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2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강우, 유량 등 유역환경 의 변화가 퇴적환경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강 정고령보의 상류 구간에서 장마 기간 이후 퇴적물의 입도 분포가 세립해지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의 농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장마 기간 동안 증가한 유량에 의해 부유물질, 유기물질 등이 공급된 후 인공구조물로 인한 유수의 일시적인 정체로 퇴적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낙동강 수계 모든 지역의 퇴적환경을 지시할 수는 없지만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지역 인접한 구간에서의 퇴적물 성상 변화를 이해하는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변화하는 수계의 환 경에 따라 퇴적물 내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등이 수계에서 내부오염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극궤도 위성(Aura)에 탑재되어 운용 중인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등가 람버시안 반사도(Lambertian Equivalent Reflectance; LER)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LER 기후값(2004년 10월 -2007년 9월)은 기존 OMI 및 MODIS 결과와 다음 대기환경 변수의 관점에서 비교분석되었다. 파장(자외선, 가시광선), 지표 특성(육지, 해양), 그리고 구름 제거. 자외선 및 가시광선 파장역(328-500 nm)에서 산출된 LER은 최소 반사도뿐만 아니라 세 종류 하위 평균(1, 5, 10% 이내)으로 산출되었다. 이들 중에 10% 평균값이 OMI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였다. 여기서 상관계수는 0.88, 평균 제곱근 오차는 1.0%. 그리고 평균 편차는 −0.3%이었다. 10% 평균값과 기존 OMI LER값은 해양에서 가시광선에 비하여 자외선 영역에서 큰(~2%) 반면에 육지에서는 작게(~1%) 나타났다. 또한 파장 및 지표 특성에 따른 LER 변동폭은 육지 및 가시광선 조건에서, 특히 만년설 및 사막 지역에서 크게 나타났다(~3%). 최소 반사도값은 해양 및 육지의 표본 지역에서 MODIS에 비하여 약 1.4% 과대 산출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고해상도 MODIS 자료에서의 효과적인 구름 제거에 있다고 분석되었다. MODIS에 대한 10% 평균값의 상대 오차는 기존 OMI 산출물에 비하여 해양에서 작았으나(−0.6%) 육지에서는 컸다(1.5%). OMI 산출물 경우에 육지에서의 작은 상대 오차는 Landsat 자료 이용한 효과적인 구름 제거에 있다고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정지궤도 환경위성(예, GEMS) 관측을 이용한 지면반사도 산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800원
        2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난시가 존재하는 피검자들에게 원데이 프리즘 밸러스트 및 이중 슬랩오프 디자인 안정화 방법을 이용한 제품을 각각 착용하여 난시 정도에 따라 렌즈 회전량과 자각적 만족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난시가 존재하는 피검자(20~25세 사이) 63안을 모집하여 피검자의 실린더 값을 자/ 타각적 방식으로 측정하여 두 그룹(Low : C-0.75~C-2.00, High C-2.25~C-4.00)으로 분류하여 각각 A사의 ‘프리즘 밸러스트’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와 B사의 ‘이중 슬랩오프' 방법 으로 제작된 토릭 소프트렌즈를 번갈아 착용하였다. 사용된 렌즈의 B.C는 모두 8.5mm이 고, 함수율은 각각 56%, 59%였다. 그리고 사용된 소재는 'Silicone Hydrogel'이었다. 두 렌즈를 착용하고 30분 안정화 후에 정상 범위의 피팅에 포함되는 대상자를 기준으로 세극등을 사용하여 렌즈 회전량을 측정하고 피검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착용감, 만족도 등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 두 그룹중 상대적으로 낮은 난시값을 가지고 있는 피검자군은 'Double Thin'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4.38±2.34°이었고, 평균 만족도 점수로는 10점 만점에 서 8.11±1.13점을 획득하였다. 'Prism Ballast'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2.81±2.78°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8.67±0.87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높은 난시 값을 가진 피검자군은 ‘Double thin'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3.44±3.26°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8.33±1.03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Prism Ballast'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6.56±4.13°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7.78±1.28점을 획득하였다. 