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23년 10월) 318

18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lipogon relictus, a natural monument, is an insect whose life cycle was assumed to take more than 5 years in nature. Winter is a very harsh season, but it is known to be a crucial condition for many insects’ growth. However, no information is known about the overwintering condition and its effects on C. relictus. To understand the overwintering effects on the growth of C. relictus, we investigated the growth patterns of its larvae in indoor conditions after chilling treatment. The larvae were induced to dormancy at low temperature (4°C) for two months, and put them into 10°C for two weeks to break dormancy. After awakening,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15°C, 20°C to 25°C at a time, and the larvae were kept for two weeks at each temperature. The larvae were divided into 3 groups (3rd to 5th instar, 6th to 8th instar, 9th to last instar). Lastly, head width and weight of the larvae were measured every 30 days under 25°C condition, and mortality and deformity were counted as well. The mortality and deformity rates were the highest in the first group, and the rates decreased toward the last group. On the other hands, growth rate appeared opposite to mortality and deformity rate of each larval group.
18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벚나무류 수목은 생활권 수목(도시공원, 가로수 등)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전라 남도 또한 벚나무류 수목이 가로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복숭아유리나방은 농업환경 외에도 생활권 녹지공간에서도 벚나무류 수목을 가해하여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생활권 수목과 산림에서의 관련 연구는 그 필요성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 도 내 생활권 수목을 기주로 하여 발생하는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여 생활권 녹지공간 을 관리하는 기초자치단체들의 효용성 있는 방제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 확인을 위해 육안 확인이 용이한 피해흔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성페로몬 루어와 트랩으로 복숭아유리나방 성체를 유인・채집하였다. 그 결과, 4월 중순 첫 우화를 확인하였으며, 5월 중순과 8월 중순에 2번의 우화 최성기를 확인하여 이때의 유효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채집된 개체들 의 종 확인 및 유전적 다양성 확인을 위해 mitochondrial 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 염기 서열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18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응애류는 양파, 마늘, 생강, 백합 등의 뿌리를 가해한다. 최근 백합재배지에서는 질경이모자이크바이러 스(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에 의한 잎의 괴사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태안 백합재배지에서 PlAMV 가 감염된 백합을 채집하여 구근을 조사한 결과, 식물체 당 뿌리응애 100개체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Rhizoglyphus robini로 동정되었다. 이 종이 PlAMV의 보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채집된 R. robini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로 진단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PlAMV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뿌리응애가 백합 구근 뿌리를 먹으면서 만든 상처를 통해 PlAMV가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18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sitic rate of A. orientalis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parasitic rate five years ago, immediately after release, and parasitic rate was also compa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way from the release point. In addition, haplotype of A. orientalis was confirmed and the association with life cycle characteristics was dec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22 and 2023. The parasitic rate of release point in Buye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6% in 18 years to 91.21% in 22. And the parasitic rate by distance from release point is 91.21% (200m), 44.46% (12km), and 65.75% (46km). At all points of survey, only haplotype C and D were foun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plotype C and D in the parasitic rate and sex ratio.
