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language is a kind of language developing with the growth of Han nationality. In history,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character, symbol of words recording, have greatly impacted on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Chinese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aussure said: “language is a system of signs that express ideas”. Lenin said: “The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human communication Chinese, as a major tool of thinking and communication, records the splendid history and culture of Chinese nation, accumulates abundant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forms the complete language system of signs with its own features. Along with the advancing of Chinese national power, upgrading of international status and the expand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Chinese language has been listed as one of working languages by the UN. More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al give more attention to the Chinese language and more and more people are keen on learning Chinese.From scientific development point, according to principles of “cognitive rules, regul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discipline of education”, the thesis adopts effective approaches for comprehending basic knowledge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encourag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language practice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of using language In addition, the article puts forward the experiments on “literacy, reading and correction”. to contribute to “student orientation, un-separated words while learning character, non-disjunction when studying words, studying language while learning characters and vice versa.” This is to “putting knowledge into practice”, “learning efficiently and reading as soon as possible”, so as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ing the knowledge and to breakthrough scientific phase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anguage.Results of education experimental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language:Case: I rapid re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Case: II correcting words mistakes.Chinese language, as the important carrier of Chinese culture heritage, will become one of the most developed languages, which is used by the largest amount of people. Let’s share the beauty and civilization brought for human by Chinese language.
이 연구는 학생의 배경변인이 필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필순 인식과 배경 변인이 필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평가 방법에 따라서 필순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자필순 규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기본필획 7개와 파생필획 7개로 구분하였다. 필순 검사는 제자원리, 형태구조, 총획수 등을 고려하여 근수식(跟隨式) 35개, 필획식(筆劃式) 15개, 서호식(序號式) 15개, 총 65개 한자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132명, 고등학생 281명, 대학생 232명이었다. 필순 인식은 성,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다. 필순 점수는 한자필순 인식, 국적, 학교급별로 유의하게 달랐지만, 성별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필순 평가방법에 따라서 평가 결과는 달라질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필순에는 성별과 같은 생득적 조건보다는 교육적 또는 문화적 경험이 영향을 미치며, 필순 능력은 필획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제시한 한문의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요소이다. 또한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말로써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를 말하지만, 2음절의 어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는 한문교육의 내용 체계상 한자와 한문의 중간단계로 한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문을 독해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자어가 한문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漢字나 漢文 못지않게 중요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한자어에 관한 연구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 연구는 매우 소략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한문 교과서가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을 얼마나 많이 고려하여 집필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한문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가 신습한자와 함께 제시된 한자의 