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12년 5월) 195

12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광릉 숲의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광릉 숲의 장기생태조사지에서 2007-2008년도에 이루어졌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는 유인트랩(깔때기트랩과 윈도우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유인트랩의 결과, 총 45과 294종 6,822개체가 채집되었다. 윈도우트랩에서는 43과 263종 5,215개체, 깔때기트랩에서는 37과 161종 1,607개체가 채집되어 윈도우트랩에서 더 많은 딱정벌레가 채집되었다. 종다양도는 깔때기트랩(5.55)과 윈도우트랩(5.67)이 비슷하였다. 딱정벌레군집을 트랩에 따라 나무별로 NMS분석을 한 결과, 윈도우트랩에서는 전체변이의 70%를 설명했지만, 깔때기트랩은 21%만을 설명했다. 윈도우트랩에서는 수종에 따라 딱정벌레군집이 뚜렷하게 달랐다. MRPP의 결과에서도 윈도우트랩만이 수종간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2년간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의 조사를 통해서 고사목 혹은 그 주변에 다양한 딱정벌레가 서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종에 따라 이용하는 딱정벌레가 많이 다르다는 것도 나타났다.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한다는 것은 산림생태계가 잘 유지되고 있으며 산림의 건전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12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광릉 숲의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광릉 숲의 장기생태조사지에서 2007-2008년도에 이루어졌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는 우화트랩을 사용하여 채집되었다. 조사결과, 총 47과 184종 1,407개체가 채집되었다. 졸참나무에서는 45과 165종 1,099개체가 채집되었고, 서어나무에서는 25과 80종 308개체가 채집되어, 졸참나무 고사목을 더 많은 딱정벌레가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다양도(H’)도 서어나무(5.56)보다 졸참나무(6.02)가 더 높았다. NMS분석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를 이용하는 딱정벌레군집이 뚜렷하게 달랐으며 서어나무를 이용하는 딱정벌레군집이 부후등급에 따라 보다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2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화가 나비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홍릉 숲에서 나비군집을 대상으로 선조사법을 수행하였다. 홍릉 숲은 서울의 도심부에 위치하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의 시험림으로써 다양한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본 조사에서 나비는 28종 1,512개체가 관찰되었다. 1구간에서는 22종 633개체수, 2구간에는 26종 879개체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대만흰나비(602개체, 39.8%), 배추흰나비 (455개체, 30.1%), 큰줄흰나비(162개체, 10.7%) 순으로 이 3종이 전체 풍부도의 81%를 차지했다. 서식지 형태를 비교한 결과, 홍릉 숲에는 초지종이 13종(4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숲가장자리종이 10종(36%), 숲내종이 5종(18%)으로 가장 적었다. 생존전략을 비교한 결과, 홍릉 숲에는 generalist가 8종 663개체, specialist가 6종 45개체가 관찰되었다. 많은 연구에서 도시화는 나비의 종수를 감소시키고 산림성종, 정주성종, 1화성종, 야생목본식성종 등을 쇠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고 생각된다.
12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국내 습지유형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습지 유형은 국내에 대표적으로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인 배후습지(우포습지)와 고층습원(용늪)을 선정하였으며, 인공조성된 습지인 대체습지(덕소습지, 둔촌동습지, 진관내동습지)와 논습지(월봉리습지, 무의도습지, 율수리습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유형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분류군의 종조성을 분석하고, 다변량 분석(NMS)을 통하여 군집의 특성를 분석하였다. 종조성의 경우 배후습지와 고층습원의 경우 파리목(Diptera)의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수 비율의 경우 배후습지와 고층습원에서 비곤충류(non-Insecta)와 파리목(Diptera)이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습지와 논습지의 경우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의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수의 비율은 대체습지와 논습지에서 각각 잠자리목(Odonata)과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높게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 결과 유형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논습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후습지와 고층습원과 대체습지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12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만금간척지에 재배되는 옥수수 주요해충은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및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등 8종이었고, 천적으로는 조명나방고치벌(Macrocentrus cingulum), 기생파리류 (Lydella sp.) 1종 및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였다. 조명나방과 왕담배나방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조명나방 1차 성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여 6월 상·중순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고, 6월 하순 이후로 감소하였다. 또한, 2차 성충은 8월 상순부터 발생하여 중순에는 소폭 증가하였고, 9월 상순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으며, 그 이후로 점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간척지 옥수수에 발생하는 조명나방의 방제적기는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이었다. 왕담배나방 1차 성충은 4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5월 중순경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고, 5월 하순 이후로 감소하였다. 또한, 2차 성충은 7월 상 · 중순, 3차 성충은 8월 상순에 최고발생밀도를 보였으나, 발생량은 1차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유충발생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상순에 최대발생밀도를 보였고 그 이후로 점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간척지 옥수수에 발생하는 왕담배나방의 방제적기는 5월 중순이었다.