결론: 상대적으로 낮은 난시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 'Prism Ballast'로 제작된 토릭 소프트 렌즈를 착용한 경우 'Double Thin' 렌즈를 착용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렌즈 회전 량이 측정되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난시 값을 가지고 있는 피검자들은 ‘Double Thin’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Prism Ballast’렌즈를 착용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렌즈 회전량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난시 값의 정도에 따라 두 안정화 디자인에서 회전량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짝짓기는 흔히 떨어져 있는 암컷과 수컷이 서로 만나는 과정과 이들이 구애행동을 통해 생식세포의 결합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나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에 작용하는 의사소통을 각각 원거리, 근거리 의사소통이 라 한다. 의사소통을 할 때 크게 빛, 소리, 화학 신호가 사용된다. 드물게 물리 신호도 사용될 수 있다. 빛이나 소리 신호를 이용할 때 주로 수컷이 신호자이고, 암컷은 수신자이다. 이에 비해 화학 신호를 이용할 경우 암컷이 신호자, 수컷이 수신자이다. 원거리 의사소통을 할 때 수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과장되고, 반복적이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은밀하며,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짝짓기 의사소통 때 암컷과 수컷이 신호의 과장이나 사용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성선택의 결과이다
        26.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식자는 ‘일반적’, ‘특수적’ 방법이 있다. 일반 방법은 식자는 쉬우 나 언어 환경과의 괴리를 피할 수 없다거나, 흥미 유발로 식자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나 한자 고유 의 규율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거나, 한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도외시하게 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벽문절차’와 ‘자족문’이 특수 방법으로 벽문절차는 한자의 형․음․의 분석을 통해 관련된 부분을 도출해내고 독특한 연상법을 활용해 흥미를 유발하고 기억하게 한다. 그러나 한자의 규율을 무시하 는 문제에 따른 해설상의 오류를 벗어나기 힘들다. 한자 특성을 제대로 학습할 수 없게 만들고, 언어 환경도 고려하지 못한다. 자족문은 획기적이고 신선한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한자 특성을 고려해 파생을 활용하여 자족이 란 개념을 창출했다. 문장을 익히면서 문자를 익히고, 문자를 익히면서 문장을 익숙하게 하는 문장 과 문자 학습을 통일시켰다. 문장 학습으로 언어 환경을 잘 활용할 수 있고 개별 문자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어 특성을 살렸다. 그러나 자족문 방법도 중국 언어체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뿐 우리 언어체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5,700원
        2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卜辭에서 冓는 ①만나다[遇], ②祭名, ③人名, ④方國의 이름 등의 뜻으로 사용되었고, 再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무슨 뜻으로 썼는지 판명되지 않았으며, 爯은 ①祭名으로 祭物을 단에 올 라 헌상하는 뜻, ②爯冊(칭책, 왕명을 받아 그 영을 전달하는 것), 제사를 지냄에 있어 천거하 여 령을 전하는 의식, ③인명으로 사용되었다. 이런 갑골문 문장을 보면, 제사나 사람, 사람이 사는 곳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冓의 자형이 화톳불 형식으로 제사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사 뜻을 갖는다. 再는 冓의 아랫부분과 상하에 횡으로 그은 한 획[一]을 더하 여 만들어진 글자다. 爯 행위를 하면서 사람이 다소곳이 앉아 봉례 하는 모양이 偁으 로 서로 통하기 때문에 제사를 봉행하는 행위를 나타낸다고 풀이된다. 冓와 爯, 再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모두 제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하 겠다.