대표 字義와 얼마나 많은 의미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역대 한문전적에서 활용된 용례를 찾아 상관성을 검증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자어의 선택과 의미의 제시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중학교 현장에서 쓰이는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반드시 수용하여 교과서를 집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한문 교과서는 본문에서 수용하지 못한 한자를 수용하려는 차원에서 한자어를 만들어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습 한자로 제시한 한자의 字義도 一字一義의 원칙에 따라 대표적인 字義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字義도 原義, 派生義, 假借義를 혼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자어에서 활용한 의미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생기며, 한자어의 풀이도 국어사전의 풀이를 따르고 있어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종종 있다. 본고는 개정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1, 2, 3학년 한문교과서 가운데 1, 2, 3학년이 모두 검정에 통과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의 설계를 하여야 하나, 중학교 3학년 교과서가 아직 시중에 나와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너무 방대하여 부득이하게 연구자가 대표 저자인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는 2음절의 한자어가 442개, 3음절의 한자어가 26개, 4음절의 한자어가 26개 등 모두 494개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2음절의 한자어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한자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음절의 한자어 442개 가운데 ‘中國, 百濟, 新羅, 高麗, 朝鮮’ 등 국명과 ‘史記, 遺事’ 등 서책명, 지명인 ‘獨島, 漢陽, 漢城, 京城’ 등 12개를 제외하면 430개가 순수하게 2음절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430개의 한자어 가운데, ‘日出’ 등이 360개로 약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派生義나 假借義의 이해를 前提로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가 15%, 典故가 있어야 이해가 되는 한자어가 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활용된 한자어 가운데 84%의 한자어가 한자의 대표 字義로도 의미 파악이 되므로, 한자어와 한자의 대표 字義와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고 한 자의 한자가 同義나 類似義를 가진 한자어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한자어는 매우 드물다. 교과서에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360개 가운데에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와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를 한국고전국역원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싸이트 국학관련 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에서 해당 한자어를 검색하여 사용된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나, 同義와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 가운데 6개를 제외한 44개가 우리의 한문전적과 상관을 맺고 있었다. 전장제도와 서구문명의 유산으로 인식되는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한자어,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 가운데 14개가 우리 한문전적에 활용된 용례가 매우 적거나 없는 한자어로 한문전적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360개 가운데 20개를 제외한 340개로 이는 전체 442개의 한자어 가운데 76%로 많은 한자어가 한문전적과 상관성을 맺고 있다. 따라서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 삽입된 한자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매우 높은 연관성 갖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한문 전적과 많은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의 대표 字義가 우리나라의 고전문헌을 참고하여 만든 대표 字義를 따라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어가 오늘날 언어의 활용과 한문 독해에 얼마나 유의미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가령 한자어로 제시한 ‘一里’는 국어사전식 풀이가 ‘한마을’인데, 오늘날 ‘一里’라는 표현은 이미 死語가 되고, 이의 풀이말인 ‘한마을’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자어를 바라보는 시각이 오늘날의 언어생활과 서구의 학문에 영향을 많이 받은 과학 등의 용어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한자의 대표 字義를 현재의 의미에 맞게 고쳐야 한다. 그러나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에 이미 제정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재의 대표 字義도 한자의 이해가 한문을 번역하는데 필요한 전제라면 일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어의 교육에 대해 언어생활용과 한문교육용으로 분리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언어의 학습은 일관성이 우선이므로 한문 고전 어휘와 현대 한자어의 의미의 연관성을 밝혀서 통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국어사전식 풀이에서 한자어의 本義와 차이가 나는 한자어, 典故의 이해 없이는 의미 파악이 되지 않는 한자어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교과서의 날개, 하단, 부록 등의 공간에 附記하여 설명하여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각종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수년 내에 교육은 큰 변화를 맞게 될 것이다. 한문교육은 어떤 미래의 비전과 교육철학을 가지고 행해지는가? 한문교육과정은 한자교육과 독해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한문 중심의 심미적 이해와 인성 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한문을 너무 문법위주로 가르치는 것은 문제가 있다. 