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S 소싱이 확산됨에 따라 다국적 팀원들로 구성된 글로벌 프로젝트 팀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상이한 시간대에 위치한 팀원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글로벌 프로젝트는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복잡성 때문에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프로젝트 관리역량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 조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정보 기술적 역량(IT capability)
서울시내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식품접객업소(집단급식소 포함)의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 분석 및 위생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내성 유전자와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도 알아보았다. 모두 1313건 의 샘플 중 50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3.8%의 검출률을 보였다. 이중 육회 1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 O26 1건, 김밥 에서 장병원성대장균 1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50건의 대장 균중 50%가 16종의 항생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내성이 높게 나타난 항생제는 ampicillin(36%), amoxicillin/ clavulanic acid(32%) 그리고 tetracycline(22%)의 순이었다. 이들의 내성유전자 분포는 TEM이 1건, tetB 4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아동의 장애유형과 자세보조도구의 종류에 따른 부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7월 27일부터 동년 10월 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의 항목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 아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세보조도구는 휠체어, 자세조절용 의자, 피 더 시트, 프론 스탠드의 순이었다. 휠체어 사용 아동 중 75%의 아동들은 자세지지를 위한 이너(inner)를 사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유형별 자세보조도구 기기 만족도에서는 내구성과 편안함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수리 및 유지관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세보조도구 종류별 만족도에서는 내구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기 영역에서 편안함 항목은 아동의 장애 유형과 자세보조도구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뇌성마비 아동들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사용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세보조도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적합한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세보조도구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보조도구와 아동, 환경 간에 적합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divided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into five types: health-oriented, convenience-oriented, safety-oriented, economics-oriented, and taste-oriented. According to this grouping, we separated the lifestyles into low-interest, safety and economics-oriented, taste-oriented, and high-inter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fety and economics-oriented group was the largest, whereas the taste-oriented group was the smalles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orean food consumer behavior and satisfa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and that the high-interest food-related life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egmented the local Korean food market, applied food-related lifestyles, and examined submarket characteristics.
2006년 10월 22일에서 24일에 걸쳐 한반도 강릉지역에서 강한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이 기간에 대해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기 전과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 나타나는 종관적, 운동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상일기도, 상층일기도, 적외위성영상,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자료,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전구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강릉에서 관측된 총 강수량은 316.5 mm이고, 최대 순간풍속은 63.7m s-1이다. 일기도를 분석해보면 집중호우가 시작하기 전 온대저기압이 한반도 중부에서 발달하였으며 한반도 북부에 역전기압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300 hPa 상층일기도에서는 서해와 한반도 남부에 제트기류가 위치하며,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관련된 절리 저기압이 한반도 북서부에서 발달하고 있다.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의 특성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강릉지역의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바람, 위치 소용돌이도의 시간-연직 단면도, 연직운동, 발산장과 수렴장, 역학적 온위의 연직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관적, 운동학적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류권계면 접힘이 집중호우 발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Western eclectic houses at Ojeong-dong Missionary Village in Daejeon city, focused on the spatial and structural changes due to eclecticism. The consequence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clectic houses and two reference buildings, Myeongjae residence and Moore house, are as follows. The diverse aspects due to eclecticism can be summarized as two concepts; transformation and simplification. The transformation ha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 spatial elements such as an-madang, entrance and corridor, in the territory organiz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building and yard, and in the roof and wall structures. The simplification has appeared in the layering of the building space, and in the joint of roof and wall. The methods of eclecticism and the resultant aspects from them that are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red in examining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hanok.