18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종 갈색날개매미충은 과실류에 대하여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국내에서는 이종의 관리를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해충에 대한 살충제의 사용시기과 종류는 꿀벌 개체군에 악영향을 일으킨 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감에 있어 살충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제의사결정 수준을 평가하였다. 공간분포 분석을 통하여 감귤의 피해관련 요소인 신초, 과실형성수, 수확량에 어떤 발육단계가 영향 을 주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분포는 감 열매 수와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갈색 날개매미충 알의 밀도와 감의 피해와 관련된 요인들 간에 어떠한 선형 관계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갈색날 개매미충의 밀도와 산란된 죽은 가지와의 상관성은 확인되었다. 난괴 밀도에 근거한 죽는 가지 추정 발육 모델 (Developed model of branch death possibility)로부터 새롭게 발달된 가지당 5.75개의 난괴가 방제의사결정 수준으 로 제안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과원내 갈색날개매미충 관리의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다른 곤충에 대한 방제의사 결정수준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8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는 2009년 최초 보고된 외래해충으로 지속적으로 발생 밀도 및 면적이 증가 했고 산림뿐만 아니라 과수, 원예작물 등에서도 큰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충청남도에서 발생한 미국선녀벌레의 밀도에 따른 시간적-공간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고, 발생 면적을 추정하였다. 충청남도 내 미국선녀벌레의 밀도 는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실제 조사된 발생지점의 비율도 증가하였고, 추정 분포면적은 2011년에 비해 2014년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7년부터는 43개 조사지점을 모두 포함한 다각형 면적에 도달해 충남 전역에 퍼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충청남도 내 농경지에서 실제 발생면적률은 연도별로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비농경지에서 의 발생면적률은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충남 전역으로 확산된 미국선녀벌레는 발생면적이 정점에 도달했으며, 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8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벼 화분에 잔류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가 꿀벌 봉군 내로 유입하여 만성적으로 피해를 주는지 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벼 꽃 개화기에 맞춰 논 인근의 세 지역에 각 6개 봉군을 설치하였다. 3개의 지역 중 두 지역은 벼 꽃 개화기 항공 방제 수행지역이고, 1개 지역은 미수행 지역이다. 지역마다 봉군 3개에는 채분기를 설치하여 벌통 내 화분 유입을 차단한 그룹과 미설치 그룹 간 봉세와 꿀벌 면역 및 수명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약제 방제가 수행된 지역에서 채분기를 설치한 봉군의 봉세는 미설치 봉군보다 상대적으 로 강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약제 처리 지역에서 채분기 설치 봉군에서 채분기를 설치한 봉군의 봉세는 미설치 봉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약제 처리 지역에서 채분기 설치 봉군에서 채집된 꿀벌의 면역 및 수명 관련 유전자 발현량이 미설치 그룹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18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tenoplusia agnata (Lepidoptera: Noctuidae) is a polyphagous pest that damage on crops belonging to the Fabaceae and Brassicaceae, and it is known as a migratory pes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attern of occurrence to trace invasion characteristics using sex pheromone traps and conducted genetic analysis of captured individuals while also exploring their correlation with air curr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C.agnata exhibits an annual occurrence of four generations in Korea, with the second or third generation, primarily active from July to September,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soybean. Genetic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17 haplotypes, and trajectory modeling confirmed the influence of air currents from Kyushu, Japan and Zhejiang, China et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comprehensive management of C.agnata and other migratory moth species.
18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H. illucens)는 음식물 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 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환경정화 곤충이다. 하지만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 시 가장 큰 문제는 아메리 카동애등에가 먹이인 유기성 폐자원을 소화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이다. 국내에서 현재 아메리카동애등에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는 223호로 조사되고 있지만 이중 악취발생 저감장치 등을 설치한 농가는 10%가 안되는 것으 로 생각된다. 따라서 국내에서 동애등에 먹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습식사료를 먹이로 사용하였을 때 농가 사육 장 안에서 발생되는 복합악취와 지정악취 22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합악취는 249배였으며, 지정악 취는 22종 중 7종(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 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가 검출되었다. 이중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악취물질은 암모니아로 98.4ppm 이 분석되었다. 또한, 아메리카동애등에를 사육 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암모니아의 발생시기는 사육초기인 1~4 령보다 5령 이후 전생육기 중의 대부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모니아 저감을 위한 적정시기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19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점박이사슴벌레는 2012년 5월 31일부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보호받고 있는 딱정벌레 목의 사슴벌레과 톱사슴벌레속의 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숲에서 자생하고 있다. 