        5,100원
        2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반세기 이상 국내 응용곤충학 분야 전문가들의 학문적 토양을 가꿔온 한국응용곤충학회는 아시아-태평양 화학생태학회 및 세계곤충학회를 성공적으로 치르면서 곤충학 분야의 국제적 학회로 발돋움하고 있다. 본 학회에서 지원하여 발간하는 국제 SCI 전문학술지인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와 국문지인 한국응용곤충학회지는 응용곤충학 연구를 집대성하는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 매년 춘계와 추계로 나뉘어 진행되는 학술대회는 응용곤충학 전문가들의 학문적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별히 최근 일반 발표는 물론이고 심포지엄 및 소모임의 활성화에 힘입어 중견연구자들의 학술발표 참여도가 증가하여 수준 높은 학문의 교류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 응용곤충학 전문가들의 학문적 관심도 변화를 추적하여 보면, 해방 이후 약 20년간은 일제 및 서구의 곤충학을 우리의 학문으로 유입하는 시기를 보냈다. 이후 20년간은 개념 정리를 기반으로 국문으로 된 응용곤충학 교과서를 발간하여 차세대 전문가를 교육하는 데 노력을 경주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국내 R&D 투자의 확대로 첨단 연구기자재와 이에 따른 연구비를 바탕으로 응용곤충학 각 세부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결과들이 경쟁적으로 쏟아지면서 국제 저명학술지에 다수의 국내 학자들의 논문 발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따라서 이제는 응용곤충학의 여러 세부분야에서 우리의 연구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국내 응용곤충학의 발전에 비추어 여전히 우리 학문분야가 전체 국내 자연과학 분야에서 입지가 매우 좁은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농학분야에서도 응용곤충학은 타 학문 분야의 발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열세인 것을 여러 학자들이 호소하고 있다. 여러 원인이 여기에 있을 수 있다. 이 가운데 여러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것이 응용곤충학 연구분야의 대형 이슈 부재를 주된 이유로 손꼽고 있다. 과거에 국민의 기본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해 농학분야의 여러 연구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학제간 연구를 통해 통일벼를 개발하였던 사례를 비춰볼 때 응용곤충학의 대형 이슈는 각 연구자의 개별 실험실에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닐 것이다. 이 대형 이슈는 국내 전체의 관심거리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공동 연구를 통해 진행되어야 근본적이고 포괄적 연구 결과물을 얻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성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과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응용곤충학의 구심점인 한국응용곤충학회를 중심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회 차원에서 전체 회원들의 대표성을 주기 위한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나온 대형 연구 이슈들에 대해서 공신력을 주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기획위원회에서는 이러한 국내 응용곤충학의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응용곤충학의 장기적 및 포괄적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진 구성 및 재원 확보 추진 방안을 기획하는 데 주 임무를 설정한다.
        2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인이 내리는 의사결정보다는 집단이 내리는 합의 의사결정(consensus decision)이 종종 옳은 경우가 많다. 만약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부분적이고, 이러한 개인들이 많이 모일수록 보다 완벽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집단의 의사결정은 의사결정의 주체, 의사결정에 도달하는 방법, 속도와 정확성간의 타협과 같은 문제가 있다. 사회성 동물에서는 중앙에서 보다는 정보가 모아지는 현장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분산 의사결정이 특징이다.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에 사회성 동물의 개체들은 정보를 공유한다. 사회성 동물들이 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면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공유한 정보를 검정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따를 경우 틀린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집단 의사결정의 정확성은 정보의 공유를 통한 상호의존과 정보의 검정을 통한 독립성에 달려있다.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내려질 경우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개체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려진 의사결정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쓸모가 없다. 그러므로 집단의 많은 개체들이 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설득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3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많은 생물 종의 개체들은 주위의 다양한 생물체와 함께 생태계를 이루며 함께 어울려 살고 있으나, 이들 중 서로 똑 같은 개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같은 종인 인간들 사이에서도 서로 똑 같은 개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같은 종이라도 서로 다르게 태어나는 이유는 생물이 태어나서 환경(물리적, 생물적)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의 진화라는 맥락에서 이해 될 수 있다. 일찍이 다윈은 생물의 변이와 자연선택을 생물 진화의 요소임을 주장하였다. 생물이 태어나서 서로 다른 모습을 유지함은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생물은 이런 개체변이를 유지하기위하여 죽음을 만들고, 성을 개발해 냈다. 즉 죽음과 성을 통하여 생물체의 다양한 변이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만들어 낸 변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생물체의 개체 변이가 생명(유전자)의 영속을 유지하는 기본 골격임을 말하는 것이다. 생물 군 중 변이가 진화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생물 진화 역사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종이 아마 곤충일 것이다. 역으로 추정해 보면 곤충 종의다양성이 이를 간접적으로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해충 또한 곤충의 일종으로 인간과 같은 먹이를 놓고 싸우는 종 중 인간에게 패배하지 않은 생물 종의 하나로 이들이 갖고 있는 무기는 오직 유전적 다양성(변이)이다. 따라서 해충 방제의 원리는 이 유전적 다양성을 어떻게 관리하느냐 하는 것으로 개체군 내 개체 변이의 발달을 조절하는데 있다. 해충 개체군내의 변이 관리는 해충의 밀도를 훨씬 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원하는 식량을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단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다.