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ynthesis of Bi-Sb-Te-based thermoelectric powder by an oxidereduction process. The phase structure, particle size of the synthesized powders were analyzed using XRD and SEM. The synthesized powder was sintered by the spark plasma sintering method. The thermoelectric property of the sintered bod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eebeck coefficient and specific electric resistivity. The powder had been synthesiz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cal milling, calcination and reduction processes using mixture of , and powders. The sintered body of the powder synthesized by an oxide-reduction process showed p-type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even though it had lower thermoelectric properties than the sintered body of the thermoelectric powder synthesized by the conventional melting-crushing method.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조류의 중간기착지인 전남 홍도에서 참새목조류의 서식지 이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교목, 관목, 초지, 농경지 등 주요 서식지 유형 중 관목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교목과 관목, 농경지에서의 조류 행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목에서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2=61.583, df=2, p〈0.001), 농경지에서는 취식을 하는 양상이 나타났고(2=117.339, df=2, p〈0.001), 관목에서는 취식의 비율이 가장 낮고 휴식과 기타행동의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2=66.725, df=2, p〈0.001). 추계에는 춘계에 비해 교목에서의 관찰 빈도가 증가한 반면 관목, 초지, 농경지에서의 관찰 빈도는 감소하였다. 서식지다양도와 종다양도 간에는 서식지다양도가 높을수록 종다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585, p〈0.01). 본 연구는 참새목 조류의 중간기착지에 대한 보전 전략을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대개도국 지원국가(DAC)에 가입하여 공적원조(ODA)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많은 부존자원과 값싼 노동력, 큰 현지시장을 갖고 있어 큰 잠재 성장력을 갖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특별자치주인 아체지역은 쓰나미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으며, 역사적으로도 많은 어려움을 겪은 지역이어서 우리나라의 원조를 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체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어선 안전에 관한 시스템과 설비 및 인프라에 대해 기술하고 이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개발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onning display which is located in the ship bridge shows the variolls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ship position, ship speed, track data, rate of turn, thruster rpm so on, and is one of the IBSs(lntegrated Bridge Systems). 1n this study, the survey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9, microbial investigation is accomplished for 100 frozen foods asked to microbial control team that corresponds with total aerobic viable bacteria, coliform group, Escherichia coli,Enterococcus spp.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s are investigated. Average of total aerobic viable bacteria numbers is 4.3 × 10⁴CFU/g. Average of coliform group numbers is 4.3 × 10³ CFU/g. Average of Enterococcus spp. numbers is 1.8 × 10³ CFU/g. Escherichia coli from 100 frozen foods is not detected and detection rate is 0.0%. 22 Enterococcus spp. are isolated from 100 frozen foods. 12 of 22 Enterococcus spp. strains are identified as E. faecium. 7 of 22 Enterococcus spp. strains are identified as E. faecalis. 2 of 22 Enterococcus spp.
strains are identified as E. gallinarum. 1 of 22 Enterococcus spp. strains is identified as E. hirae. Enterococcus spp.
isolates show a high resistance to erythromycin, rifampin, tet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 and a susceptibility to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 15 of 22 Enterococcus spp. strains are multi-resistant and the most frequent multi-resistant pattern is erythromycin-rifampin for 6 Enterococcus spp. strains.
표고(Lentinula edodes)는 섬유질, 무기질 및 비타민류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우수한 식품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당의 함량을 낮추어 당뇨와 비만 환자의 조청 섭취가 용이하도록 돕고자 표고, 구절초, 스테비아 및 증점제를 이용하여 저당용 표고조청을 개발하였다.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는 주요 감미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의 감미도는 설탕의 150~300배이며, 비발암성, 비부식성, 무칼로리의 당대체 감미료이다.스테비아의 유리당 분석결과 유리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다양한 종류의 증점제를 이용하여 조청의 물성을 실험한 결과 산탄검을 이용한 조청이 기존의 조청과 가장 물성이 유사하였다. 당의 함량을 낮추어 기존 조청과의 저장성이 떨어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뛰어난 구절초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제품 향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저장성을 향상시켰다.
