에는 식물, 미생물, 곤충 등 각기 따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물은 종자와 영양체, 미생물은 세균, 곰팡이, 버섯 등이 따로 관리되고 있었다. 이렇게 식물유전자원, 미생물유전자원, 누에유전자원이 각각 개별적이고 이질적인 환경에서 별도로 구축되어 운영 되었던 시스템을 통합하여 농업유전자원정보통합관리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MS-SQ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를 통합하여 Oracle 10g 기반으로 구축하였고, Migration과 통합을 위한 DB 재설계로 속도개선 및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하였다. X-internet 솔루션인 MiflatForm을 도입하여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C/S 기반의 기능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Java 기반으로 운영하여 보안 및 기능 편이성을 강화하였다. 본 시스템은 농업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할 수 있는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버전으로 정보의 통합관리 및 공유를 통하여 농업유전자원 국가관리체계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158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avonoid는 식물의생장과 발육, 미생물과 해충에 대한 방어 인간에 대한 약리적효과(향균,항바이러스, 항알레 르기, 항염증,암발생율감소,중금속체외배출등)강력한 항산화활성 등으로 최근 그 중요성과 활용성이 강조되 고있다. 본연구는 콩에 플라보노이드와 관련된 유전자를 밝히고 그 이용성을 높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실험재로로 쓴 특정한 콩에 전체 probe갯수 4만여개에서 플라보노이드와 관련된 probe 갯수 124개를 찾았다.그리고 Genbank가 같은 probe집단을 합쳐서 EST갯수가 64개로 밝혀졌다. 그중에서 염색 체위치와 번호 밝혀진 EST는 34개, 밝혀지지않은 염색체위치와 번호는 30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Gene을 밝힐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목적은 플라보노이드계 유전자 구명이다. 그리고 구명된 유전자를 통해서 그이용성을 높이고 활용하는데 있다.
        158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담수직파시에 담수상태를 유지할 경우 논물은 토양미생물의 호흡 등으로 저산소(hypoxia)상태로 되는데 토양상태, 미생물, 기온변화에 따라 때로는 거의 무산소(anoxia)상태까지로 산소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담수 상태의 벼 발아 및 초기 생육에 관한 탄수화물 대사변화를 알아보고자 저산소(hypoxia: O2 7~9 ppm), 무산소 (anoxia: O2 <1 ppm)처리 및 대조구(normoxia)로 최아종자를 파종하여 인공조명실에서 처리온도 18±4℃, 12h/12h(주/야)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시험 품종은 포장 담수조건 적응시험에서 선발한 담수내성품종으로 WD3와 PBR을 담수감수성품종으로 주안, 남평벼를 선정하였다. 파종 후 9일까지 초기 생육에서 대조구는 4품종 모두 초엽신장속도가 비슷하였으나, 저산소에서 7일까지는 비슷하게 4품종이 비슷하게 생장하다가 이후 주안벼와 남평벼가 생장속도가 약간 느렸고, 무산소에서는 WD3와 PBR이 9일까지 지속적으로 초엽이 신장한 반면 주안벼와 남평벼의 속도는 9일째 4배 이상 낮았다. 총유리당 함량은 주안벼와 남평벼가 종자 최아 후 처리직전의 함량이 높았으나 무산소 처리 후 9일까지 증가량이 매우 낮았던 반면, WD3와 PBR은 처리직전의 함량은 낮았으나 처리 후 9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WD3와 PBR에서는 maltose가 처리 초기(3일)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fructose함량도 6일까지 증가속도가 빨랐다. 이 결과로 보아 담수무산소 내성이 높은 품종은 종자의 유리당 절대함량보다는 무산소, 또는 저산소처리 후 전분에서 유리당으로의 전환 이 빠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효소와 같은 생체내 대사과정이 무산소 처리에서도 감수성인 품종보다 원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159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기농업 재배지에서 주로 이용되는 녹비작물의 Allelochemical 특성을 조사하여 생물적 제어 수단으로 서의 실용화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은 시험 후 녹비 처리된 토양의 총 질소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무기태질소의 함량은 무피복구, 헤어리베치처리구 및 헤어리베 치+호밀 처리구는 비료 시비 및 녹비환원과 동시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녹비환원 후 30일 경에 최대에 도달하 였으며, 헤어리베치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무기화되는 질소의 양이 많아졌다. 토양 탄수화물은 시험 전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서히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토양 미생물탄소 및 미생물질소의 양은 조사 기간 동안 녹비환원구가 무피복구에 비해 높았다. 토양 총 페놀화합물은 헤어리베치, 호밀, 헤어리베치+호밀 (1:1)은 환원 후 10일에 최대로 증가하였고, 헤어리베치+호밀(1:3, 3:1)은 환원 후 30일에 최대로 증가하였다. 토양 부식산은 무피복구와 녹비 처리구에서 처리 전에 비하여 처리 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녹비 작물 환원에 의한 부식산 증가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비환원 후 85일에 잡초발생량은 광엽초종의 경우 헤어리베치+호밀(1:3)>헤어리베치>호밀>헤어리베치(1:1)>헤어리베치(3:1)>무피복 순이었고, 단자엽초 종은 헤어리베치+호밀(3:1)>무피복>헤어리베치>호밀>헤어리베치+호밀(1:3)>헤어리베치+호밀(1:1)순으로 나 타났다. 녹비작물의 환원은 잡초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초에 의한 질소 탈취율의 결과 무피복구 는 65.9kg/ha의 질소를 잡초가 탈취하였으나, 녹비환원구는 무피복구의 50%미만으로 나타났다.
