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59

        244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varies of 178 Holstein heifers or cows (heifer; 41, 1 parity; 72, 2 parity; 65) on Day 6 or 7 (Day 0=day of estrus) were examined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Diameter of corpus luteum (CL) and large follicle ( 10 mm), and luteal tissue area were determined by ultrasound system with a 5 MHB rectal probe. Blood samples were taken to progesterone analysis. After selection of recipients, frozen Holstein embryos were thawed and directly transferred to recipients non-surgically. The diameter of CL and luteal tissue area was greater (P<0.01) on Day 7 than on Day 6 in heifers, 1 parity or 2 parity cows, respectively, althoug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not different. The presence of fluid-filled luteal cavitied or multiple CL (2 or more) did not affect serum progesterone concentration. A large follicles were observed in 67.4% of heifers or cows and the average diameter was 14.1 mm. Greater luteal tissue area attributed higher pregnancy in heifers, but not in cow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 on pregnancy rate according to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heifers or cows. The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contained a large follicle at embryo transfer was lower than that of recipients not contained. These results show ultrasonic assessment of ovaries in Holstein recipients is a reliable tool to determine the follicle and CL for recipient selection.
        4,000원
        244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of the rice straw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s (6.4-7.5%) of rice straw silage added wit
        4,000원
        244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448.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ost effective the optimum lime content for lime-clay modification. To achieve the aim, characteristics of compac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tested by adding of 0, 5, 10, 15 and 20% lime (Hydrated lime) of dry weight of the clay. Distilled water was added 10, 15, 20 and 25% of dry weight of lime-clay mixture. In this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uring period : 7, 21, 28, 35 and 49 da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lime additive increase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lime-clay mixture was increased and the maximum dry density was decreased. (2) The soil mixture of 20% of the moisture content and 10% of lime additive was shown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3) As curing period longer,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but after 21 curing days, the increasing rate of compressive strength was low as compared with earlier its value. (4) In the range of 20% of the moisture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of mixture of 10% lime additive increased twice compared with that of mixture of 0% lime additive. (5) All of the lime-clay are possible to use for an sub-base material and 20% of moisture content of lime-clay mixture is possible to use for a base material.
        4,000원
        2451.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university foodservices with exterior restaurants, to investigate the fact regarding the use and the preference, to evaluate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eaters,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s. 2 women's universities were chosen and 300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The frequency was compared with the percentage by using Chi-square, and Spearman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1) As students move to upper grades, have enough monthly allowance, have irregular dietary habit and have snacks often and spend much time on eating, and as the BMI index is low,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use exterior restaurants more frequently than the university foodservices. 2) Analysis of main factor in utilizing university foodservices and exterior restaurants Is 'the taste', 'the price', 'the variety of menu'. 3)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e satisfaction is greater than the expectation for exterior restaurants while the satisfaction is not greater than expectation with the university foodservices. 4) The matters like 'more delicious-food' and 'more various menu' were pointed out to be improved.