文·史·哲이 종합적으로 함의되어 있는 한문 속에서 우리는 세계의 혼란을 타개할 도덕적 가치와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심성수양을 통한 인간화. 문학예술의 심미적 상상력과 정서 등, 한문 속에 잠재되어 있는 한문의 본질과 인문학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서술해 볼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사람들의 삶 속에 녹아있는 한문의 가치와 수준 높은 한문문화의 본질에 관해 믿을 만한 설명을 할 수 있다면, 전 세계 인류들에 게 한문교육의 본질과 가치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받아들일 만한 믿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교육은 창의적 상상력과 인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문 교육은 지식의 전달에만 있는 것이아니라 지덕체의 전인적인 인성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과이다. 현재의 한문교육을 특징짓는 목표를 찾는다면, 그것은 이 분야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한문독해와 한자어의 활용에 대한 한자를 가르치는 도구교과의 역할일 것이다. 한문교육이 진정 무엇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를 이해하고, 한문교육이 인간 문화의 외면적인 부분이 아니라 꼭 필요한 내면 부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실히 깨닫고, 그 가치가 꼭 필요한 가치라는 것이 깊이 느껴질 때만이 한문교육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문을 가르치면서 한문 속에 잠재되어 있는 심미적 요소들을 찾아 한문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심미적 상상력을 교육할 수는 없을까? 심미적 상상력은 인간의 정서를 순화시킬 뿐만이 아니라 무한한 창의력과 상상력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문화 예술의 주체자로서 그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선현들이 남긴 한문 속에는 많은 심미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한문교과는 그 역사가 오래인 만큼 심미적 창의력과 상상력의 자료가 풍부하다. 본고에서는 한문 교육에서 찾을 수 있는 그 심미적 요소를 찾아서 한문의 심미적 가치와 그 상상력을 고구해서 한문교육의 위상을 높여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문으로 기록된 옛 선현들의 문헌 속에는 아름다운 미의식이 추구된 주옥같은 작품들이 무진장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전통계승의 목표와 인성함양의 목표, 그리고 한문의 이해와 감상의 목표와도 상호 관련성을 지닌다. 한문 교육은 한문 작품에 대한 본질적인 이름다움을 알게 하는 것과 동시에 인성을 감화시키는 교육적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한문교육은 한문독해에 필요한 지식의 전달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한 심성수양의 효과도 중요한 것이다. 최근의 한문교과 교육과정에서 한문교과의 목표에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가 삽입되었다. 審美란? 무엇 속에 내재되어 있는 아름다움을 찾아서 향유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극히 주관적이고 개성적이다. 심미적 교육이란 인간의 미적인 감수성을 자극하여 심미적으로 반응하게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사람의 얼굴이 모두 다르듯이 인간의 심성도 모두 다르다. 어떤 작품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비슷할지라도 그 내면 깊숙이 들어가면 모두 다를 것이다. 심미적 반응은 인간의 정서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에 있어서 심미적 교육이란 예술에 대한 교육적 무관심을 일깨우는 말이다. 엄밀히 말해서 교육에서는 심미적인 것을 직접 가르치기 보다는 다만 배우는 자가 심미적으로 느껴서 감동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이것을 심미적 체험이라고 말한다. 한문교육은 어떤 심미성 교육을 할 수 있을까? 우선 한문교과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심미적 요소들을 찾아야 한다. 漢字는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예술적인 심화과정을 거친 위대한 작품이다. 한자어는 한자와 한자가 심오한 뜻을 가지고 결합하기도 하고, 복합어 내지 파생어를 창안하여 기발한의미를 내포하게 만드는 것 또한 예술적 심화과정을 거친 위대한 작품이다. 어떤 사건을 중심으로 그 사건의 특성과 의미를 내포하면서 교훈성과 대중성을 기발하게 표현해 내는 고사성어는 더욱 걸작이다.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비유와 상징으로 뭉쳐진 한자의 언어들은 예술성이 짙게 녹아있다. 이미 사자성어나 격언의 단문들에는 비유와 상징, 재미와 교훈, 등으로 심도있는 예술성이 드러난다. 모진 세월의 평가 속에도 살아남은 한문 명문들 속에는 어마어마한 감동이 있다. 이백의 <춘야원도리원서>나 소동파의 <적벽부> 등 동아시아 한문교육자료 속에는 심미적 요소들이 무진장으로 산재해 있다. 이것들을 우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본 논문에서 제시된 한문교육에서 심미적 상상력이란 이런 점에서 착안된 것이며 이것에 대한 교육적 상상력을 생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남과 다르게 하려는 충동이 예술가들의 가장 원초적이고 최고로 미의식에 접근하기 쉬운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로 하여금 한문 작품 속에서 아름다운 점을 찾아서 아름답게 표현하게 해야 한다.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감동하게 하는 심미적 상상력 키우기를 해야 한다. 한자, 한자어, 고사성어, 한문 속담 격언, 아름다운 한시, 유명한 한문 산문 작품 들을 교육하면서 심미적 상상력을 자극할 만한 아름다운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야 한다. 각종의 교육 매체를 통하여 교육문화컨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세계는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기 시작했으며 문자의 시대는 가고 이미지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문교육은 더 이상 독해력 위주의 교육에만 머물 수 없다. 우리는 한문교육 속에서 심미적 상상력을 찾아야 한다. 동아시아의 고대 문화 속에서 많은 인간의 가치를 발견하며 세계는 지금 동아시아의 한문화를 주목하고 있다. 한문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추구로 한문교육의 위상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詩는 문학의 꽃이다. 꽃의 향기가 사람의 마음을 淸澄하게 하듯이 詩도 사람의 영혼을 청징하게 한다. 漢詩는 한문 교육과정의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한시의 세계는 廣大無邊하여 이를 이해하고 교육하는 일이 쉽지 않다. 