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0

        56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주지역에 적합한 참외재배용 내재해형온 실을 개발하기 위하여 참외 재배온실의 구조현황 조사, 최근 기상자료가 반영된 설계하중 산정, 온실모델 설정 및 구조안전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주지역 참외온실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한 결과, 온실의 지붕형상은 아치형이 가장 많았으며, 최근에 시공한 온실일수록 복숭아형이 많았으며 폭이 넓어지고 동고도 높아지는 추세였다. 그리고 성주지역에 가장 인접한 구미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풍속 및 설계적설심을 산정할 수 있는 계산식을 유도하였으며, 내재해형 온실 규격을 만족하는 재현기간 30년의 적설심은 23.7cm, 풍 속은 33.8m·s−1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성주지역의 내재해형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참외재배용 단동온실 4종, 2연 동온실 및 연결온실을 각각 1종씩 총 6종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4,600원
        56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규모 수변공간 개발이 진행된 여주시는 관광객이 유발하는 지역환경 변화에 대한 주민의 혼란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주민과 방문객 그룹사이의 조화를 고려한 수변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즉, 수변공간의 개발에 있어 지역주민이 허용할 수 있는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현재 조성된 수변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주시 지역주민의 거주특성에 따른 수변공간에 대한 허용가능한 개발 형태 차이를 알아보고 허용가능한 개발 형태와 수변공간에 대한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변수는 '여주군 지역 주민의 거주특성', '허용가능한 변화한계 요인', '수변공간에 대한 만족도' 이며 여주시 주민을 대상으로 수집된 240부의 설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여주시민의 거주특성에 따른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 요인 중 수변공간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주시민의 거주특성 중 고향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라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개발 형태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요인 중 '활동중심개발'이 수변공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수변공간 개발 시행 시, 수변공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민의 고향여부, 거주지역에 따라 '활동중심개발'이 고려 되어야 할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과 방문객 및 지역환경을 모두 고려한 지속가능한 수변공간 개발을 위한 전략적 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6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리치의 줄리안의 『계시들』은 영국 최초의 여성작가의 작품임에도 중세 영어의 어려움 때문에 1970년대 말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1978년의 현대영어 번역판 『서구 영성사의 고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계시들』에 대한 연구를 현대영어로 정확하게 해석하기 어려운 중세 영어 단어 ‘homely,’ ‘curteyse’ 분석을 기반으로 줄리안이 계시들을 통해 깨달았던 하나님의 속성을 다룬다. 줄리안은 특히 사랑으로 대변되는 삼위일체인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적인 부분을 ‘친구와 같고,’ ‘친밀한’의 뜻을 지닌 ‘homely’와, ‘예의바른,’ ‘친절한’, ‘관대한’의 뜻을 포함하는 ‘curteyse’를 통해 묘사한다. 본 논문은 『계시들』의 중세영어판을 중심으로 가정의 뜻이 있는 ‘homely’와 궁정풍의 특성을 포함하는 ‘curteyse’의 중세적 의미를 분석해 본 후, 나아가 현대에서 감성적 신학의 특성을 지닌 저서로 평가되는 『계시들』에서 여성 저자의 특질 및 위대함을 찾아본다.
        6,300원
        56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nion animal is an animal kept primarily for a person's company or protection. The most popular pcompanion animals are noted for their attractive appearances and their loyal or playful personalities. Companion animals commonly provide their owners physical and emotional benefits. Companion animals can give companionship to elderly adults who do not have adequate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twenties's interviewers on the companion animals.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twenties year-old ages. Questions focused on how interviewers were recognized the perception of companion animals.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positively understood about the perception of companion animals.
        5,800원
        565.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anion dos in urban areas is important for the wellbeing of the animals themselves, owner's piece of mind, and to allow city to plan for future community needs. Recently, in Korea, all dogs in urban areas must be registered at the regional city offices. Owners are encouraged to implant microchips in their cats and dogs regardless of age as it ensures these pets can be quickly reunited with the owners after separation.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companion dog's owners on the animal registration policy.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300 owners in Iksan city. Questions focused on how people were recognized the need and policies of animal registration.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well understood about the policies of animal registration. Conclusionally, the promotions of animal registration policies were need. The development of fanimal registration policies were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anion animal welfare.
        4,000원
        570.
        201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lica nano-powder (SNP) is an inorganic material able to provide high-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its multiple functions. Methods used to synthesize high purity SNP, include crushing silica minerals, vapor reaction of silica chloride, and a sol-gel process using TEOS and sodium silicate solution. The sol-gel process is the cheapest method for synthesis of SNP, and was used in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d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silica-powder particles in relation to the variation of HCl and sodium silicate concentrations. After drying, the shape of nano-silica powder differed in relation to variations in the HCl concentration. As the pH of the solution increased, so did the density of crosslinking. Initially, there was NaCl in the SNP. To increase its purity, we adopted a washing process that included centrifugation and filtration. After washing, the last of the NaCl was removed using DI water, leaving only amorphous silica powder. The purity of nano-silica powder synthesized using sodium silicate was over 99.6%.