        159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는 화석연료에 의존한 화학 자재의 이용과 품종개량으로 작물의 다수확 생산 기술이 개발되면서 작물 의 수량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그러나 집약적인 다수확 생산기술은 합성 비료와 농약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특히 속효성 화학 비료에 의존한 단일 작물의 연작은 농경지의 지력을 저하시키면서, 작물생 산을 위한 잠재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 개선책의 하나로 볏짚, 작물잔유물, 가축분뇨 등의 농축산 부산물의 이용과 녹비작물의 이용 등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재인식하게 되었다. 농경지에서 유기물 시용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나 생물학적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기물로 이용 가능한 자원은 대표적인 것이 녹비작물이며, 국내에서는 헤어리베치와 자운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녹비작물은 근류균과 공생하여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작물이 잘 알려져 있으며, 후작물에 양분을 공급해 줌은 물론 토양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비옥도 증진, 수분 보유력 증진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녹비이용에 있어서 전후작물의 질소동태나 녹비환원 후에 일시적으 로 일어나는 생육억제 현상 등은 작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토양의 물리성 개선, 선충 밀도 저감, 피복에 의한 잡초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Crotalaria(네마황), Sesbania(전심초), 베치(Vicia) 등의 녹비작물은 특성이 충분히 평가되지 않은 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금까지 녹비작물의 지상부 수량에 중점적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근류를 형성하는 지하부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류의 질소고정능력의 경시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육기간에 환원한 콩과녹비작물 이 후작물의 질소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녹비작물의 환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육억제효 과로서 상추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여름작물인 Crotalaria, Sesbania, 그리고 겨울작물인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의 이용에서 후작물의 질소흡 수가 녹비작물의 뿌리 및 근류(지하부)의 기능으로서 질소고정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작물 모두에서 지하부로부터 환원한 질소량은 지상부 환원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작물에의 질소 공헌도(녹비에 의해 환원된 질소량에 대한 후작물에 의해 흡수된 질소량의 비율)는 지하부 환원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그 기작으로서 녹비환원시 지상부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급격하게 탄수화물(근류의 에너지 원)의 공급이 정지되어, 이 시기에 질소고정 능력이 높았던 근류로부터 무기태질소나 이분해성 질소 화합물이 방출되었고, 이러한 질소의 상당량이 후작물에 의한 흡수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고정 능력이 높은 줄기 근류를 형성하는 Sesbania의 지상부를 녹비환원 했을 경우에도 후작물의 생육 촉진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모든 작물에서 지상부 환원에 의한 후작물의 생육 억제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부숙되지 않은 유기물인 녹비의 분해초기에 일어나는 미생물과 후작물과의 질소 경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부 축적 질소가 이러한 경합을 완화시키는 가능성이 시사되어 녹비를 환원 할 때 근류의 활성 상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비환원에 의한 후작물의 초기생육 억제는 녹비작물의 종류, 생육 단계, 환원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저투입 작물생산을 위한 다양한 작부체계에서 녹비작물의 적절한 선택과 후작물을 위한 적절한 환원 시기의 구명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녹비작물과 후작물 간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속농업의 목적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물질의 과용으로부터 나타나는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자연자 원의 순환 및 보존, 생물다양성의 유지를 통해 농업생태계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농업환경을 오염시키 지 않아야 한다. 본 연구결과들은 콩과녹비작물의 지하부 축적 질소가 후작물의 질소 흡수를 촉진시켜 생육이 양호해졌으며, 이들 콩과녹비작물의 잠재력이 바이오매스 생산량 뿐 만아니라 생육기간동안 뿌리의 질적인 변화(질소고정능력)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들 녹비작물에 의해 생산된 질소량의 평가, allelochemicals의 동정을 통하여 후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억제효과와 고정된 공중질소를 후작물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 및 이산화탄소 흡수 등 공익적인 기능도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159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품산업은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을 담당하는 산업이다. 소비자로부터의 신뢰가 경쟁력이며 성장의 기반이다. 식품유통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위해요소도 동반하여 국경을 넘어 확산되고 있다. 