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8년 작물보호분야 공동 국제학술대회 (2018년 10월) 380

Workshops

12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there is a great attention and interest in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various research field including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due to its high functionality and potentiality. In this talk, I will present several agricultural robotics projects progressing in my research group, Human-centered Robotics and Automation Laboratory. In details, the following four researches will be introduced in focus with swarm robotics, simultaneously localization and mapping,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1) multiple agricultural unmanned aerial vehicles; 2) intelligent autonomous spraying vehicle; 3) autonomous unmanned aerial vehicle based small insect tracking and mapping system; and 4) autonomous cooperation of heterogeneous agricultural robots.
1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산업은「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곤충사육 가구는 ‘농가’로 분류하고, 곤충 사육하는 사람도 ‘농업인’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실제로 곤충산업이 농업에 포함되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가령, 농어촌희망재단의 농업인 자녀가 장학금을 받기 위해서는 부모가 농업인이어야 하는데, 여기에서 ‘농업인’이란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에 따라 “농업을 경영하거나 이에 종사하는 자”로 정의된다. 그리고 동일 법률에서 농업은 “농작물재배업, 축산업, 임업 및 이들과 관련된 산업”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곤충산업은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농업의 종류 어디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현재 법규상 곤충산업을 농업으로 분류하는 규정은 「농업인 확인서 발급규정」(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제 2016-85호)밖에 없다. 현재 곤충산업의 법적 지위는 법률이나 시행령이 아닌 시행규칙의 하나인 고시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농업인’으로써의 지위만 인정할 뿐, ‘농업’이라는 산업으로써의 곤충산업은 어디에도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지 않다. 농업의 한 범주로써 곤충산업이 갖는 법률적 지위가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곤충산업이 농업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조세특례 제한법」의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으며, 농사용 전기 요금을 적용받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곤충 사육 농가들의 농업인으로써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농업으로서의 곤충산업의 법률상 지위를 강화하고 명확히 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축산법」에서 정하는 고시(가축의 종류)에 곤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을 개정하여 곤충산업을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12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Platygastridae is a large group of parasitoid wasps, generally have a small body size (1-2mm). Platygastidae comprised of 5 subfamilies (Platygastrinae, Sceliotrachelinae, Scelioninae, Teleasinae, and Telenominae). Until know 6,049 species in 265 genera are reported around the world except polar regions and 96 species in 26 genera are reported from Korea. This study contains general information of Platygastrid wasps as a candidate of effective natural enemy, also provide high resolution photography to identify Korean Platygastid wasps at the genus levels.
1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there were no records of fossil ants both types of amber or impression in Korea, despite many fossil ants were known from Japan and China. Majorities of extinct fossil ants were mainly distributed from the Eocene to Miocene strata in worldwide. In Korea, the ant fossils were discovered only from a single site, the Pohang basin which is the typical Neogene sedimentary basin. Duho Formation, which new fossil species was found, belongs to Pohang basin and ranges from about 150m to 200m in thickness. More than 10 unidentified species of ant fossils excavated from Duho Formation were recognized as Formicidae by the authors. Hence, we provided short descriptions of one new fossil species, Aphaenogaster koreana sp, nov. and introduced current status of Cenozoic fossil ants excavated from Duho Formation, Republic of Korea.
1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in Monochamus (Coleoptera: Cerambycidae) are wellknown vector species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in South Korea. In 2018, the surveys using sentinel logs with two Monochamus species larvae were made from early June to last September in Pinus densiflora forests of Pohang city, South Korea.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10 times in order to investigate parasitism patterns of the larval parasitoids of M. saltuarius and M. alternatus. Three plots were chose at interval distance of 20 m (0 m, 20 m, 40 m)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forests (i.e. forest depths) in one damage area of the pine wilt disease for each of three different locations. For each time of the exposure ten sentinel logs were hung along the tree heights (i.e. sentinel logs positions) (height: 0 m, 1.8 m, 3.6 m, 5.4 m, 7.2 m). As the results of the surveys six larval parasitoids in total were identified, and most abundant parasitoids were Spathius verustus and Cynopterus flavator. Analyses showed that the parasitism rate on larvae of two Monochamus species was not affected according to forest depth, but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in the third plot. Also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at 5.4 m height of a tree. Lastly, parasitisms rate on M. alternatus was higher than that of M. saltuarius.