보통 검정색 사슴벌레 와는 달리 황갈색의 이국적인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가슴 양쪽에 2개의 검은색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아열대기후의 특정 서식지에서만 살아가는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산업곤충으로써 가치성과 희귀성을 고려하여 인공증식 사육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 중 점차적으로 온도를 낮춰가며 영상 8℃에서 90일간의 월동처리 하였고, 이러한 월동처리의 유무과정이 두점박이사슴벌레 유충기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비월동시 수컷 249일, 암컷 239일이었고, 성별간 수컷이 암컷보다 약 10일정도 더 길었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245일이었다. 그리고 월동시에는 수컷 309일, 암컷 280일로 수컷이 약 30일정도 길었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290일이었다. 월동처리 유무에 따른 두점박이사슴벌레 유충기간의 차이는 비월동 개체가 월동 개체보다 수컷은 약 60일, 암컷은 약 40일정도 짧았으며, 암수 평균 유충기간은 약 45일정도 짧았던 경향을 보였 다. 또한 유충의 생육특성 중 두폭은 처리간 서로 유사하였던 반면, 암수 무게는 월동 개체가 비월동 개체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우화의 경우 암컷이 비월동과 월동 개체에서 모두 수컷보다 빨랐던 경향을 보였다. 추후에는 월동 유무에 따른 성충 산란량과 사육 키트 개발을 위한 사육상자 크기 및 배지 높이별 성충 산란량, 온도 및 사육상 자 크기별 유충 생육 등의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19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말벌류는 벌목(Hymenoptera)의 말벌아과(Vespinae)에 속하는 종들로 10종의 말벌속 (Vespa) 중 8종[장수말벌(V. mandarinia), 꼬마장수말벌(V. ducalis), 등검은말벌(V. velutina nigrithorax), 좀말 벌(V. analis), 말벌(V. crabro flavofasciata), 검정말벌(V. dybowskii), 털보말벌(V. simillima simillima), 황말벌 (V. simillima xanthoptera)]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던 등검은말벌이 급속도로 확산되어 우리나라 양봉산업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 주요 양봉지역인 공주, 청양, 논산에서 말벌 유인액을 주입한 포획기를 이용하여 4월부터 6월까지 봄철 출현하는 여왕말벌의 포획된 말벌 류 개체들을 조사하여 분포도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말벌 포획 개체수 조사결과, 등검은말벌의 분포율이 공주 76.3%, 청양 74.1%, 논산 58.0%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으며, 꼬마장수말벌이 다음으로 공주와 청양지역은 밤나무 숲으로 12.4~16.0%를 보였던 반면, 소나무 숲을 이룬 논산에서는 31.8%로 최대 2.5배 정도 높은 분포 비율을 나타냈 다. 그리고 장수말벌은 5.2~8.6%의 분포율을 보였으며, 다른 지역보다 해발이 높았던 청양지역에서 장수말벌이 많게 조사되었다. 봄철 3개 지역에서 포획된 여왕말벌류의 총개체수(266마리)에 대한 평균 분포 비율은 등검은말 벌 69.5%, 꼬마장수말벌 19.9%, 장수말벌 6.8%, 말벌 2.6%, 그리고 좀말벌 1.1% 순으로 조사되었다.
19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양봉농가에는 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이상기후 악재와 초비극 상황인 꿀벌 군집 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으로 인하여 최대 60%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거나 사라지는 등 양봉산업 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으로 약해진 꿀벌의 면역력과 봉군 세력을 향상시 키기 위하여 농업부산물 홍삼박을 활용한 화분떡을 자가제조하여 꿀벌 사양 먹이를 통한 봉군 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가공부산물 홍삼박을 건조하여 130 mesh 이상 초미립자로 분쇄하 였으며, 조사포닌 725 mg 100-1을 함유하였고 화분떡 총중량의 0.5, 1.0, 2.5, 5.0, 10.0%로 첨가하여 완전하게 혼합 배합하여 화분떡을 제조하였다. 분봉벌은 4월 분봉한 봉군으로 이용하였으며, 2달 동안 1주일 간격으로 대조구 화분떡과 제조한 홍삼박 화분떡 5처리구에 급이하여 봉군의 세력을 조사하였다. 사양 먹이로 급이한 화분떡은 30일간 달관조사에서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꿀벌 먹이로 거부반응은 없었다. 봉군 세력 조사로 4월 분봉벌의 봉군은 1매 2갈로 시작하여 약 한 달 후에 6매 봉판으로 증소되었으며, 이때 조사된 봉군별 봉개율은 대조구 55%(100 기준) 대비 홍삼박 0.5~1.0% 처리구는 58~60%로 +(5~9)% 향상되었던 반면, 홍삼박 2.5% 이상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봉개율이 -(9~20)%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화분떡 먹이 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평균 96.9%(100) 소모율 대비 홍삼박 0.5% 처리구는 97.7%로 다소 높았으나 홍삼박 2.5% 이상 처리구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9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breeding room of the Sericulture & Entomology Experiment Station for Oriental garden crickets(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suura) and Modeagali-crickests(Loxoblemmus doenitzi Stein) collected from the lawns of Byeonsan-myeon, Buan-gun, Jeollabuk-do.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6 treatments from 15°C to 40°C at 5°C intervals using a multi-incubator, and the development period and mortality rate by age were compared using the 28°C breeding room conditions as a control. For T. emma,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shorter the total development period was, and the same trend was observed for the growth period by age stage. However, at low temperatures of 15°C and 20°C, all died after the third instar, and at high temperatures above 35°C, all died during development. At 25°C and 30°C, they developed normally, and the mortality rate was about 25%. The L. doenizi had the same tendency as the T. emma, with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shorter the development period. The total development period was 57.7 days at 25°C, which was similar to the T. emma's 55.9 days, and the mortality rate was the lowest at 44% at 25°C.