12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D광 파장에 대한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의 유충 및 성충에 대한 유인과 기피반응을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560nm 파장에서 유인율이 31.7%로 가장 높았고, 590nm, 630nm, 375nm 순이었다. Lamp형 기판과 육면체 검정상을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 성충의 유인율은 375nm 파장에서 가장 높았고, 530nm, 590nm, 630nm 파장은 처리간 유인율 차이가 적었다. 고출력 면광 기판과 정사면체 검정상을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 성충의 유인율도 375nm 파장에서 36.3%로 가장 높았다. LED광 파장에 유인된 성충들이 각 파장에 대하여 선호성 또는 기피성에 의해 유인되었는지 조사한 결과, 처리후 시간별 차이는 있지만 530nm 및 610nm에서 각각 15% 및 10%의 기피율을 보였으나 590nm에서는 유인수가 15% 더 많았다. 파밤나방 3령충을 대상으로 한 LED광 파장별 유인율은 590nm 파장에서 30.5%로 가장 높았고, 560nm, 630nm 및 375nm 순이었다. 파밤나방 성충의 유인율은 375nm 파장에서 37~44%로 가장 높았고, 560nm, 590nm 및 630nm에서는 조사 시간대별 유인율 차이는 다소 있지만 전체적인 유인율 차이는 없었다. 375nm 파장은 담배거세미나방 성충도 가장 유인율이 높았던 파장으로 이 범위의 파장을 이용하면 담배거세미나방 및 파밤나방 성충 유인포획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127.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사체의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법곤충학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경남 양산의 야산에 2011년 여름과 가을에 노출돼지사체와 감은돼지사체를 1두씩 설치하여 각 사체에 나타나는 곤충상의 변화와 사체의 부패속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여름에 설치한 노출사체에서는 2목 9과 14종의 곤충이 채집되었고 깜장파리속의 한 종(Ophyra sp.)이 우점하였다. 감은사체에서는 3목 9과 17종이 채집되어 풍뎅이붙이과의 한 종(Histeridae sp.)이 우점하였다. 가을에 설치한 노출사체에서는 3목 11과 17종이 채집되었고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가 우점하였다. 감은사체에서는 3목 8과 11종이 채집되었고 깜장파리속의 한 종이 우점하였다. 또한 모든 사체에서 사체부패의 초반에 출현한 연두금파리는 이 지역 사체의 부패 초기에 대한 지표종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모든 사체에서 공통으로 많이 채집된 종은 꼭지파리과의 한 종(Sepsidae sp.)과 깜장파리속의 한 종이었는데, 이들은 사체부패 중 후기에 출현하는 종으로써 사체부패의 중 후반단계에 대한 지표종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사체의 부패속도에 대해서는 여름에는 노출사체(10일)의 부패가 감은사체(15일)에 비해 빨리 진행되었고, 가을에는 감은사체(8일)가 노출사체(17일)에 비해서 빨리 진행되었다. 사체의 온도는 여름에는 두 사체 모두 6일째부터 상승하여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한편 가을에는 감은사체(4일)의 부패가 노출사체(11일)보다 더 일찍 시작되었다. 즉 사체의 부패속도와 온도는 계절과 노출정도에 따라 다른 것이 확인되어, 사체의 사후경과시간을 유추할 때 계절뿐 만 아니라 노출정도도 매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12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il microarthropods play important role in soil food web and contribution the nutrient cycling and soil system health. Among diverse taxa, gamasid mite Acari: Gamasida) is considered as a top predator group in soil ecosystem. We compared the soil microarthropod communities focused on gamasid mite species composi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Mt. Cheonju in bukmyeon, Changwon-si, Gyeongsangnam-do. On the mountain hill, contagious pine tree (Pinus densiflora) and oak tree (Quercus acutissima) stand were sampled while the bamboo tree (Phyllostachy bambusoides) stand is located in ap. 200m below from the mountain hill. Soil microarthopods abundance was high in bamboo and pine tree stand, but lower in oak tree stand. The dominance order was oribatid mite, collembolan and gamasid mites in pine tree stand, oribatid mite, insects, and gamasid in oak tree stand while in bamboo stand, oribatid mites were out numbered (75%) followed by collembolan. Collected gamasid mites were 146 individuals and 34 species.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as highest in oak tree stand and lowest in bamboo stand. Cluster analysis showed highest similar in pine-oak stand to bamboo stand. Dominant species were Holaspina dentatus (Parholaspididae) in pine stand, Gamasus fujisanus, Veigaia sp in oak stand, and Gamasus fujisanus in bamboo stand.
