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cysteine compounds found ingenus Allium plants, including N-acetyl cysteine(NAC), S-allyl cysteine(SAC), S-ethyl cysteine(SEC), and S-methyl cysteine(SMC), were examined for effects on blood glucose, glucose tolerance, and plasma lipid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mice. In the mice, the ingestion of these cysteine compounds did not affect bloo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However, their ingestion did improve the diabetic symptoms of polydipsia, polyphagia, polyuria, and weight loss. glucose tolerance was also found to be improved in the STZ diabetic animals by feeding the cysteine compounds. Treatment of the compounds also caused a slight decrease in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long with increases in HDL-cholesterol and slight decreases in LDL-cholesterol,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therogenic index of plasma in the diabetic animals. They also showed reductions of liver triglyceride content to relieve diabetic fatty liver syndrome. In summary, the cysteine compounds such as NAC, SAC, SEC, and SMC, found ingenus Allium plants, had certain beneficial effects on blood glucose metabolism along with preventing abnormalities in lipid metabolism, a complication of diabetes, by improving the atherogenic index of plasma and fatty liver in STZ-induced diabetic mi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Korean natural cheese with traditional medical wine, making it different from foreign natural cheese. The effects of cheese with Sasam(Codonopsis lanceolate) wine(CLW) on the quality properties during the ripening period of natural cheese wer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investigated were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characteristics of ripen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our vats of cheese were made on the same day from the same tank of fresh milk. Cheese samples were prepared with CLW at 2.0%, 4.0% and 6.0% of raw milk. Changes ingross composition, viable cell counts, pH, water soluble nitrogen(WSN), non casein nitrogen(NCN), non protein nitrogen(NPN), and proteolysis during maturation were measured. Polyacrylamidegel electro phoresis(PAGE) patterns were determined with control cheese. Viable cell counts of control and CLW chee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 of CLW cheese increased gradually during maturation, and saponin levels and levels of NPN, NCN, and WSN were higher in CLW cheeses than control cheese. For most compositional data, the 4.0% CLW cheese was most similar to the control cheese. The PAGE pattern of cheese caseins indicated that the CLW cheeses degraded more rapidly than the control cheese. Control and 2.0% CLW cheese had good sensory scores, while scores for 4.0% and 6.0% CLW cheese were lower. However, sensory data depreciated with added levels of CLW, especially at a level of 4.0% or more. Further studies on levels of CLW and processing methods are required to improve sensory quality.
LC-DAD-ESI/MS를 이용하여 국내 자색벼 품종에 대해 개별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색벼 품종에서 분리된 모든 개별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MS fragment 패턴을 확인하여 cyanidin을 base로 한 unknown 화합물 1종을 포함, cyanidin 3,5-diglucoside, cya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의 총 4가지 개별성분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2. Cyanidin 3-glucoside 및 peonidin 3-glucoside이 주요성분으로 cyanidin 3-glucoside의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함량 비중을 나타냈으며, 개별성분별 평균 함량은 cyanidin 3-glucoside > peonidin 3-glucoside > cyanidin 3,5-diglucoside > unknown(cyanidin based)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흑진주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08 mg/100 g으로 흑남벼보다 약 6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참깨의 지방함량의 신속측정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검량식의 기본 모형은 다중 회귀 모형으로 하였으며, 회귀 모형의 독립 변수의 선택은 step-wise법을 이용하였다.
1. 참깨의 121점 중 지방산 함량 분포는 palmitic acid(IT028899-7.2%, IT169359-10.0%), stearic acid(IT028897-4.5%, IT028910-7.0%), oleic acid(IT170020-32.2%, IT156371-46.5%), linoleic acid(IT156348-36.5, IT169926-49.6%), 그리고 linolenic acid(IT169316-0.2%, IT156367-0.6%)로 나타났다.
2. 지방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oleic acid(r2-0.834) and linoleic acid(r2-0.925)로 판단되어 linoleic acid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입과일을 대상으로 captan,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 을 각각 1000, 250, 400 및 157 mgkg−1 농도 로 수확 후 처리 하여 저장 기간에 따른 경시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captan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9-12.5 mgkg−1, 과육에서 ND-0.23 mgkg−1 으로 조사 되었으며,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7-3.2 mgkg−1, 과육에서 ND-0.67 mgkg−1 으로 조사되었다. chlorpyrifos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4-2.2 mgkg−1, 과육에서 ND-0.32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전체에서 0.3-0.9 mgkg−1, 과육에서 ND-0.02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methidathion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7-3.1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4-2.0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kresoxim-methyl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1.3-2.1 mgkg−1, 과육에서 ND-0.16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1.3-1.8 mgkg−1, 과육에서 ND-0.15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농약처리 4주 후 농도의 감소율은 captan 이 52% 로 가 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 이 각각 47, 41 및 11% 순으로 조사 되었다.