        3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변이는 생물다양성과 더불어 생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그렇지만 변이의 중요성은 커녕, 변이의 존재를 인정하고 과학적인 연구를 시작하게 된 시기는 지난 세기부터이다. 변이의 철학은 플라톤으로 대표되는 고대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변이를 두고 가장 극적인 충돌은 다윈의 개체군적인 사고(population thinking)와 마이어의 유형학적인 사고(typological think)에서 발생했다. 다윈의 개체군적인 사고는 ‘자연선택’, 그리고 마이어의 유형학적인 사고는 ‘생물학적 종’이라는 생물학의 굵직한 발견을 하게 된다. 변이에 대한 이해는 생명에 대한 이해의 핵심이다. 그 이유는 변이가 성의 진화와 성선택과 필수불가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진화생물학에서 성의 진화가 변이의 창조 및 유지와 직결되어 있다는 증거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암컷의 성선택과 같이 방향성 선택이 지속되어도 개체군에서 변이가 유지되는 연구를 소개한다.
        3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Because communication facilitates behaviors that are critical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it is central to the study of behavior and evolu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issues with respect to communication has been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itself. Broadly, it can be defined as an exchange of information from a signaler to a receiver. However, evolution of a signal is likely possible only under conditions in which both the signaler and receiver increase fitness from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ften referred to as “true communication.” The three primary sensory channels of communication used by animals are chemical, visual, and acoustic. Chemical signals are the oldest and most widespread method of communication. Visual and acoustic signals convey a great deal of information due to ease of modulation, flexibility of signal production, and fast transmission. The most widespread contexts in which animals communicate are sexual intera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ignals used for sexual interaction typically contain information about species identity and sexual attractiveness, whereas signals used for conflict resolution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resource holding potential. Other contexts under which animals communicate include territorial defense, parent-offspring interactions, social integration, shar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uto-communication.
        4,200원
        33.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濟州島資料集』(1971) 속의 『漢字의 濟州名』는 방언자료 속에 한자의 음과 훈을 포함시킨 유일한 자료이다. 『漢字의 濟州名』는 석주명(石宙明)이 1943년부 터 1945년까지 제주에서 채집한 한자의 음과 훈을 기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자료를 통하여 한자 훈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漢字의 濟州名』에서 제시된 제주명과 석주명이 제시한 표준명 이 다른 경우의 한자에 대해서 방언 훈, 이본 훈, 개인 훈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비교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千字文 資料集-지방 천자문편』(1995)의 훈이다. 방언자료는 지방 사람의 구술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지방의 다양한 음운이 그대로 드러나고 구두 모방 암기 과정에서 와전된 훈이 화석화된 경우도 있다. 『漢字의 濟州名』는 방언자료인 만큼 제주방언 어휘로 된 훈이 특징이다. 방언 훈 중에 는 중세 어휘가 그대로 제주방언으로 남은 경우와 고어형(古語形)이 확인되지 않은 방언 어휘 훈으로 나눌 수 있다. 방언형이 우세한 어휘인 경우는 그대로 한자의 훈으로 사용되었다. 제주명과 석주명의 표준명이 다른 훈은『千字文』의 어느 이본 의 훈을 제시하느냐의 차이이다. 제주명은『千字文』내각문고본(1583)에 의한 것 이 많고 석주명의 표준명은 18세기 이후의『千字文』, 특히 임술본(1862) 이후의 훈으로 새긴 것이 많다. 오독이나 잘못된 이해가 아니라 개인의 언어관에 따라 유사 개념이나 용법의 예로 재해석하여 훈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경우를 개인 훈으로 명명하였다. 『千字文』의 훈은 보수적이고 방언적 요소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각 지방에서는 제시되는 고정된 훈을 사이에 두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훈은 다양하다. 지방에서는 훈의 개념을 방언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훈은 다양할 수 있다. 제주방언 자료를 통해서 본 한자 훈의 특징은 지역 환경에 따라 재해석된다는 점과 개인 언어에 따라 재해석되었다는 점이다.