줄버섯(Bjerkandera adusta)은 표고 접종목에 발생하는 주요 해균으로 표고의 품질 및 수확량 감소에 영향을 초례한다. 비정상적인 재배환경과 각종 해균의 이동매개체들로 인해 발생하며, 형태적으로 유사종이 많아서 동정하기가 까다롭다. 줄버섯을 채집하여 조직분리배양한 후 균사체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염기서열 결정에 이용하였으며, Blast 결과로 줄버섯과 90%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줄버섯의 분류학적 위치는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ELES), 구멍장이버섯과(PORYPORACEAE), 줄버섯속(Bjerkandera)이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자실체의 크기는 1~6.5×1.6~9.8㎝이고 두께는 0.1~0.65㎝이다. 균모의 물결 모양이고 거칠며 방사상의 섬유 줄무늬를 나타낸다. 백색 또는 회갈색으로 가장자리는 얇고 예리하다. 살은 연하지만 건조하면 코르크질로 변한다. 관공은 흰색 또는 회색이고 작고, 원형 또는 각형으로 건조하면 막힌다. 자루는 없고 기주 옆에 밀생한다. 포자의 크기는 2.5~5.5×1~3㎛이며, 원형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끄럽고 무색이다. 생태적 특성은 1년 내내 활엽수의 고목 또는 줄기에 군생하며, 부생생활을 하는 백색부후균으로 반배착생 또는 배착생으로 중첩되어 발생한 후 기주에 융합한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으로 지금까지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고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또는 약용인 기능성 버섯으로 형태가 원기형성 후 자실체의 갓이 성숙하기까지 4단계로 변하는 특성이 있으며 버섯발생이 까다로워 병재배보다 봉지재배를 선호하고 있다. 잎새버섯의 배지 주재료는 참나무톱밥인 데 구입가격이 높아 저가의 대체배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매년 대량으로 배출되어 화목 또는 발효 톱밥 퇴비용으로만 사용되는 표고버섯폐배지를 이와 같은 문제점해결을 위하여 활용한다면 폐배지의 활용도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리라고 판단되어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부피비율로 참나무톱밥52+표고버섯폐골목톱밥23+미강10+옥수수피15%을 혼합한 배지가 참나무톱밥75+미강 10+옥수수피15%(대조)배지에 비하여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배양소요일수 및 수확소요일수가 짧고 수 량은 1㎏봉지당 90.0g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담자균강(Basidi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느타리버섯과(Pleauro-tacea)에 속하는 목재부후균으로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재 배되는 버섯품목이다. 느타리버섯 종균배지로서 주로 포플라톱밥 및 미강을 8:2로 혼합, 사용하고있으나 배지 재료 가격이 점차 상승하여 종균생산가격이 증가하므로 종균가격 절감을 위한 배지개발이 필요하다. 팽화왕 겨는 벼 도정과정 중 생산된 일반왕겨를 고온, 고압에서 압축, 팽창시켜 조직이 부드럽고 성분이 볏짚과 유사 하고 수분흡수율이 톱밥과 유사하다. 본 시험은 느타리버섯 종균배지재료로서 팽화왕겨의 활용 가능성을 시 험한 결과이다. 느타리버섯 종균배지 배합 시 부피비율로 포플라톱밥60+팽화왕겨20+미강20%를 혼합한 종균 이 관행인 포플라톱밥80+미강20% 종균에 비하여 균사생장속도는 유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연구된 종균을 사용하여 관행 재배시 배지재료로 사용하는 면자각70+포프라톱밥20+비트펄프 10 (%)혼합배지상에서 재배 했을 경우 봉지 1kg당(1주기)의 수량은 86.9g으로 관행배지로 생산된 종균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동작 훈련실의 합리적인 설치를 위해 한국형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훈련실의 설치기준에 관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3차에 걸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문가 집단으로 선정된 3년 이상 의 근무 경력이 있는 작업치료사 20명과 작업치료(학)과 교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빈도 분석을 통해 상사분위수(upper quartile) 내의 항목을 제시하였다. 결과 : 병원 규모별 ADL 훈련실에 요구되는 공간은 다음과 같다. 종합전문병원급에는 거실, 침실, 욕실, 부엌 및 식 당이, 대학병원급에는 침실, 욕실, 부엌 및 식당이 요구되었다. 병원급과 의원급에서는 욕실과 부엌 및 식당의 설치 가 우선 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ADL 훈련실의 설치 시 각 공간에 설치되어야 할 가구 및 설비는 다음과 같다. 거실은 의자, TV 등의 6항목, 침실은 옷장, 침대 등의 7항목, 욕실은 양변기, 변기 안전바 등의 9항목 이 제시되었다. 부엌 및 식당은 싱크대, 조리대 등의 9항목, 복도는 안전바, 미끄럼 방지 등의 6항목이었다. 각 가구 및 설비의 설치 기준은 대부분 제시된 평가 기준과 동일하거나 강화된 항목이 선택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적합한 작업환경에서의 중재로 작업치료 효율을 증진시키며, ADL 훈련실의 합리적인 설치 를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English reading tex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re factually accurate. The tests which were administered over the fifteen-year period since 1996 a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whether the infonnation in the texts which deal with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and real life situations is factually accurat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12 test items which are not factually accurate. Some of the items which use the original texts intact or have a minor modification to them contain information which is not true when their original texts are cross checked with various sources of materials. Others have inaccurate information resulted from the revisions of the original texts such as modifying them in order to lower the difficulty of the item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confirm whether the information in the reading texts is factually accurate or to sustain the information as it is as much as possible if it is accu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