19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axonomic study of Korean Psammodiini is present. Seven species [Rakovicius coreanus (Kim), Leiopsammodius japonicus (Harold), Psammodius flavolittoralis Kim, Psammodius hangangensis Kim, Psammodius sungshinarum Kim, Rhyssemus inscitus (Walker), Trichiorhyssemus asperulus (Waterhouse)] belonging to five genera are recogniz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 pictorial key, habitu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Korean Psammodiini speci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19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닭 사체를 이용하여 장소, 기온, 습도별 시식성 곤충상을 파악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전민동 일대의 3개의 장소 를 선택하여 닭 사체별로 유인되는 곤충의 종류와 군집 상의 차이와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닭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을 주기적으로 채집하고 해당 일자의 온도와 습도를 조사하여 기록했으며, 채집한 곤충들은 외부 형태적 특징으로 분류하고 개체수를 확인했다. 조사결과, 딱정벌레목과 파리목의 개체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바퀴목, 벌목, 노린재목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곤충들이 유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법곤충 시식성 곤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결과를 종합정리하였다.
19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urve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PPNs) was carried out in medicinal crop cultivated fields from July to August in 2023. Three-leaf ladybell,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a highly valued medicinal plant that is used to treat or prevent bronchitis, cough, cancer, and obesity in Korea. A. triphylla plants with small root-galls were observed in a field of Yeong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hich were identified as a root-knot nematode. Addition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studies were performed and identified as Meloidogyne hapla, Northern root-knot nematode. Population densities of M. hapla ranged from 20~30 nematodes per 100 cm3 of soil. M. hapla was detected at lower densities in soil compared to other infected host crops,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damage to M. hapla since A. triphylla is cultivated for more than two years once planted. Our results indicate that A. triphylla roots damage by M. hapla were identif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trol methods such as registration of applicable nematicides and crop rotation.
19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변 국가인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를 채집하던 중, 벼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이삭멸구(N. muiri)와 벼멸구붙이(N. bakeri), 그리고 흰등 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흰등멸구붙이(S. kolophon), 피멸구(S. vibix) 그리고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가 동시에 채집이 되는 등 형태적 차이점이 거의 없어 전문가도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형태가 유사한 상기 멸구류의 종 동정을 확실히 할 수 있는 PCR용 프라이머의 개발을 위해 벼멸구 및 흰등멸구의 미토콘드리아 내 COI 영역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종 동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19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Kurahashiodes is a monotypic genus that only recorded in Japan with Kurahashiodes suenagai. This species was first known by Wohlfahrtiodes suenagai in 1994, but reorganized with the new genus Kurahashiodes by Verves in 2001. Kurahashiodes was close to genus Wohlfahrtia but can be distinguished by R1 haired, surstylus narrow, phallus without ventral protuberance. This gen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fauna. The diagnosis and photographs of the Kurahashiodes suenagai are provided herein.
19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Icerya Signoret, 1876 has 38 species distributed in the world, and some are known to cause damage to valuable crops. The Seychelles scale, Icerya seychellarum (Westwood) (Hemiptera: Coccomorpha: Monophlebidae) was found on Cycas revoluta located in the province of Seogwipo-si, Jeju Island, South Korea. This species is highly polyphagous and has been reported to attack host plants of 136 genera, it is wide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species was presently considered a quarantine pest and it seems that control is needed. In this study, I. seychellarum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we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description of this species.
20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ribe Tropidocephalini Muir, 1915 (Delphacidae: Delphacinae) comprised 37 genera 204 species worldwide. In Korea, only three species, Epeurysa nawaii Matsumura, 1900, Tropidocephala brunnipennis (Distant, 1906), T. nigra (Matsumura, 1900),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one species, Epeurysa distincta Huang & Ding, 1979,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e provid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hotographs and taxonomic keys of the four species belonging to the tribe Tropidocephali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