        4,300원
        2453.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45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M BIO P.E.필름으로 피복된 시설에서 300~1,100nm 사이의 분광투과율은 일반 P.E. 필름으로 피복된 시설보다 높았다. 전반적으로 시설내 광투과율은 이중피복, 골조, 기타시설물 때문에 노지에 비하여 절반 수준을 나타냈다. 순복사량은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이 5,424.5W.m-2 로서 일반 P.E.필름 피복시설보다 2.9% 낮았고, 광합성유효복사 투과율은 CEM BIO P.E.필름 피복시설이 3,861.2W.n-2 로서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보다 3.8% 높았으며, 무가온기의 적산최저온도는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이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보다 1일 평균 0.35℃ 높았다. 정식후 30일의 풋고추 생육은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에서 초장, 경경,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 및 군락생산구조가 우수하였고, 과실은 과중이 11.28g으로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 보다 1.25g 무거웠으며, 상품율은 2.7% 높았다. 1997년 11월 19일부터 1998년 3월 3일 사이의 수량은 CEM BIO P.E. 필름피복시설에서 7.4% 많았으나 전체적인 수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245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즈마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유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전압처리 되었다. 플라즈마 필름과 계면활성제 필름(대조구)를 각각 직경 25mm 두께 1.5mm 골조 파이프 하우스에 피복하였다. 또한 40일 플러그 육묘된 풋고추를 110cmx25cm 간격으로 정식하였다. 피복시 수온을 70℃로 처리된 수적발생 장치에서 나온 수증기가 필름 표면에서 응결되어 흘러내려 비이커에 모인 양을 150분 후에 측정한 결과, 플라즈마 필름에서 2.56mL.100cm-2 , 계면활성제 필름에서 0.94mL.100cm-2 이 나왔다. 피복 60일 후 오전 8시 20분에 시설내 필름 표면에 부착된 수적량은 플라즈마 필름에서 0.34mL.100cm-2 , 계면활성제필름에서 0.32mL.10cm-2 이었다. 광 투과율은 플라즈마 필름 피복시설이 계면활성제 피복시설 보다 2.0% 높았다. 그리고 시설내 기온은 플라즈마 필름 피복시설이 계면활성제 피복시설 보다 0.5℃ 높았다. 그러나 상대습도는 차이가 없었다. 풋고추 초장, 엽면적, 건물중 및 초기수량 또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45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isclosing the effects of progressive low intensity exercise on the activity of the elderly, questionnaire survey and physical fitness examination were performed on the subjects who were 65 years old or older.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using paired matching on gender and age: experimental group (33 persons) and control groups (35 persons).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as put on the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for 12 weeks using dumbbell and lead-packed weigh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physical and social behavior scores among activities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variabl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and status, perception, and physical fitnes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progressive low intensity exercise improves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physical activity, self assessed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ocial behavior of the elderly be affect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and status, perception, and physical fitness.
        4,800원
        2459.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에 발달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진동층 및 건천리층과 하양층군 최상부 또는 유천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산 황령산 지역의 호성퇴적층을 대상으로, 이들 퇴적층의 퇴적상, 화석상, 고토양상 등을 비교퇴적학 및 층서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호수퇴적층의 공통적인 발달특성은 1) 전반적으로 쇄설성퇴적층이 지배적인 반면, 2) 삼각주퇴적층이 수반되어 있지 않으며, 3) 이질평원퇴적층이 흔히 발달되어 있고, 4)스트로마톨라이트의 발달이 없는 점 등이다. 한편 세 호수퇴적층 발달특성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진동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이질평원퇴적층의 발달이 지배적이며, 석회질고토양의 발달이 빈번하고,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산출되지 않는 공룡족흔 화석층의 발달이 일반적이다. 2) 건천리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무척추동물화석의 산출이 일반적이며,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발달하는 폭풍퇴적층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3)황령산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 및 건천리층에서는 산출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증발광물의 캐스트가 흔히 산출되며, 응회질 저탁암층의 협재가 일반적이다. 세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의 경우, 건천리층은 진동층의 하부에 대비되고, 황령산 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의 상위에 놓이는 지층으로 추정된다. 이들 3개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 및 발달특성을 토대로 해석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에서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이르는 동안의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의 퇴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경상분지는 지반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였으며, 이에 따라 화산활동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기후조건의 경우 하양층군 퇴적중기 때보다는 비교적 습윤하여져 호수환경이 확장된 상태였으나, 전반적으로는 건조한 기후가 지배적인 환경이었으며, 특히 건기와 우기가 교호되는 기후조건이발달하는 가운데에 매우 극심한 가뭄이 빈번히 발달하였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에 경상분지의 동남부 지역은 호수연변부의 이질평원이 넓게 발달한 가운데에 퇴적작용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백악기 후기(하양층군 퇴적최후기 및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접어들면서 조구조운동과 이에 따른 화산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 지역의 퇴적속도는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되었다. 백악기 후기의 기후조건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건조한 기후가 전반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증발암광물이 형성될 정도로 건조한 기후가 발달하였다.
        4,600원
        2460.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