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준비연구(pilot study)는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가 작업수행능력의 질적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 두 가지 평가도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만 3세에서 15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충남 서산에 소재하는 지역사회 아동발달 센터에서 주 2회씩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후의 점수변화를 비교한 결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운동기술(AMPS-M) 영역(p>0.05)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5).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도(COPM-P) 영역 사이에서(rs=.901),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만족도(COPM-S) 영역 사이에서(rs=.857) 통계학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COPM과 AMPS 모두 작업수행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셋째 두 평가도구 모두 우리나라 문화에서도 작업치료의 효과(occupational therapy outcome)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전략을 적용한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3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표집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주 동안 실험반에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 수업을 처치하였고, 통제반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meal management attitudes of housewives who had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the remote rural areas(RA: n = 318, 37.2±0.3 years of age) in comparison to those in their vicinity urban area(UA: n = 349, 36.9±0.2 years of age) in the Chungnam province in Korea.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on their attitudes of meal management for their famili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Most husbands of the subjects had a farming job in the RA while they had salaried workers in the UA(p〈0.001). Education levels of both subjects and their husbands were lower in the RA than in the UA. Nuclear families were dominated by both groups, however single parent-family and step parent-family were more prevalent in the RA than in the UA. (2) in terms of ways of getting foods such as grains, meats, eggs, vegetables and fruits, the RA housewives relied more often on self-production than did the UA housewives(p〈0.001). (3) The frequency of purchasing unprocessed foods was lower in the RA than in the UA(p〈0.001). The RA housewives purchased the convenient foods such as instant noodles(p〈0.05), ready to eatsoups(p〈0.001), retort pouch foods(p〈0.05) and instant teas(p〈0.05) more frequently than did the UA housewives, while tuna, canned in oil(p〈0.01), milk and their products(p〈0.001), soybean products(p〈0.001) and snacks(p〈0.01) were purchased less often by the RA housewives. (4) Family members except housewives engaged more often in meal preparation in the RA than did those in the UA(p〈0.001), which was more strongly observed for dinner. The time spent in preparing the dinner was shorter in the RA than in the UA(p〈0.001). (5) The degrees of endeavor to provide the subjects' offspring with balanced meal(p〈0.001) and nutrition education(p〈0.01) were lower in the RA than in the UA. The RA housewives had more difficulty for performing meal management because of 'over work-related fatigue', 'insufficient money to purchase foods' and 'far distance from grocery' than the UA housewives(p〈0.001). The RA housewives had lower score on nutritional knowledge(p〈0.001) and wanted more strongly nutritional knowledge to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s meal than did the UA housewives(p〈0.01). Therefore, the RA housewives had various problems regarding meal management such as 'over work related to fatigue', 'food-purchasing inconvenience', 'low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lack of nutritional knowledge'. As a consequence the RA housewives relied on cheap convenient foods more often in order to prepare the meal easily than did the UA housewiv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in the RA for nutrition education for housewives and a range of nutrition policies that focus upon the social and economic determinants of food choice within families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RA residents.
There are two approaches for evaluating two or more investment projects. One is a total investment approach and the other is an incremental investment approach. We present that ranking projects by the latter is not sufficient for an investor to accept the
This paper proposes the heuristic approach for the generalized GT(Group Technology) problem to consider the restrictions which are given the number of cell, maximum number of machines and minimum number of machines. This approach is classified into two st
벼의 유묘 생육과 광합성 효율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과 생장조절물질 간의 상승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년 된 종자로 기내실험과 온실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내실험에서 관찰한 종자 발아의 경우 방사선을 조사한 IBA 0.001 ppm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파종 6일 후 측정한 유묘 생육은 방사선 무 조사구보다 방사선을 조사한 GA₃와 IBA 처리구에서 대체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그 중 IBA 0.001 ppm 처리에서 저선량 방사선과
Cell response to genotoxic agents is complex and involves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classes of genes including cell cycle control, DNA repair and apoptosis. In this report, we presented a approach to characterize the cellular functions associated wit