12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cyrtidae, belonging to Chalcidoidea (Hymenoptera), includes about 4,000 species in 460 genera worldwide. Many of the members are very important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insect pests such as scale-insects (Hemiptera, Coccoidea). Many species have been relatively well studied in various taxonomic and biological fields because of economical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Encyrtidae. However, Korean encyrtids are poorly studied so far.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taxonom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cyrtidae. In addition further study plans are also presented.
12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미는 남극 이외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는 생태계의 주요 구성요소로 생물다양성 연구에서 지표생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분류군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개미과를 대상으로 한 많은 형태학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결과에서는 하위분류체계에 대한 상충된 이견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이들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한 계통분류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미과 중 빠른 활동력을 가지고, 진화나 지리적 분포에 있어 가장 성공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위도별 분포양상에 따라 기후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불개미아과를 대상으로 종 수준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기생이나 공생 등에 관여하는 종들의 분류학적 위치정립을 통해 개미류의 생태 및 진화 등의 다양한 연구 진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12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ribe Centistini is a cosmopolitan group, comprising 94 species (Yu et al., 2016; Aguirre et al., 2017). Among them 44 species have been known from the East Palaearctic region. Centistini are known to be solitary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final instar larvae (rarely) and Coleopteran adults, particularly the families Anthicidae, Carabidae, Chrysomelidae, Coccinellidae, Curculionidae, and Staphylinidae (Loan, 1964; 1972; Shaw, 1985; Chen and Achterberg, 1997). Previously, 16 species of 1 genera of tribe Centistini, have been recorded from Korea.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19 species of 2 genera of the subfamily Euphorinae is recognized from Korea. Among them, three species, Allurus liturature (Haliday), Centistes minutus Chen & Achterberg and C. sylvicola Belokobylskij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12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plodiploid sex determination is prevalent in nature comprising about 25% of higher taxa. Due to its uniqueness, selfish entity may relatively easily slip in the system. Here, I will introduce 3 different types of selfish entities. First, some microorganisms are known to distort sex ratio in favor of their own prosperity. Second, a genetic fragment, called paternal sex ratio chromosome, is classified as the extremely selfish element so far in haplodiploid. Finally, haploid genome itself can evolve selfishness. The first two result in skewed sex ratio, and the last in completely new genetic relatedness. I will also discuss their evolutionary significance and potential utilization in controlling pest populations.
13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l aspects of hosts’ life are affected not only by symbiotic bacterial community but also endosymbionts, such as physiological function, mating preference and fitness. Wolbachia, one of the most common endosymbionts, known as a manipulator of host sex ratio, may also have a huge effects on other symbionts. Here, we assessed the effects of Wolbachia on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other symbiotic microbial communities in six ant species by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Our results show that the diversity of the symbiotic microbial communities between Wolbachia-positive species and negative species is not different. However, according to the Wolbachia infection, dominant symbiotic microbes of each host species were different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the overall symbiotic microbial community.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as Wolbachia have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microbiome of hosts, endosymbiont infection status deserves special consideration in studying microbiome.
13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s have been highly successful throughout the evolution: spreading over all continents except Antarctica and constituting 15~25% of total biomass on Earth. Leafcutter ant (Atta cephalotes) inarguably represents the most sophisticated social structure among numerous ant species.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caste determination and divergence, we extracted RNA from the head and DNA from the body of single workers based on their size and analyzed them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 The preliminary results demonstrate power of the approach to uncover underlying biology of leafcutter ants, which was not feasible before the advent of NGS technique using conventional model species.