옛적부터 “詩를 짓는 것 보다 좋은 詩를 가려서 뽑는 것(選)이 어렵고, 좋은 詩를 가려서 뽑는 것보다도 詩를 鑑賞하기는 더욱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필자는 “詩를 짓는 것 보다 좋은 詩를 가려서 뽑는 것(選)이 어렵고, 좋은 詩를 가려서 뽑는 것보다도 詩를 鑑賞하기가 어렵고, 시를 감상하기보다 시를 敎育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첫째, 王之渙의 「登鸛雀樓」대한 해석이다. 이 시의 轉句와 結句는 日沒의 시간에 황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장엄한 정경을 보고 싶어, “欲窮千里目 천리 끝까지 보고 싶어 / 更上一層樓 다시 한 층의 누대를 오르고 싶네”라고 볼 수 있다. 즉 結句를 “한 층이 더 있다면 올라가고 싶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누구나 樓閣에 오르면 마지막 층까지 올라가서 시를 짓기 마련이다. 즉 5층이라면 4층까지만 올라가서 시를 읊지 않는다. 王之渙은 鸛雀樓의 가장 높은 마지막 층까지 올라가서 이 시를 쓴 것이다.석양의 장엄한 황하의 모습을 더 멀리 보고 싶어 한 층이 더 있다면 오르고 싶다고 노래한 것이다. 結句의 “一層” 은 시인이 만든 假空의 “一層” 이지 실존하는 “一層”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시는 시인에 의해서 創造되고 독자에 의해서 再創造된다. 旣存의 해석을 따르면, 王之渙은 鸛雀樓가 5층이라면 4層까지만 올라와서 시를 지은 것이 된다. 과연 4층 까지 올라와서 1층을 오르지 않고 시를 지었을까? “천리 끝까지 보고 싶어 / 다시 한 층의 누대를 오르네”라는 기존의 해석이 과연 萬古不變의 至善인가? 아니면 “천리 끝까지 보고 싶어 / 다시 한 층의 누대를 오르고 싶네”, 즉 結句를 “한 층이 더 있다면 올라가고 싶다”는 필자의 해석이 더 詩的인가? 어느 해석이 시적 상상력이 풍부한 해석인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王維의「送元二使安西」을 陽關三疊이라 하는데 三疊에 대한 학설이 다양하다. ① 東坡는 唐나라 사람들은 起句를 제외하고, 承句와 轉句와 結句에 와서 각각 2번씩 불렀다고 하였다. ② 明나라 田藝蘅은 1첩은 起句를 2번, 2첩은 承句를 2번, 3첩은 轉句를 2번 疊唱한다고 하였다. ③ 邱燮友는 結句(제4구)에 와서 이를 3번 부르다고 하였다. ④ 일본의 淸潭 스님은 1첩은 承句를 2번, 2첩은 轉句를 2번, 3첩은 結句를 2번 疊唱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양관삼첩의 창법이 4人 4色으로 각기 다르다. 어느 것이 맞고 틀리다고 할 수 없다. 님이 떠나는 것 자체가 너무나도 시리고 아린 일이기에 잠시라도 더 머물게 하고자 하여 離別歌를 三疊하는 것이다. 이별이 아쉬워 詩唱을 하는데 형식에 고집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떠나는 님이 누구냐에 따라 다르고, 시간과 공간 그리고 운치와 情操에 따라 다르고, 惜別의 정의 濃厚에 따라 다르므로 4개의 창법 이외에도 卽興的으로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별의 아픔이 있어야 만남의 기쁨이 있는 것이기에,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送別歌를 三疊했던 옛 선비들의 風流韻事는 애잔하면서 멋이 있다. 현대인들에게 여유 있는 옛 선비들의 風流韻事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사랑하는 이와 이별을 할 적에「渭城曲」이나 「送人」을 주고받으며 시창을 한다면 아름다운 風流韻事로서 의미 있는 추억의 이별이 될 것이다. 문학의 꽃인 시는 時空을 초월하여 우리의 영혼을 淸澄하게 한다. 시를 읊고 云謂하는 그 자체가 香氣로운 삶을 사는 것이다. 그래서 한시를 교육한다. 한시 교육에서 王之渙의 「登鸛雀樓」에 대한 해석과 陽關三疊의 三疊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한시 교육에 작은 기여가 있기를 기대한다.
A major task for the teacher is to engage students in three kinds of learning: learning of language, learning through language, and learning about language (Halliday, 1979). Therefore,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and use language effectively, teachers themselves need explicit knowledge of language, and need to be aware of what students are trying to achieve and learn. There have been many classroom research investigations into this issue with respect to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L1) in facilitating learning (Osman and Hannafin 1994; Johnson 1997). Classroom-oriented research has led to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great complexity of both the language used and the learning process. Classroom language can b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and no longer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enetrable black box” (Long 1983 a, 1983 b). Transcripts, coded data and frequency counts can show how classroom interaction develops as it is a dynamic phenomenon (Allwright and Bailey 1991). Marton and Booth (1997, p.107) described learning as ‘a way of coming to experience the world in a certain way, and different ways of experiencing will lead to different learning outcomes’. Marton and Tsui (2004) linked classroom discourse to learning, coining the term “space of learning”: “The second premise is that language plays a central role in learning: that it does not merely convey meaning, it also creates meaning. An understanding of how the space of learning is linguistically constituted in the classroom is best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classroom discourse”. This research observed and collected data from two different primary four classes taught by two teachers of the same school on the same topic on Chinese words. Multiple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difference usage of discourse in the classroom could bring about different learning outcomes.