        8,000원
        34.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mainly concerns about regionalinnovation system ofmetropolitan economiczonesofinter-governmental governanceofJing-jin-jiin China.Forthat,Ihavestudied the background of metropolitan economic zones of Jin-jin-jiin China,in termsofhistoricalsystem,geography,and economy and pointed out the limitation and problems of present regional developing system.To get to know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of metropolitan economic zones of Jing-jin-ji,Ihavelookedathow thediscussionshadproceeded aboutformationofinter-governmentalgovernancein Jing-jin-ji, and whatarethecharacteristicsaboutit.Also,regarding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inter-governmentalgovernance,I have mainly studied spatialcategory,policy issues,statusof real operation, etc. All those kind of discussions about inter-governmentalgovernance ofChina show lots ofpolicy implicationstoKoreaninter-governmentalgovernance.
        10,200원
        3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를 위해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 외부와 원통형 막 모듈 내부 사이의 공간에 광촉매를 충전한 혼성 모듈을 사용하였다. 광촉매는 PP (polypropylene) 구(bead)에 TiO2 분말을 플라즈마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코팅한 것이다. 정수 원수 중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혼성공정에서 막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10분 주기로 10초 동안 물 역세척을 시행하였다. 휴믹산을 10 mg/L부터 2 mg/L로 변화시킴에 따라, 막오염에 의한 저항(Rf)이 감소하고 J가 증가하여 2 mg/L에서 가장 높은 총여과부피(VT)를 얻었다. 탁도 및 UV254 흡광도의 처리효율은 각각 98.5% 및 85.7% 이상이었다. MF 공정 및 MF + TiO2 공정, MF + TiO2 + UV 공정의 막여과 및 광촉매 흡착, 광산화의 처리 분율을 알아본 결과, 광촉매 흡착과 광산화에 의해 탁도는 거의 처리되지 않았으나, 광촉매 흡착 및 광산화에 의한 휴믹산 처리 분율은 각각 10.7, 8.6% 이상이었다.
        4,300원
        3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should not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which had been adopted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wall plaster work in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sha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materials and technique which applied to wall plaster work in those day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 technique that was used to wall plaster of government buildings in those days was not a lime wall plaster, but sand coat one. The kinds of material for setting of the sand coat wall plaster had been revise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or constructions. The main kinds of material were composed of sand, white clay,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However, the present materials were composed of sand, white clay. Therefore, the present materials and technique which applied to wall plaster work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have to be revised and corrected.
        5,200원
        37.
        201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biostability and drug delivery efficiency of g-Fe2O3 magnetic nanoparticles (GMNs) by cytotoxicity tests using various tumor cell lines and normal cell lines. The GMNs, approximately 20 nm in diameter, were prepared using a chemical coprecipitation technique, and coated with two surfactants to obtain a water-based product. The particle size of the GMNs loaded on hangamdan drugs (HGMNs) measured 20-50 nm in diame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were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XR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TEM) and Raman spectrometer. The Raman spectrum of the GMNs showed three broad bands at 274, 612 and 771 cm1. A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showed that the GMNs were non-toxic against human brain cancer cells (SH-SY5Y, T98), human cervical cancer cells (Hela, Siha), human liver cancer cells (HepG2), breast cancer cells (MCF-7), colon cancer cells (CaCO2), human neural stem cells (F3), adult mencenchymal stem cells (B10), human kidney stem cells (HEK293 cell), human prostate cancer (Du 145, PC3) and normal human fibroblasts (HS 68) tested. However, HGMNs were cytotoxic at 69.99% against the DU145 prostate cancer cell, and at 34.37% in the Hela ce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MNs were biostable and the HGMNs served as effective drug delivery vehicles.