13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ture colonies of leaf-cutting ants (LCA) in the genus Atta are among the largest of any social insect. These “superorganisms” harvest substantial amounts of leaf material per year, which they use to cultivate a specialized symbiotic fungus for food (Basidiomycota, Agaricales, Leucoagaricus). This complex symbiosis is not bipartite as originally thought, as it includes at least four coevolved and integrated organisms: the farming ants, the fungi that the ants cultivate for food, a genus of fungi (Escovopsis) that are specialized mycoparasites of the ant’s fungal gardens, and actinomycete bacteria (genus Pseudonocardia) that the ants culture on their bodies and from which they obtain antibiotics against the Escovopsis parasites. More recently we described an additional symbiosis with Nitrogen-fixing bacteria that colonize the fungus gardens and contribute to supplement the ants’ nutrition. Our present research efforts in Costa Rica focus on potentia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he ants’ microbial symbionts, including bioprospecting for novel antibiotics. We currently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of symbiotic bacteria in cellulose degradation within the fungus garden, employing a combination of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techniques coupled with ultrastructural analysis based on high resolution microscopy. Further, given that the ants constitute one of the main agricultural pests in Latin America, we study microbial parasites of both the ants and the fungus gardens to develop biocontrol product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the detrimental effects of these insects.
13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생하여 2017년 4월 기준 109시ㆍ군ㆍ구에서 99만본 이상 발생하였다.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나무주사로 약제 단가가 저렴해져 처리 면적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그 시기가 12월~2월로 극히 제한적이어서 처리시기 확대를 위해 10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아바멕틴 유제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를 월 1회 나무주사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10월 말~1월까지는 두 약제 모두 100% 방제효과를 보였고, 아바멕틴 유제는 2월(93.3%), 3월(86.7%), 4월(83.3%), 5월(80%)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유제는 2월(100%), 3월(96.7%), 4월(96.7%), 5월(50%)로 4월까지 효과가 뛰어 났으나 5월에 급격히 방제가가 떨어졌다. 2월~5월까지 나무주사 후 약제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아바멕틴 유제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보다 약제 잔류량이 많았고 두 약제 모두 처리 시기가 늦을수록 약제 잔류량도 적게 나타났다. 각 시기별로 나무주사한 가지의 일부를 채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결과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소나무재선충 증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처리방법을 현행방법과 주입병을 이용하여 각각 2월에 나무주사한 결과, 두 방법 모두 소나무재선충 예방효과, 약제 잔류량, 소나무재선충 증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13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노랑총채벌레는 저항성 해충군이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고 산란수가 많으며 세대기간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령기가 혼재하고 있으며, 꽃과 잎 등 식물체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생활환을 완성하는 복잡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총채벌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설 내 방제는 어려운 실정이며, 동일계통의 작용기작을 갖는 약제들의 단조로운 패턴의 약제사용으로 인하여 그 방제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처리별 효과 검증을 통하여 방제체계를 제안하였다. 우선 실내에서 약제별 약충과 성충에 대한 처리방법별 효과 검토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가 높지 않은 초기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와 총채벌레 밀도가 높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약제를 선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포장에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조합별 효과 검토를 하였다. 또한 본 시험결과들을 기초로 ㈜경농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밀도가 높을 경우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연속살포하는 3!3!3! 총채벌레 관리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
13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사회는 지속적인 농지면적 및 농촌인구 감소, 빠른 고령화로 인하여 일손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하우스 시설면적의 증가와 새로운 외래해충의 발생증가 등으로 인하여 작물보호제의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작물보호제 시장은 1980년도에는 성분량으로 16,132톤 1,348억원 출하 판매되었으며, 2017년에는 20,043톤 1조 5,048억원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작물보호시장 중 살충제 시장은 1980년 6,407톤 572억원 출하 판매되었으며, 2017년에는 6,282톤 5,707억원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13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의 재배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해지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해충 종의 다양화와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해충과 남방해충의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대별로 구분하여 4개 시군에서 정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갈색날개매미충의 30 ㎝ 당 난괴 밀도는 0.8개, 약충 밀도는 6월 상순 0.19마리, 6월 하순 0.21마리로 작년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선녀벌레는 산간지인 장수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먹노린재는 평야지에서 20주당 평균 3마리 발생하였다. 애멸구는 6월 상순 평야지인 부안에서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볼록총채벌레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 초순에서 8월 초순까지 발생이 많았다.