한글 創製 이후 방대한 한문전적에 대한 諺解 작업은 가속화되어, 四書三經으로 대변되는 經書의 諺解뿐 아니라, 杜詩諺解를 비롯하여 武藝圖譜通志諺解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文勢와 語脈을 파악해서 句讀를 떼고, 文義를 고려하여 口訣을 사용하여 懸吐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문전적을 제대로 읽고 감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연구는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상황이다. 최근 새로 발굴된 李森煥의 「句讀指南」, 任圭直의 「句讀解法」, 朴文鎬의 「俚讀解」는 句讀와 懸吐, 口訣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로서, 당시 이와 관련한 學派 혹은 學脈을 대변한다.우리의 句讀는 중국과는 다르며, 특히 懸吐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句讀를 구분하더라도 어떠한 吐(口訣)를 붙이느냐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새로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句讀와 懸吐, 口訣의 내용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文義을 중시하며, 文勢와 語脈을 고려한다. 2. 행위의 주체, 서술의 주체, 時制, 態, 문장구조 등을 고려한다. 3. 虛字, 助辭 등을 주목하고 우리의 언어표현(尊稱)을 고려한다. 4. 특정 學派 혹은 學脈의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인식을 대표한다. 李森煥의 「句讀指南」은 懸吐와 口訣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助辭의 용법을 특기하여 간략하게 정리한다. 한편, 任圭直의 「句讀解法」은 그 내용과 체제가 상세하고 체계적이며, 懸吐와 口訣은 그 사례가 다양하고 상세하다. 특히, 句讀와 懸吐, 口訣에서 文義를 중시하고 文勢와 語脈을 고려하였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朴文鎬의 「俚讀解」는 문법이나 구조에 따른 기계적 설명과는 달리, 文勢와 語脈을 십분 고려하여 축약한 형태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현대 국어의 문법과 그 연관성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더욱이 19세기 무렵 다방면에 걸쳐 문헌전적에 대한 수집 · 정리 작업이 진행되었던 상황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목적어와 보어를 중심으로 하여 한문과 학교 문법 서술 원칙에 대해 소견을 말한 것이다. 한문과 학교 문법은 일반적인 학교 문법 서술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한문과 만의 특징적인 면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문과 학교 문법 체계는 선진시기, 특히 周秦시기의 문헌을 언어 자료로 삼아야 한다. 周秦시기에는 술어중심어가 개사 등 허사의 도움 없이 직접 ‘보어’를 취하는 형식이 발달하지 않았다. 이 시기의 문헌을 근거로 해서 서술되어야 하는 한문과 학교 문법에는 보어 개념의 상정이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형식적 차이가 전혀 없는 동사 뒤의 명사성 성분에 대해 의미관계를 과도하게 분류하여 목적어, 보어로 나누는 것은 교사 및 학생들에게 혼란과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각 언어들 간에도, 또 같은 언어라 하더라도 학자들간에, 異見이 큰, 보어라는 개념이 한문의 이해와 독해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없기에 실효성의 측면에서 볼때 한문과 학교 문법에서는 제외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현행 한문 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을 문제 삼으면서, 한문문체개념의 설정,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문학에서 사용되는 문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도 연구자에 따라 문체, 體類, 갈래, 양식, 형식등의 용어가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들의 논의에서 문체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면 文類, 類別과 같은 갈래용어, 體式, 體裁와 같은 형식용어, 作風, 文風과 같은 風格용어, 풍격과 형식을 함께 의미하는 문체 등과 같은 용어들이 혼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구문학의 Genre와 Style의 개념이 동시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최소한 중등 교육현장에서는 형식, 수사의 개념에는 文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갈래를 나타내는 개념에는 文類를 사용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리고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에 대하여서는, 平仄, 韻脚, 造句와 같은 율격의 3요소들을 주요 작문장치로 사용하는 辭賦, 箴銘, 頌贊 등과 같은 장르를 독립된 “律文”으로 분류하여,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그 작품형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시, 율문, 산문의 3대 장르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문류를 분류하는 단계별 용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門-類-項-子目과 같은 전통적인 문체분류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에 있어서는 먼저 文類와 독립된 의미로서의 文體개념을 제시하고 그런 기반 위에서, 산문은 변문체와 고문체를 기준으로 시대와 학파에 따른 문체특징을 제시하고, 율문은 잠명, 송찬, 사부 등의 다양한 글쓰기 양상들을 학교급별, 과목별로 수준과 난이도를 조절하여 정리 제시하자고 제안 하였다.