빈산소 수괴는 전세계적으로 얕은 연안의 바다에서 생태적으로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반도 남해동부연안의 가막만에서도 2007년 6월 말에 빈산소 현상이 나타났으며,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빈산소 수괴는 선소 인접지역에서 북서부 내만역의 연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표층수와 저층수의 용존산소 농도는 빈산소 수괴에서 1.3mgL-1와 2mgL-1 이하, 그 외 지역은 각각 4.5~6.8mgL-1와 3.8~6.0mgL-1로 양호한 농도를 보였다. 빈산소 지역의 클로로필 a 농도는 표층 4.9~25.3μgL-1, 중층이 2.3~23.1μgL-1, 저층은 1.9~9.0μgL-1 범위였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발생은 3가지 수직적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선소 주변에서 빈산소 수괴가 전 수심 층에서 발생되면서 어 패류의 폐사가 일어났다. 두 번째는 일반적인 빈산소 수괴 발생 형태인 저층에서부터 빈산소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였다. 세 번째는 수온 역전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층에서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였고 저층에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조사정점 9, 14 및 21의 호도마을 인접지역 연안에서만 발생하였다. 빈산소 수역에서는 해저면에 주로 서식하는 문절망둑 무리들이 수면위로 올라와 산소 결핍에 따른 입 올림을 하였으며 게류 및 고둥류 등이 갯가로 올라오는 등 이상행동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폐사된 생물들은 주로 문절망둑으로서 3천 마리 정도였고, 게 및 고둥류 일부가 폐사하였다.
본 연구는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비교 분석할 뿐 아니라 논과 밭의 생육특성 및 수량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사일수는 4월 22일 파종기에 81일, 5월 20일 파종기에 70일, 6월10일 파종기에 62일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출사일수는 짧아졌다. 논과 밭 간의 출사일수는 차이가 없었다. 논에서의 간장은 4월 22일 파종기와 5월 20일 파종기 간 차이는 없었으
농업유전자원의 그동안 활용상황을 리뷰를 통하여 살펴보고 금후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해방후 한국 농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농업특성과 유전자원의 활용 상황, 국가농업유전자원은행의 역할과 금후 유전자원의 활용 전망에 대하여 검토하여 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방이후 우리나라 농업의 시대적 변천상황은 1960년대 이전은 자급형 영세농업의 시대로서 한국고유 재래종 위주 재배에서 외국품종 도입 및 국내품종 육성초기의 시대였고, 1960~1970년대는 국가적 식량문제 해결시대로서 통일벼 육성·보급 재배에 따라 다수성 품종육성을 위한 유전자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80~1990년대는 농산물 소비 다양화시대로서 엽채류, 과채류의 이용성 증가로 4계절 재배가 가능한 원예작물의 육성 및 보급이 이루어졌으며, 2000년대 이후는 고부가 가치 농업을 추구하는 시대로 변천하였으며 시대적 변천에 의한 고품질, 기능성 작물재배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질의 유전자원 및 수출경쟁력 있는 품종을 요구하고 있다.
2. 농촌진흥청은 국가 농업유전자원 종합관리를 위하여 농업유전자원 관리기관 91개소를 지정운영 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역할을 확대하고 있으며, 식물종자유전자원을 중기 및 장기보존 각각 50만점 저장이 가능한 첨단시설을 갖추고 현재 종자자원 16만점을 보존하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2,477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3. 국가 농업유전자원은행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면, 국내 보존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국제적 흐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농업유전자원의 종합관리가 첫 번째 역할이고, 두 번째는 국가 유전자원은행(Genebank) 사업으로 국내외로부터 현재 및 미래가치에 의한 유용한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 확보한 유전자원의 증식 및 특성평가, 안전한 보존관리 및 분양서비스에 의한 활용이며, 세 번째는 유전자원 관련 기술개발 연구로서 다양성 분석, 종자수명 및 보존기술, 증식 및 특성평가 기술, 기능성 및 유용 유전자 이용을 위한 탐색기술 개발 연구 등이고, 네 번째는 국내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관련분야 및 국제적으로 대응하는 역할로서 국가를 대표하고 국격을 높이는 주요 기능을 하여야 한다.
4. 농업유전자원의 금후 활용전망을 살펴보면 경쟁력 있는 최고의 농산물 생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고, 안정적인 식량공급과 국민의 참살이 수요를 충족하는 기본자원으로 활용되며, 농촌환경 생태계를 건전하고 윤택하게 보존하는데 활용되고, 에너지, 신물질, 신소재 등 차세대 성장동력원 창출의 원천 자원이 될 것이다.