13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발생하는 주요 돌발 및 남방계 해충으로 벼먹노린재와 애멸구, 감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볼록총채벌레, 풀색노린재, 포도 꽃매미, 갈색여치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부화율은 평균 21.8%로 낮았으며, 약충밀도는 전년 대비 26.1% 감소하였다. 동계 최저온도 확인결과 영하 10℃이하가 5일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2017년 장성과 영암의 산림지역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올해는 화순 그리고 보성, 신안 압해도의 농경지까지 발생지역이 확산되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볼록 총채벌레 유살정도는 청색보다 황색을 선호하였고, 9 시ㆍ군에서 모두 발생하여 6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로 조사되었다. 꽃매미의 월동난부화율은 65%로 작년과 비슷하였으며, 현재까지 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노린재는 조기재배지역과 친환경단지에서 발생밀도가 높게 조사되었고, 7월 상순에 최대 발생밀도를 나타내었다.
13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와 세계시장 개방에 따른 외래 및 돌발해충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발생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경상지역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과 피해조사를 위해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 돌발해충 6종을 경남 9시군과 경북 9시군에서 월동기 1회, 약충기 2회, 성충기 1회를 순회 조사하였고, 애멸구, 배추좀나방, 볼록총채벌레 등 남방계 해충 5종을 산간지, 중산간지, 평야지 각 3지역에서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인 꽃매미와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발생현황으로 농경지 발생면적은 2017년 비해서 2018년도에 발생면적이 늘었으나 발생 농가수는 줄어들어 발생지역은 점차 확대해가고 있으나 발생밀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충별 조사결과로 미국 선녀벌레 약충이 함안에서 가장 밀도가 많이 조사되었고, 함양, 상주, 예천 둥에서 발생하였고,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은 하동에서 가장 발생이 많았고 진주, 사천, 고성, 산청, 함양, 거창, 상주, 예천 등에서 넓게 발생하였으나 꽃매미 약충은 함안과 함양에서만 조사되었다. 고도별 발생 차이는 발생밀도가 적어서 알 수가 없었다. 갈색여치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발생을 확인하지 못했고 먹노린재는 하동에서만 일부 조사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다. 목화진딧물은 조사지역간에 밀도 차이가 많았고 고도에 따른 차이보다는 농가에서 농작물 재배관리나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애멸구의 월동기 조사와 육안조사 결과 발생밀도가 낮았고, 볼록총채벌레는 트랩조사 결과 조사지역 감나무에서 모두 발생하였으나 발생밀도는 높지 않았고 7월중 밀도가 함양에서 평균 9.8마리로 가장 높았다.
13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실태 조사결과, 겨울철 경기지역 평균기온이 전년보다 3.7℃, 평년보다는 1.2℃ 낮게 경과함에 따라 포도 재배지 꽃매미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35.6%로 전년 대비 60% 감소하였음. 블루베리 재배지 갈색날개매미충의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26.9%로 전년 대비 50% 감소하였으며, 겨울철 피해가지 제거로 부화약충의 밀도는 매우 낮았음. 저온 적응성이 강한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6월 중순 안성지역 평야 블루베리에서 약충이 가지당 최대 6.64마리 발견되었으나, 하절기 고온 등으로 성충의 밀도는 크게 감소되었음. 남방계 해충인 볼록총채벌레는 포도 재배지에서 5월 하순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여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가운데 지역별로는 남부지역(안성), 지대별로는 중산간지 > 산간지 > 평야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음.
14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강원도 춘천의 경우 동계최저기온(12월 상순~2월 중순)은 전년대비 약 0.2~9℃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돌발해충의 월동난 부화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제로 갈색날개매미충은 전년대비 약52%, 꽃매미는 약67% 부화율이 낮아졌다. 또한 최근 강원도에서 발생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5월 하순에 부화하여 7월 상순에 인삼포장에서 주당 최대 12마리(중산간지)의 약충발생밀도를 보였고, 약제방제가 이루어지지않은 아까시나무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312마리(산간지)의 최고발생밀도를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복숭아과원에서의 발생은 많지 않았지만 과원주변 수목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최고 73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다. 꽃매미는 5월 하순 부화가 시작된 후 포도과원에서 주당 최고 12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지만 약제방제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고, 볼록총채벌레는 8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9월 상순 트랩당 4.8마리(평야지)의 발생밀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