지속되는 국내 외 식품안전사고는 소비자로 하여금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식품환경을 만들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보다 더 안전한 식품이 제공되도록 2008년 6월 「식품안전기본법」 제정과 더불어 2009년부터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정부차원의 식품안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추진사항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09년 4월 소비안전정책관실을 신설하여「농장에서 식탁까지, 국경에서 가정까지 국민에게 신뢰받는 안전한 먹을거리 공급」이라는 목표아래 안전 농식품 생산기반 확충, 철저한 검역으로 수입 농식품 안전성 보장, 선제적 위생관리와 소비자 선택권 보장 및 선진적이고 효율적인 식품안전체계 구축 등 중점 추진해 나갈 4대 과제를 선정하였다. 특히 2010년에는 고독성 농약 등 농약관리대책추진, 중금 속 오염농산물 관리체계 개선, 농산물 안전성 조사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 GAP제도 활성화 대책 추진, 농식 품 안전정보 수집, 공개, 교류 및 긴급대응시스템 개선 등 생산, 수입, 유통 및 관리체계 각 분야에 걸쳐 안전관 리 실천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2010. 2. 25일 발표한 “농림수산식품․농산어촌 비전 2020”에도 농축수산물 안전성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채택한 바 있다. 농산물의 경우 무엇보다 생산단계에서부터 안전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는 농 산물 재배 농장에서의 토양과 수질오염 방지, 재배단계에서 농약사용 기준 준수, 수확 후 미생물 오염방지 등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제반 식품위해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로 2005년 「농산물품질관리 법」 개정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GAP 제도는 농업인들의 농작물 재배 및 수확후 처리가 인증기준에 맞게 생산․처리되어야 하며, 이력추적관리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 GAP 제도는 사전 위해예방을 통하여 우리 농산 물의 안전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농업환경도 보전하는 여러 가지 효과가 기대되 는 제도이다. 아직 제도도입 초기단계로 그동안 인증시스템 구축, 인증시설 확대, 소지자 홍보 등에 주력해 왔으나 2009년 GAP 인증농산물 생산비율이 전체 생산 물량에 3%정도로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인이 이 제도를 활용한 농산물을 더 많이 생산해 공급토록 하고 소비자도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한 GAP 인증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홍보도 강화 하는 등 제도정착을 위한 환경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2010년에는 농업인 등이 GAP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인증품목과 물량이 확대되도록 지원과 관리시설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관리시설을 경유하지 않아도 되는 인증 농산물의 대상도 추가로 확대하고 인증 농산물이 기준대로 재배되어 유통되고 있는지에 대한 사후관리에도 역점을 둘 예정이다. 아울러 이 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농업인들의 노력과 안전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 로 GAP인증 농산물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이 제도 활성화에 관건으로 소비자에 대한 홍보에도 주력할 예정 이다. 이러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노력과 참여로 농산물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고 농약이나 비료 등 생산 요소의 적정 사용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농산물 재배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1593.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겨의 발효는 온도상승이 되면서 열을 많이 발생하여 온도가 60-70도로 상승한다. 이 발효에서 분리된 Bacillus coagulans는 효소온욕시 사용되는 주요 미생물로서, 이를 응용하여 피부미용건강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쌀겨발효 중 온도유지에 관련이 있는 major microflora의 분리 연구를 수행한 결과, 고초균이라 판단되는 균주 10여종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분자분류학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Bacillus coagulans로동정하
        1594.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품 조리 및 제조 가공 시 사용되는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수입산염이 대부분이지만, 아직까지 소금 종류에 따른 식품 제조 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수입산염 등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에서 7일간 발효시키며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으로 pH, 산도, 염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학적인 특성으로 총균수와 젖산균수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
        1595.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초, 주정 및 비타민 C 등의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 생강다대기를 튜브용 용기에 담아 에서 각각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미생물 수, 색도, 향기성분변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곰팡이의 경우 생강다대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모의 경우 저장초기 CFU/g의 효모가 존재하였으나, 저장 2주경과 후부터 존재하지