        4,000원
        3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story to have used lim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much long without distinctionoftheEastortheWest.Theancientnationsofkoreanpeninsulahadused limeasconstructionmaterial.Thewitnesswasdiscoveredinthekings'tombsoffif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15〜19c), what applied several developed lime compoundsto thekings'tombshavebeen recorded in 'Sanleong-Uigwe(山陵儀軌)'& 'Yeonggeon-Uigwe(營建儀軌)' ofthose days documents.Therefore,this paper is to examinethewholeproceduresfrom theproductandprovisionoflimetoitsapplication throughthosedaysdocuments. Following conclusionshavebeen reached through thestudy.Threelimecompounds tobedevelopedforthekings'tombswasextendedlyappliedtoresidentialgovernment buildingsstepby stepwithinthecurrentoftime.Thesecompoundstobeusedinthe kings'tombsoftheJoseondynastyhadbeencorrelatedtothoseoftheancientnations, whichwerenationsofkoreanpeninsulainnarrow range,chineseandorientnationsin broad range. These compounds have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as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 material. And these compounds should provide a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nservation &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and cultural properties.Icould confirm thatthe whole procedures had notbeen developed within limited space-time ofthe specified nation & period,butwithin interactions of the nations & periods.In the periods which disturb its interaction,the expansion of productivityinbuildingconstructionwasinterfered.
        6,100원
        39.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have not to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to have been born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order for roof ridge, and for bond paste of stones and bricks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wi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agglutinate stones each other were quicklime, perilla oil, and paper fiber.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point joint of black bricks consisted of slaked lime, perilla oil,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These components were the same as coat surface of roof ridges. In the case of times, one of the following sand, white clay, sap of boiled elm bark was added to these components for the purpose of high efficiency.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applied to plaster work of those buildings ha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king royal tombs. But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5,100원
        4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리는 포유류, 새, 개구리, 및 메뚜기목의 곤충들이 많이 사용하는 통신 매체이다. 동물의 소리신호는 개체의 정체, 상태, 하고자하는 의도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동물에서 소리신호는 종인식, 짝짓기, 성선택, 영역방어, 먹이탐색, 경고와 같은 행동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소리신호는 다른 형질과 마찬가지로 환경에 대한 적응의 산물이다. 특히 포식자 탐지,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및 신호의 효율성은 개체의 생존에 매주 중요하다. 그러므로 소리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이해하면 개체, 개체군, 심지어 종에게 작용하는 자연선택의 힘을 이해할 수 있다. 동물의 소리신호는 각 종마다 독특하여 분류 형질로 이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유연관계가 가까운 종들은 종종 형태적으로 분별하기 어렵지만 소리신호는 종종 아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소리신호에 대한 형질 수준이 야외에서 보다 더 분류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또한 소리신호는 보통 멀리서도 쉽게 들을 수 있다. 심지어 소리를 발생하는 개체가 보이지 않더라고 근처에 숨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런 점은 멸종위기종과 같이 흔하지 않은 종의 서식 유무 및 개체군 크기 등의 정보를 조사하는데 소리신호 형질을 이용한 조사가 효율적이고 보존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동물들이 사용하는 소리신호를 분류군별로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들 소리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해하면 성선택에 의한 소리신호의 진화, 소리신호의 지역변이, 종분화에서 소리신호의 역할, 소리신호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소리신호를 이용한 개체군 크기 조사와 같은 기초학문의 발전뿐만 아니라 학습교재, 체험학습 및 생태문화와 같은 생물자원으로도 개발할 수 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