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시화호의 수질 관리 정책 연구를 위한 최근의 수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2010년에 시화호 내 외측 해역에서 수질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화호 표층수 수질항목들의 수평적 농도분포는 하천을 통한 담수 유업과 배수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의 영향으로 인하여 반윌 및 시화 산단 얀근 상류지역에서는 높고 배수갑문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화호 외해에서는 TN 및 TP가 소래포구에 가까운 곳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 시화호 내해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시화호 내측의 경우, 여름철 성층 형성 및 저층의 활발한 유기물 분해로 빈산소층이 발달되고 있었다. 수질항목들의 수직적 농도분포의 경우, 용존영양염, TN 및 TP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았지만, COD, 클로로필-a 및 POC는 이와 반대로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시화호 표층수에서 염분은 용존영양염과 양호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담수 기원의 영양염 공급이 확인되었고, 이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으로 COD 및 POC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벼 고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에서 고온처리한 벼의 줄기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로부터 Rubisco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5% PEG fractionation을 실시한 후 상등액 분획의 단백질을 이차원전기 영동한 후, CBB 염색을 통해 차별적 발현을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46개의 단백질 spot이 발현양에 변화를 보였으며, 그 중 24개의 단백질이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Variable precision rough set model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problems whose domains are discrete values. However,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discrete data is not available. When it comes to the problems with interval values, no variable prec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층수관층에 출현하는 식물 다양 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면적 곡선의 분석결과 신갈나무림 내의 식물다양성의 분석에 적정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조사구 전체의 소산식물은 47과 80속 91종 11변종 2 아종 3품종으로 총 107분류군이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식물종 중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고광나무, 병꽃나무로 총 3종이다. 한편 희귀식물로는 꼬리진달래 1종 뿐이다. 생육형은 광엽초본에 해 당하는 식물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목, 교목 순이었다.
Magnesium hydroxide sulfate hydrate whiskers (, abbreviated 513 MHSH) were prepared using hydrothermal reaction with magnesium oxide (MgO) and magnesium sulfate () as the starting materials. The effects of the molar ratio of /MgO and amount of were studied. As a result, 513 MHSH whiskers co-existed with hexagonal plate at low concentration of . The molar ratio of /MgO was 7:1, uniform 513 MHSH whiskers were formed without impurity such as . Appropriate amount of has affected to formation of high quality MHSH. Their morphologies and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powder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조석 주요 4대분조(M2, S2, K1, O1) 진폭은 해도수심의 기준이 되는 기본수준면을 결정한다. 근해역에서 단기 해수면 관 측자료로 S2 분조와 K1 분조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조의 연보정, 추정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에도 여전히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화파의 합성에 의한 변조현상을 해석적으로 풀이하고 이를 이용하여 두 분조의 정확한 분리를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미래친환경 소자로 대두되는 LED(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광원을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재배법에 적용하여 최적화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느타리의 LED광원별 생육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조구 1종(관행재배: 삼파장 형광등)과 실험구 2종(LED 적색광 및 청색광)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대조구 6일, 적색광(660nm) 5일, 청색광(450nm) 5.5일로 나타나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빠르게 나타났으며, 청색광보다는 적색광에서 0.5일 단축되었다. 생육일수는 대조구 8일, 적색광 및 청색광에서 7일로 대조구보다는 실험구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색감 도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우수하게 나타났고 적색광보다는 청색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봉지당 수량성은 대조구 216.5g, 적색광 217.2g, 청색광 216.2g으로 대조구와 실험구간 큰 차이점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전체 재배일수는 대조구 15일, 적색광 14일, 청색광 14.5일로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빠른 재배일수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LED광원을 사용한 느타리의 생육적 특성은 초발이, 생육일수, 색감, 전체 재배일수 등에서 대조구(관행재배법)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