1996년까지 급속한 산엽발전과 소비패턴의 고급화로 안정적이었던 안경 산업의 구 조가 1997년 경제위기 이후에 살아나던 경제활동이 최근 장기적인 불황으로 소비자 의 구매심리 위축을 가져와 안경 착용 인구의 증가에도 볼구하고 안경원의 수익구조 가 악화되고 무분별한 대형할인매장의 출현으로 과당 과열 경쟁 및 공산품과 의료용 구의 결합인 안경제품의 질적 하락이 나타나고 안경원의 목표 고객에 대한 표적 마 케팅 (Target Marketing) 보다는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대량 마케팅 (Mass Marketing) 에 집중하다보니 재고안경테와 안경렌즈에 대한 부담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안경원의 구매심리도 위축되어 전반적인 안경 산업의 매출감소를 가져오고 소 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혼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속한 소비시장의 침체로 인한 안경원의 매출감소 및 대형할인 매장의 저절불량렌즈의 저가유통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고객의 요구를 정확히 파 악하고 낙후된 마케팅환경에 변화를 꾀하고자 안경구매자가 어떤 동기와 이유에서 안경을 선택하며 구매의사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특정 안 경원의 고객을 구매변수에 따라 세분화하여 안경원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시 사점을 찾아보았다. 따라서 특정 안경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어떠한 변수에 따라 세분화되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5개의 세분 집단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집단이 어떠한 변수에 관섬을 가 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시장을 세분화하여 목표 시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세분화 집단별 요언을 분석하여 안경원 경영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onomer와 여러 가지의 유기화물로 처리된 MMT type의 clay를 이용하여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을 용융삽입법으로 제조하였다. Twin extruder를 사용하여 clay를 ionomer에 분산시켰으며, 제조된 ionomer-clay 하이브리드에서 clay의 특성피크가 완전히 박리되거나 이동하는 XRD 결과로부터 clay의 층간거리가 넓어지는 고분자의 clay 층간삽입을 확인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라서 제조된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의 가스투과도,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ionomer-clay 하이브리드 막은 clay 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가스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고려˜조선후기에 창작된 한국 사부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주제를 형성하는 주된 서술 방법을 고찰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한국 사부 작품의 주제를 형성하는 주된 서술방법으로 주목되는 것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는 ‘抒情’이다. ‘抒情的’ 서술 방식은 작자의 주관적인 ‘정서’, ‘느낌’을 정서표출을 위주로 한 언어들로 구사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둘째는 ‘敍事’이다. ‘敍事的’ 서술 방식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치를 구체적인 사건의 전개에 맞추어 이야기를 진행해 나가는 것이다. 곧 인물에 대한 묘사나 사건에 대한 서술을 통해 작자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셋째는 ‘議論’이다. ‘議論的’ 서술 방식은 작자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론 ․ 사상 ․ 관점을 논리 전개에 충실하여 논설문의 어조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는 ‘寓言’의 運用이다. 본고에서는 寓言에 대한 정의를 작자가 어떤 의론을 전개하여 진리를 제시하고자 할 때 주제 전달상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꾸면 낸 이야기’라고 내리고,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우언의 목적은 동식물이나 인물의 허구적 행위를 빌어 諷刺․ 敎訓․ 啓示의 효과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처럼 한 편의 작품의 주제가 어떠한 서술 방법에 의해 표출 되는지를 밝히는 작업은 이제껏 한문학에 있어서 漢詩와 散文에 대해 주변 장르로만 인식되어 온 辭賦文學의 문학성을 검증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explores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test in Korea.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survey including a total of 557 participants, among whom were professors teaching at the departments of English education, students majoring English education, English teachers who had taken the selection test, test-takers of the test,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offices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9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elici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r belief about the test itsel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st and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the test-making process, and the first stage of the selectional process.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resent study proposes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s regarding the question types of the test, the proportions of each field of the major,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of English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test-developing and grading process.
In view of recycle or treatment of swine manu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including the thermal reaction curve by DSC were evaluated. After extrusion processing of swine manure, durability of the pellet and the degree of odor reduction by olfactory detection were also evaluated. Fresh swine manure solids contains more than half of 106㎛ or smaller particles, that could cause a difficulty in physical separation. Totally, 80.34% of solids were volatile solids. As the urea level is increased,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the manure added feed mixture is decreased although the specific energy for gelatinization is increased. The level of fiber and ash did not affect the thermal modification pattern. A durability of extruded and pelleted swine manure-incorporated feed depend primarily upon processing moisture content then secondarily upon both processing temperature and addition level of swine manure. Olfactory odor intensity of swine manure decreased with extrusion of the swine manure although the post processing emission intensity of NH3, SO2, and H2S were not changed due to the processing.
Fe(C) nanocapsules were prepared by the chemical vapor condensation(CVC) process using the pyrolysis of iron Their characterizations were studi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long-chained Fe(C) nanocapsules hav-ing the mean size of under 70 nm could be obtained below in different gas flow rates.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ecomposition temperature, but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 gas flow rate. The Fe powders produced at consisted of three layers of phases, but it had two phase core-shell structure which consited of phase of core and graphite of shell at
본 논문에서는 좌굴방지 가새 (BRBF)가 설치된 중저층 철골조 구조물의 초과강도계수를 평가하였다. 해석 모델의 설계변수로는 건물의 층 수, 경간의 길이, 가새의 항복강도, 지진하중의 크기, 반응수정계수 등 다양하게 설정하였다. 초과강도계수는 ATC-19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정적 비탄성해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구한 BRBF의 초과강도계수는 AISC/SEAOC에서 BRBF에 관하여 제시한 초과강도계수 값보다 전체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고속도로 건설 및 유지관리 과정중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를 현장파쇄하여 생산한 재생골재를 도로 포장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동상방지층의 경우 재생굵은골재, 스크리닝스 및 모래를 소요입도로 혼합하였을 때 양호한 지지력을 나타내었으며 강도가 약한 모르터가 진동 및 전압에 의해 파쇄됨에 따라 재생골재 2~20mm 통과율이 5~13%정도 증가하였다. 재생골재를 사용한 빈배합 콘크리트의 강도는 천연쇄석에 비하여 71~85% 강도를 나타내었으나 배합강도 57.5kgf/cm2를 크게 상회하였으므로 현장적용에는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