        1596.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initial changes in the microbial activities of wetland soil after construction, dehydrogenase activity (DHA) and denitrification potential (DNP) of soil from 1 natural wetland and 2 newly constructed wetlands were monitor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aepyung marsh as a natural wetland, a treatment wetland in the West Nakdong River, and an experimental wetland in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HA of the natural wetland soil was 6.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wetland and similar to that of the treatment wetland 6 months after wetland construction (fall). Few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NP between the soil samples from the natural wetland and 2 constructed wetlands four months after wetland construction (summer). However, 6 months after the construction (fall), the DNP of the soil samples from the natural wetland was 12.9 times and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wetland and the treatment wetland,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organic matter as a carbon source in the wetland soil affects the DHA of wetland soil. Seasonal variation of wetland environment, acclimation time under anaerobic or anoxic wetland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carbon source also affect the DNP of the wetland soil. The results imply that the newly constructed wetland requires some period of time for having the better contaminant removal performance through biogeochemical processes. Therefore, those microbial activities and related indicators could be considered for wetland management such as oper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wetlands.
        1597.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이 전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수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 5, 10, 50 ppm과 푸마르산 0.1, 0.3, 0.5%를 고추, 생강, 당근에 5분간 각각 처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는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5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고추에 처리 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52, 1.81 log CFU/g 감소시킨 반
        1598.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 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류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산단계별 위해분석과 안전성 기준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장에서 새싹채소의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새싹채소 종자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각각 3.04~5.21 log CFU/g, 1.80~3.86 log CFU/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독유무에 관계없이 재배기간 동안 일반세균(6.99~8.26 log CFU/g) 및 대장
        159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tential of encapsulated inuloprebiotics from domestic Jerusalem artichokes (Helianthustuberosus) as natural antibacterial growth promotor for an antibiotic replacement in broiler chickens was presently assessed through assays of growth performance, serum immunoglobulin production and influence on caecal microflora. Two hundred-forty, 1-day-old, male broilers (Ross 308)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s (T1–T4), with three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and 20 chicks per pen. Broiler chicks were fed a basal diet (T1: control) or basal diet plus antibiotics (T2: Chlorotetracycline, 0.10%), 300 ppm of the inuloprebiotics (T3), or 450 ppm of the inuloprebiotics (T4) for 35 days. Body weight, dressing percentage or weight of breast and thigh muscles relative to carcass weight of T3 and T4 broiler chicken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1 and T2 broiler chickens. The weight of abdominal fat from T3 and T4 broiler chickens were significantly (P
        160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