12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dimorpha is a new pest of apple, pear and plum in Japan and Korea as well. Although G. dimorpha was reported as a multi-voltine insect with four generations per year, the phenology is not fully known in Korea. We present a model to predict the spring occurrence of G. dimorpha adult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G. dimorpha adult catches and accumulated degree-days. Five different distribution models were applied and the selection was made based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riteria (AICC and BIC). Model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the field data of the male moth catches in sex pheromone-baited traps of two apple production regions (Chungju and Geochang) of Korea in 2011. Model predictions of the dates for the cumulative 50% male moth catches were within five days variation. Because G. dimorpha has a feeding habit of boring inside the fruit the management practice of G. dimorpha should apply on egg and neonate larval stage. The management strategy of G. dimorpha in spring might be improved by the model.
13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pilio macilentus is the longest tail butterfly of Papilionidae found in Japan, China and Korea and has distinctiv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 .macilentus feeds on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has three generations per year.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and thermal constant for adult emergence of P. macilentus overwintering pupae were estimated at four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 20, 25 and 30°C) with photoperiod 10:14 (L: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of both sexes combined was 7.95°C. The development of overwintering pupa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etween 15 and 30°C. Thermal constant of both sexes combined was 251.26D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was fitted by linear and five nonlinear developmental rate models (Logan 6, Lactin 1, 2 and Briere 1, 2). The development of overwintering P. macilentus pupae was described by the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The temperature-dependent adult emergence model of P. macilentu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full-cycle phenology model of P. macilentus and appli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emergence distribution of overwintering pupae.
13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pilio xuthus is known as the Asian swallowtail, Chinese yellow swallowtail, or as the Xuthus swallowtail. It overwinters in pupae stag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effect on adult emergence of overwintering P. xuthus pupae at four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 20, 25 and 30°C) with photoperiod 10:14(L: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s of female, male and both sexes combined were 9.71, 11.03, and 10.49°C, respectively. Developmental period of overwintering pupae to adult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etween 15 and 30°C. Degree-days for adult emergence to female, male and both sexes combined were 227.27, 175.44, and 200.80DD,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was fitted by linear and five nonlinear developmental rate models (Logan 6, Lactin 1, 2 and Briere 1, 2). The variation of overwintering pupae development was described by the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model. The adult emergence of overwintering P. xuthus pupae in spring can be explained and predicted by using developmental rate models and developmental distribution model.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distribution of P. xuthus may be presented by the model.
13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펀넬트랩, 통발트랩 및 M/S(moth, snail, slug, stink bug) 콘트랩(cone trap)에 집합페로몬을 주입하여 산림지인 밀양의 화악산과 평야지인 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콩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성충과 약충의 유인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림지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의 유인효과는 M/S콘트랩 > 펀넬트랩 > 통발트랩의 순 높았으나, M/S콘트랩과 펀넬트랩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약충의 유인효과는 M/S콘트랩 > 통발트랩 > 펀넬트랩의 순으로 높았으나, 트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야지인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의 유인효과는 통발트랩>콘트랩>펀넬트랩 순으로 높았으며, 약충은 펀넬트랩 > 통발트랩 > 콘트랩 순으로 높았다. 하지만 콩포장에서 트랩종류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의 유인효과는 트랩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약충의 유인효과는 트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M/S콘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과 약충의 발생예찰 및 포획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약충의 예찰 및 포획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13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pis 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Maehyang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M., and the peak times of pollinating activity were between 11A.M and 1P.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 .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4bee combs(8,800heads) and 3bee combs(6,6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and 4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at of 3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99%. The fruit qualities; No.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 was ordered 5bee combs in 16.9g, 4bee combs in 16.4g and 3bee combs in 15.6g. The rate of marketable fruit of 4bee combs and 5bee combs were 5% to 9% higher than that of 3bee combs, respectively.
