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설 시 발생하는 부유물의 이송 확산 과정을 해석하기 위하여 퍼프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퍼프 모형은 추적방법에 따라 전방추적모형과 후방추적모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추적방법은 계산효율과 수치 오차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경계처리에 있어서 입자추적모형과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는 퍼프모형은 폐경계에서는 입자추적모형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개경계에서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염원이 임의의 공간적 분포를 갖는
장거리 용수공급 시스템에서 전력비용은 전체 운영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시간단위의 펌프와 배수지 시스템의 최적 운영계획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계획기법에 기초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해석방법은 운영비용 최소화 관점에서 펌프용량 확대를 전제로 현재 가용 펌프의 효율적 운전과 전력요금체계, 시간별 용수수요 추이 그리고 배수지 특성과 송수관로의 제약조건 등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적용 가능한 시스템 운영목적과 제약조건이 제시되었고 개발된 방법
"진백"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고품질 벼흰잎마름병 신균계, K3a 저항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8일로 남평벼보다 1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71 cm로 '남평벼'에 비해 8 cm 정도 작고 주당 수수는 남평벼와 비슷하며 수당립수는 적고 등숙비율이 다소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2002년도에 오렌지색의 스프레이 'Macarena' 품종을 모본으로 다화성인 황색의 스프레이 'Lion Sunshi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3~2004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51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5~2007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선발된 '원교 D1-501' 을 "모닝스타" 로 명명하였다. "모닝스타"의 화색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
1. 본 연구에서는 완두유래의 세포질성 PsAPX1 유전자를 대상으로 산화스트레스 유도성 프로모터를 연결하여 엽록체에 targeting 되는 과발현 운반체를 제작하고 벼에 도입한 결과 형질전환체에서 도입유전자 수가 1~3 copy인 것으로 나타나, 적은 수의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염, 오존, 자외선, 한발과 같은 다양한 환경스트레스 조건에서 내성이 증진된 우수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작성된 형질전환 벼 계통들을 대상으로 생물
1. 본 연구에서는 공동배양 배지에 Agrobacterium 성장 억제물질인 silver nitrate를 첨가하고 변온과 여과지처리를 추가하여 공동배양 기간을 7일로 늘였으며, 또한 항산화 물질 3종을 공동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의 oxidative burst를 최소화함으로써 벼 형질전환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이 방법을 적용하여 형질전환이 어려운 품종을 대상으로도 형질전환 식물체를 작성할 수 있었다. 2. 벼 형질전환체의 70%에서 도입유전자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mapping, 벼멸구 저항성 관련 QTL 분석, 주요 농업형질과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 분석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멸구 저항성을 가진 통일형 벼인 '삼강'과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을 교배하여 양성된 F_1의 약을 배양하여 육성된 120 DH 계통을 유전자 지도 작성을 위한 mapping 재료로 이용 하였다. Maker 검정에서 양친에 다양성을 나타낸 SSR 73, STS 89개 등 총 162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의 액취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in vitro 항균시험 및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교차설계로 진행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 Corynebacterium xerosis, Corynebacterium jeikeium를 균주로 한 in vitro 항균 실험에서 모두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를 전반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와 균수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고 그 효과는 최소 9 h 동안 지속되었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피시험자 전체에서 이상반응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0 wt% triclosan과 0.4 wt% 죽염을 함유한 바디워시는 액취에 대한 감소효과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user identification and user tracking for intelligent robots using face images. This paper shows general approaches for standard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intelligent robot systems as well as their algorithms. The evaluation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combined with the evaluation methods for detection algorithms of face region and facial components to measure the overall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in intelligent robots.
In this paper, we report the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detection algorithms of face region and facial component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for general approach in face recognition application as a potential component in futuristic intelligent robot systems. From an image capture process to the retrieval of face-related information, all the necessary steps are shown with examples.
To evalu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 we used an in vitro wound-healing assay, and an in vivo approach using a mouse melanoma model. Wound-healing activity in B16 cells was affected by the extract in a dose-dependent manner, indicating that the extract had anti-metastatic activity. The extract also exhibited strong anti-tumor activity against lung cancer when B16 cells were injected into mouse veins together with B16 melanoma cells. The results indicatethat the Flammulina velutipes extract decreased B16 cancer cell growth by inhibition of cell migration both in vitro and in vivo.
We focused on the condition of washed, fresh ginseng in the market and analyzed consumer attitudes to the product to improve the consumption of fresh ginseng. A preference for fresh ginseng was high among every age class, and was particularly notable in older individuals. Fresh ginseng was usually eaten as ginseng chicken soup, mostly in summer and winter, and as a valuable health food, rather than because of desirable qualities of taste or smell. A total of 66.5% of those surveyed reported that they had purchased fresh ginseng, mostly from big discount stores. Such stores were preferred as outlets owing to a reputation for quality and shopper convenience (the stores were located near interviewees' homes). More than 70% of purchasers emphasized that they chose to purchase in departmen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owing to the reputation for quality of such sources. Most consumers considered quality to be a prime element in purchase decisions. A total of 32.9% of those surveyed had bought washed fresh ginseng to give as a gift to a friend. Of those surveyed, 67.1% had never bought washed fresh ginseng. The following reasons were proposed to explain the preference for purchase of ginseng with attached soil. Most consumers (40.2%) thought the soil was a reflection of quality. Those who preferred washed fresh ginseng considered that the material was hygienic and convenient to store. When questioned about their intention to buy washed fresh ginseng, 55.0% of consumers replied in the affirmative and 17.1% in the negative. When consumers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an additional charge for the washing and packing of fresh ginseng, 58.8% answered in the affirm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