‘온누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 육성된 절 화 및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이다. 1999년 오렌지색 품종 인 ‘Avignon’를 모본으로 하고 노랑색 품종인 ‘Nove Cento’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어진 실생 계통 중 화색과 화형이 안정적인 계통을 ‘A99-6-48’로 선발하였다. 2002~ 2003년 기내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하여 포장에서 순화 및 양구하였으며 2004~2005년 2차 특성검정을 통해 ‘JLA99-7’ 계통으로 선발되었고 2006년 최종 선발되어 ‘온누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 육성된 절 화 및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이다. 1999년 오렌지색 품종 인 ‘Avignon’를 모본으로 하고 노랑색 품종인 ‘Nove Cento’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어진 실생 계통 중 화색과 화형이 안정적인 계통을 ‘A99-6-48’로 선발하였다. 2002~ 2003년 기내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하여 포장에서 순화 및 양구하였으며 2004~2005년 2차 특성검정을 통해 ‘JLA99-7’ 계통으로 선발되었고 2006년 최종 선발되어
Recently, to improve operating efficiency with the higher in-line rate in automated production lines, a lot of cases of grouping machines and material handling system together to form a cluster has shown frequently. This article addresses the job allocati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current asbestos laws in the amend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n the removal and disposal of asbestos. Among 800 registered asbestos removal and disposal companies, 499 firms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7 to December 10, 2009. The qualified inspectors (those with Industrial Hygiene Engineer’s License or higher-level technical license) are educated for more than three hours before starting the inspection. In terms of regional distribution, Gyeonggi / Incheon was the highest with 105 companies(21%), followed by Daegu / Gyeongbuk(100, 20%), Chungbuk(97, 19.4%), Jeonbuk(37, 7.4%), Gwangju / Jeonnam (35, 7.0%) and Seoul(33, 6.6%). In terms of the number of education and technical assistances(1,348 in total) among 499 asbestos removal and disposal companie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putting it on(287, 21.3%)’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afety & health actions by asbestos removal and disposal work(171, 12.7%),’ ‘hazard of asbestos(168, 12.5%),’ ‘NO SMOKING and NO FOOD(164, 12.2%)’ and ‘prevention of asbestos fibers from being airborne(12, 0.9%).’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questions regarding the obse tance of enforcement ordinances associated with the removal and disposal of asbestos. According to an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place based on inspectors’ checklists, 3 scores were maintained in average. This paper has limitations because it has failed to randomly investigate the workplace because it is very strict to visit the asbestos removal and disposal sites.
본 연구는 음향증폭시스템 중에서 청취자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스피커 시스템의 배치방식과 스피커 특성변화에 따른 청취자들의 주관적 반응을 명료도와 음향선호도 측면에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공간의 음향증폭시스템의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실의 흡음률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천장의 흡음률이 높을수록 지각된 명료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커가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적용된 스피커의 개수가 많고 지향각이 좁은 스피커들이 사용된 경우의 명료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스피커가 천장 흡음면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60도 이하의 좁은 지향각을 갖는 스피커를 사용할 때 높은 명료도를 얻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검토범위에서는 8~10개 정도의 스피커가 적용되었을 때 주관적인 명료도 및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문암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토양미생물량 및 토양효소 등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을 대조구의 비사문암 토양과 비교하고, 사문암과 비사문암에서 공통으로 서식하는 새(Arundinella hirta)와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의 낙엽이 입지가 다른 사문암지역과 비사문암 지역에서 분해될 때 분해율의 차이가 어떻게 유발되는지 9개월 동안 야외에서 교차 실험하였다. 사문암 토양은 비사문암 토양에 비하여 높은 pH, 낮은 dehydrogenase 와 urease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kaliphosphatase의 활성은 높았다. 두 토양에서 microbial biomass-C와 N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문암 토양에서 microbial biomass-N함량이 더 높게 나타나 비사문암 토양에서 보다 낮은 토양의 C/N을 나타내는 원인이 되었다. 사문암지역에서의 낙엽분해실험에서는 사문암지역에서 획득한 새와 억새 낙엽이 각각 39.8%, 38.5%의 중량감소를 보였으며, 비사문암 토양에서 획득한 낙엽은 각각 41.1%, 41.7%의 중량감소를 나타내었다. 비사문암지역에서의 낙엽분해실험에서는 사문암낙엽이 46.8%, 42.2% 그리고 비사문암낙엽은 44.8%, 37.4%의 중량감소를 각각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금속을 포함하는 토양의 영향보다는 낙엽의 질적 차이가 분해율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준다. 일반적으로 낮은 C/N을 갖는 낙엽이 더 빨리 분해된다는 결과와는 달리 낮은 C/N을 갖는 사문암낙엽의 분해가 느린 것은 낙엽에 포함된 중금속의 저해가 낙엽의 C/N이나 lignin/N과 같은 낙엽의 질적 차이에서 유발되는 낙엽분해의 저해보다 큰 영양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낙엽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낙엽내의 Cr, Ni과 Mg, Fe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사문암지역에서 현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garment patterns for dog. This study is analyzed the body structures and bodily movements of different types of dogs and constructed garment pattern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category: the basic pattern for dogs with oval-shaped chests; and the modified pattern for the ones with barrel-shaped chests. Analyzing some of the existing patterns in the market as well as studying the size chart of one of the dog apparel manufacturers, who participated in the Fashion Week for the very first time, were undertak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bodily figures and movements of dogs. Furthermore, based the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information available regarding some of the most popular dogs in four selected countries: (names of the selected countries), dog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ir chests: Oval, Barrel, and Flat-sided. Later, two types of pattern were created and then constructed for fitting: the basic pattern for oval-shaped chest; and the modified pattern for barrel-shaped chest. As a result, the two patterns turned out to be most suitable for pet dogs.