13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KB098 (이하 KB098 균주)은 파밤나방에 높은 살충 활성을 보인다. 해충에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내독소 단백질은 cry gene에 의해 발현이 되는데 cry gene은 주로 Bacillus thuringiensis의 plasmid DNA 상에 존재한다. KB098의 plasmid DNA를 추출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Cry1Aa, Cry1Ab, Cry1C, Cry1D 총 4개의 cry gene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BM-1은 KB098균주를 curing한 mutant 균주로, KB098균주를 42℃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고, UV를 조사하여 확보하였다. KBM-1의 plasmid DNA를 PCR한 결과 KB098에서처럼 Cry1Aa, Cry1Ab, Cry1C, Cry1D의 cry gene이 증폭됨을 알 수 있었다. KBM-1은 KB098처럼 crystal을 암호화하는 plasmid DNA를 가지며, cry gene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KB098과는 달리 KBM-1 균주는 내독소 단백질을 생성하지 못하며 파밤나방의 생물 활성 검정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고자 KBM-1 plasmid DNA의 특정 cry gene의 PCR 결과, 증폭된 cry 유전자 내에서 염기서열의 변화에 기인할 것이란 가정하에, KB098과 KBM-1 균주의 특정 plasmid DNA 상에서 증폭된 cry gene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 할 것이다. 이를 통해 crystal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변이 유무를 확인할 계획이다.
13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roject has been launched and aims to introduce Amblyseius swirskii for the control of Tetranychuns urticae in rose cultivating greenhou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selective acaricide, sensibly, to reduce risk for the natural enemy agent of A. swirskii in controlling T. urticae. T. urticae was susceptible strain UD from Entomology laboratory of SNU and A. swirskii was purchas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source. When LC50s were compared with A. swirskii and T. urticae of abamectin 1.8EC and 7 other acaricides, chlorfenapyr+cyenopyrafen (4+20)SC, abamectin 1.8EC, and chlorfenapyr 10SC for A. swirskii showed 148, 74, and 14 times, respectively, higher dose than T. urticae, as selective acaricides. However, fenpropathrin 5EC and fenpyroximate 5SC for T. urticae showed 22, and 25 times, respectively, higher dose than A. swirskii. For T. urticae bifenazate 23.5SC and cyflumetofen 20SC showed more than 97% mortality at less than the recommended dose, but the acricides did not kill A. swirskii 16 and 4 times as much dose as the recommended dose.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veral acaricides have inherent lower toxicity to A. swirskii. For practical application, it might be recommended to use acaricides in a way to strengthen inherent selectivity.
13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serious forest pathogen in many countries including Japan, China and Korea.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ynthetic chemicals broadly utilized in the control of B. xylophilus, we estimated the nematicidal potency of 97 phytochemicals (49 monoterpenes, 17 phenylpropenes, 16 sesquterpenes and 15 sulfides) against B. xylophilus by measuring their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cetylcholinesterases (ACE, EC 3.1.1.7) of B. xylophilus (BxACEs). In the primary inhibition assay using B. xylophilus crude protein, (+)-α-pinene, (-)-α-pinene and 3-carene in the monoterpenes, ο-anisaldehyde and coniferyl alcohol in the phenylpropenes and cis-nerolidol in the sesquterpenes were observed the > 50% BxACE inhibition rate and they were subsequently estimated the inhibition rate against three recombinant BxACEs. The (+)-α-pinene and coniferyl alcohol showed the high inhibition rate against BxACE-1 and BxACE-2. Interestingly, coniferyl alcohol also exhibited the high inhibition rate against BxACE-3 which would be insensitive to ACE inhibitors.