본고는 정족산본 朝鮮王朝實錄의 漢字 異體字形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진행한 기초
작업이다. 實錄은 오랜 기간에 걸쳐 편찬된 歷史書인 만큼 時代나 편찬시기에 따라 여러 자형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정족산본 태조실록 권1, 태종실록 권1을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에 열거한 유형은 韓國文集叢刊에 나타나지 않은 자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제자와 동일한 원리의 자형이 있을 경우 예시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한 1) 기존 筆劃의 형태가 추가되거나 변형된 유형’에서 , , , 3種, 2) 글자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중복되는 필획이나 일부 필획을 생략한 유형’에서 ‘ ’ ‘ ’ ‘ ’‘ ’, 4種, 3) 유사한 構件으로 변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한 유형’에서 ‘ ’ ‘ ’ ‘ ’ ‘ ’ ‘ ’ ‘ ’‘ ’ 7種의 자형은 中國의 字書와 日本의 難字異体字典, 韓國의 高麗大藏經異體字典에 나타나지 않았다. 太祖實錄에서 는 ‘ ’ ‘ ’ ‘ ’ ‘ ’ ‘ ’ ‘ ’ ‘ ’ ‘ ’ ‘ ’ 등의 윗부분에서 ‘艹- ’의 변화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太宗實錄에서는 ‘ ’ ‘ ’ ‘ ’ ‘ ’ ‘ ’ ‘ ’ ‘ ’ ‘ ’ ‘ ’ 등의 아랫부분에서 ‘貝- ’의 형태의 자형이 자주 나타났다. 中國字書와 비교 검토한 결과 주로 碑文과 隷書에 관련한 책에 實錄과 동일한 자형이 나타났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15件의 字形은 中國과 日本의 字書에 나타나지 않았다. 漢字文化圈의 모든자료를 검토하지 않았지만 實錄의 일부를 검토한 결과 他國의 字書와 文叢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자형과 실록만의 독특한 자형이 눈에 띄었다.
Chinese characters are in order. Therefore, the concept of "Basic Chinese Characters" mentioned in this paper can be borrowed for reference in any countries and regions wherever
people study and use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present a high level and fully
ordered mature character system in the four aspects of "shape, pronunciation, meaning and
use". It is a fundamental construction for Chinese characters researchers and educators to study the traits of the Chinese character sequence system deeply and systematically, and confirm the order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only makes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is regularity and puts forward the ideas and methods on improving the way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It points out that learning Chinese characters need to learn "Basic Chinese Characters" first. On this base, this paper discusses what are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how to define and learn them.
"Words and Characters for Chinese Ability Outline" is the main basis of teaching design, teaching materials, achievement tests for the field of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Table is based primarily on the existing Stat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according to need some adjustment, especially those characters from the Word Table is for the targeted adjustment. This article inspects the situation of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for the Character Table of the "outline", a comparative study have been made with the existing Stat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 "Modern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in the table," "Modern popular characters used alone standards," and the frequency statistics result of existing Chinese books for primary schools, and inspects the collection for the Character Table of the "Outline" from both of meeting standards and language learning rules. The article suggested on the main principle of choosing character and classifying the level in the table.
Singapore changing social language environment has brought about two major reforms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namely “teach less and learn more”and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The objective is to motivate pupils to learn more and encourage the capable pupils to help the weaker pupils in th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reform is just a breakthrough in teaching strategies, but the core problem is not resolved. The primary school Chines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has not been resolved which include 3 basic aspects like word types, word content and word order. In this thesis, the author focuses on word frequency survey taken from the following: (1) 12 core units in the primary school Chinese text books from th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 Reading books which are widely used by Singapore primary school “Memory is like abox”. (3)The front page of the auxiliary publications including "New Friends", “New World ", "New Train ”. (4) The front page of the Singapore Chinese newspaper "Lianhe Zaobao" which includes international, domestic and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word species, the amount of words, word order and coverage of the four databases, statistics are compiled, analyzed and researched. It’s noted that the current Chinese languag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primary schools is not so adequate. The literacy teaching materials in Singapore can be made more adequate by making them more featured, more scientific , reasonable and systematic. The author proposes the creation of two unique charts relevant to the Singapore children. Firstly "children’s high-frequency words” chart to be used for literacy teaching materials and secondly“ children’s common usage words” chart to integrate with literacy teaching using' rolling strategy' and put it into the lesson plan design process, so that learning is made more interesting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ion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