연구지역의 지형은 해안과 인접한 소규모의 곡저평야에 속한다. 이 곡저평야는 낮은 구릉지 사이 개석된 곳에 충적물이 매적되어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안정동위원소비 분석과 토양유기탄소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의 기후환경 복원을 시도하였다. I 시기(약 6,600±60 yr B.P.-5,350±60 yr B.P.)는 전반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으나, 건습변화에 있어서는 약건조(또는 약습윤)→습윤의 미변화가 감지된다. II 시기(약 5,350±60 yr B.P.-2,200 yr B.P.)는 현재와 비슷한 온난습윤한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4,720±60 yr B.P.와 4,210±50 yr B.P. 사이는 전체 퇴적층 중 가장 습윤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4,210±50 yr B.P. 이후에는 점차 습윤에서 약습윤(또는 약건조)환경으로 이행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III 시기(약 2,200 yr B.P.-210±60 yr B.P.)는 앞선 두 시기와 확연히 구분되며, 약습윤(또는 약건조)의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A SrAl2O4:Eu2+,Dy3+ phosphor powder with stuffed tridymite structure was synthesized by glycine-nitratecombustion method. The luminescence, formation process and microstructure of the phosphor powder were investigated bymeans of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PL). The XRDpatterns show that the as-synthesized SrAl2O4:Eu2+,Dy3+ phosphor was an amorphous phase. However, a crystalline SrAl2O4phase was formed by calcining at 1200oC for 4h. From the SEM analysis, also, it was found that the as-synthesizedSrAl2O4:Eu2+,Dy3+ phosphor was in irregular porous particles of about 50µm, while the calcined phosphor was aggregated inspherical particles with radius of about 0.5µm. The emission spectrum of as-synthesized SrAl2O4:Eu2+,Dy3+ phosphor did notappear, due to the amorphous phase. However,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calcined phosphor was observed at 520nm(2.384eV); it showed green emission peaking, in the range of 450~650nm. The excitation spectrum of the SrAl2O4:Eu2+,Dy3+phosphor exhibits a maximum peak intensity at 360nm (3.44eV) in the range of 250~480nm. After the removal of the pulseXe-lamp excitation (360nm), also, the decay time for the emission spectrum was very slow, which shows the excellent long-phosphorescent property of the phosphor, although the decay time decreased exponentially.
자동차 시트의 만족도 평가방법은 디자인을 평가하는 방법에서부터 출발하여 완충시스템과 재료를 평가하는 기계적 방법을 지나 인간의 주관적인 감정을 평가하는 현재까지 이르렀다. 국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자동차 시트의 만족도 평가를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고, 2006년에 설문지에 기반을 둔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한 평가방법이 만들어져 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Baba 등, 2008).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 방법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mith 등 (2006)의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평가 설문지를 새로 개발하였다. 6명의 자동차회사 및 시트 전문회사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연구에서 감성평가 항목이 중복되어 있거나 우리나라에는 적합하지 않는 항목은 제외시키고 유사한 항목들은 통합 하여 36개의 평가항목을 새로 개발하였다. 이들 항목은 유사성을 고려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였다. 36개 평가항목은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계층화분석법(AHP)을 사용하여 평가 항목의 중요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차 시트 만족도 설문지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시트의 주관적 감성 평가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yam powder (5~20%) during 4 days storage. The moisture content of samples initially decreased as the yam powder content increased, but subseque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pH values also increased during storag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L values decreased and both a and b values increased as yam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decreased L values during stor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The hardness of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while hardness of control group markedly increased during storage. Cohesiveness increased as yam powder content increased, and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Springiness also initially increased as yam powder content increased. No change was apparent during storage in control group or samples added with up to 10% yam powder, while springiness was decreased insignificantly in samples with over 10% yam powder. Lightness, yam odor and savory taste of sulgidduk tended to increase as yam powder content increased, while chewiness decreased. The savory odor was the highest in sulgidduk added with 10% yam powder. Sulgidduk added with 10% yam powder was the most preferred in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