137.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evaluated insecticidal activity of 11 Apiaceae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constituents against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Of 11 Apiaceae plant essential oils tested, dill (Anethum graveolens), carvi (Carum carvi), caraway seed (Carum carvi) and cumin (Cuminum cyminum) essential oils demonstrated strong fumigant toxicity against adults of rice weevil. Components of 4 active compounds were analyzed by GC and GC-MS, and fumigant toxicity of individual compound was also tested. Among test compounds, carvone, dihydrocarvone, carveol, linalool oxide, neral, cuminaldehyde, and anethole demonstrated the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The toxicity of blends of constituents identified in 4 active oils indicated that carvone, and cuminaldehyde were major contributors to the fumigant toxicity of the artificial blend.
13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vicidal activity of 12 Apiaceae essential oils and their constituents was evaluated against third instar larvae of mosquitoes, Aedes albopictus. Of the 12 Apiaceae essential oils, Dill (Anethum graveolens), Caraway seed (Carum carvi), Cumin (Cuminum cyminum), Carrot seed (Daucus carota), Parsley (Petroselinum sativum) and Ajowan (Trachyspermum ammi) oils at 0.1 mg/ml exhibited 90% larval mortality after 2 days.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ed to identification of 8, 3, 13, 12 compounds, respectively. in the oils of Dill (Anethum graveolens), Caraway seed (Carum carvi), Cumin (Cuminum cyminum), Ajowan (Trachyspermum ammi). The compounds thus identified were tested individually for their larvicidal activities against Aedes albopictus. At this same concentration, the individual constituents tested, α-phellandrene, α-Terpinene, ρ -cymene, (+)-Limonene, γ-Terpinene, Thymol, Carvacrol resulted in 100% mortality after 2 days. At this same concentration, the individual constituents tested, (+)-carvone, cuminaldehyde, neral, trans-anethole resulted in 80% mortality after 2 days.
13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evaluated insecticidal and 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ion activity of 11 Apiaceae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constituents against male and female adults of Blattella germanica. Of 11 Apiaceae plant essential oils tested, dill (Anethum graveolens), carvi (Carum carvi), and cumin (Cuminum cyminum) essential oils demonstrated > 90 % fumigant toxicity against male adults of German cockroach at 5 mg/filter paper. In contact toxicity test, dill (Anethum graveolens), carvi (Carum carvi), cumin (Cuminum cyminum), and ajowan (Trachyspermum ammi) essential oils produced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ale and female adults of German cockroach. Among test compounds, carvone, 1,8-cineole, trans-dihydrocarvone, cuminaldehyde, trans-anethole, p-cymene, and γ-terpinene demonstrated strong fumigant toxicity against male and female adults of B. germanica. In a contact toxicity test, carveol, cuminaldehyde, (S)-(+)-carvone, trans-anethole, thymol, and p-cymene showed the strong contact toxicity against B. germanica male and female adults. IC50 values of α-pinene, carvacrol, and dihydrocarvone against female acetylcholine esterase were 0.28, 0.17, and 0.78 mg/mL, respectively. The toxicity of blends of constituents identified in 4 active oils indicated that carvone, cuminaldehyde, and thymol were major contributors to the fumigant or contact toxicity of the artificial blend.
14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은 protease inhibitor중의 하나인 tannic acid를 혼합처리 함으로서 파밤나방의 살충활성에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이를 바탕으로 tannic acid가 B. thuringiensis균주 특이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내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실험실에 보관중인 B. thuringiensis중 파밤나방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이는 6개의 균주와 기준균주인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을 선발하여 총 7종의 균주에 각각 tannic acid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령 파밤나방에 대해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발된 7개의 균주들의 살충성단백질의 패턴과 파밤나방 중장액에 대한 tannic acid의 단백질분해 저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DS-PAGE를 수행하였다. B. thuringiensis KB100은 tannic acid의 농도를 높일수록 사충이 증가하다가 80mM농도에서 낮아지는 반면에 B. thuringiensis KB098은 tannic acid의 농도를 높일수록 오히려 사충률의 감소를 보였고, 이외 5개 균주는 tannic acid의 농도와 상관없이 뚜렷한 사충률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각 균주의 Parasporal inclusion에 tannic acid를 처리하여 파밤나방 중장액에 반응시켜 parasporal inclusion의 분해정도를 SDS-PAGE로 확인한 결과, 133kDa크기의 단백질밴드를 나타내는 각각의 균주가 생성한 parasporal inclusion은 tannic acid처리 농도에 따라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70~60kDa단백질크기로의 분해정도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annic acid가 B. thuringiensis균주에 따른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