        4,000원
        571.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PTHA) is based on the approach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which is performed using various seismotectonic models and ground-motion prediction equation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PTHA and PSHA is that PTHA requires the wave parameters of tsunami. The wave parameters can be estimated from tsunami propagation analysis. Therefore, a tsunami sim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wav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PTHA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NPP) site. The tsunamigenic fault sources in the western part of Japan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wave heights for 80 rupture scenarios were numerically simulated. The synthetic tsunami waveforms were obtained around the Uljin NPP site. The results show that the wave heigh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fault sources and the associated potential earthquake magnitudes. These wave parameters can be used as input data for the future PTHA study of the Uljin NPP site.
        4,000원
        572.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날로그 세계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록은 허물어져 사라지고, 사람의 기억은 희미해져 간다. 그러나 디지털 세계에는 망각이라는 것이 존재하 지 않으며, 모든 정보는 쉽게 복제되고 유통되므로 개인은 자신에 관한 정보조차 스스로 통제하기 어 렵다. 사람들은 디지털 세계에서 그들의 정보가 망 각되기를 원하였고, 그 결과 잊혀질 권리가 주장되 기 시작하였다. 전통적으로 잊혀질 권리에 관한 논의는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보다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유럽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2014. 5. 13. 유럽사법재판소에서 잊혀질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판결이 선고되었다. 그 판결에서 법원은 문제된 개인정보가 합법적으로 게재된 것이더라도 정보주체가 요구한다면 검색엔 진 운영자인 구글은 정보주체의 이름을 검색하였 을 때에 나타나는 검색결과목록에서 문제된 개인정보 및 그 정보가 게재된 웹사이트로의 링크를 삭 제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판시를 하였다. 잊혀질 권 리가 표현의 자유, 알권리, 검색엔진 운영자의 영업 의 자유 등을 침해할 위험이 있음을 고려할 때 위와 같은 판시는 정보주체를 과도하게 보호하고, 당해 정보의 게시자, 일반 인터넷 이용자, 검색엔진 운영 자의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 이 있다. 잊혀질 권리에 대하여는 각국의 전통, 문화에 따라 그 인정 여부, 범위 등이 상이하고, 우리나라 에서도 구체적인 인정 범위에 관하여 보다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데, 잊혀질 권리는 망각이 존 재하지 않는 디지털 세계에서 정보주체가 자신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해주 지만, 잊혀질 권리를 과도하게 인정해 줄 경우 그릇 된 자기표현 문화를 조장하여 오히려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향후 권리의 내 용을 구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5,800원
        573.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라식 수술 전과 후의 사위 측정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고 안구운동과 양안시 기능이 정상이며 교정시력이 1.0 이 상인 20~40세 사이의 40명(남자 17명, 여자 23명, 평균 연령 27.67±6.15세)을 대상으로 자 각식 굴절검사, 원거리 사위도, 근거리 사위도, PD, 계산 AC/A 비를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째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한 명의 검사자가 실시하였으며 자각식 굴절검사는 시험테와 시험렌즈 세트를 이용하여 단안에서 최고시력을 얻을 수 있는 완전교정값을 선택하였다. 수정 된 토링톤법으로 원거리 3m와 근거리 40cm에서 수직 및 수평사위를 측정하였으며 수직사위 가 있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은 -4.72±2.08D, 수술 후 등가구면굴절력은 -0.03±0.16D, 차 이는 -4.69±2.06D였다. 대상자 40명 중 근시가 남은 사람은 10명, 정시가 된 사람은 21명, 원시가 발생한 사람은 9명이었다. 수술 전과 후의 원거리 사위는 0.81±1.75Δ 외사위에서 0.73±1.75Δ 외사위로 0.09±0.41Δ 외사위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181). 수술 전과 후의 근거리 사위는 2.91±3.91Δ 외사위에서 3.44±4.02Δ 외사위로 0.53±0.91Δ 외사위의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수술 전후 측정된 근거리 사위에 원용 교정안경에 의한 조절 및 폭주 요구량을 보정하였을 때 근거리 사위는 3.59±4.16Δ 외사위에서 3.48±4.02Δ 외사위로 0.11±1.01Δ 외사위의 감소를 보였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491). 결론: 수술 전과 후에 측정한 원거리 사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근거리 사위는 수술 후 외 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나 수술 전과 후 측정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원용안경의 기저내방효 과와 조절 효과를 보정한 후 동일 한 조건에서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원용안경에 의한 효과를 보정한 근거리 사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수술 전 양안시 기능이 정상범위이거나 증상이 없는 경우, 수술 후 사위의 변화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57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교차결합제의 구조와 양 변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와 오플록삭신의 용출농도와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 재료인 HEMA (2-hydroxy ethylmethacrylate)는 Junsei에서 구입하여 증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하였으며, 개시제인 AIBN(2,2‘-Azobisiso butyronitrile)은 Junsei사에서 구입하였다. 교차결합제는 분자구조가 다른 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EGDMA)와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co-3,9-divinyl –2,4,8,10-tetraoxaspiro[5.5]- undecane)(U)을 사용하였다. 항균제인 ofloxacin과 단백질인 bovine serum albumin(BSA), lysozyme 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콘택트렌즈는 두 종류의 교차결합제에 대해 각각 0.5%, 5%의 농도를 사용하였으며 HEMA를 사용한 기본 hydrogel 콘택트렌즈, 고함수 monomer인 NVP와 저함수 mon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여러 종류의 monomer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물성으로 제작하였다. 약물용출 속변화를 시험하기 위 해 ofloxacin을 포함한 콘택트렌즈를 시간대별로 용출되는 양을 분과광도계(Cary 100)를 사용 하였다. 약물용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차결합제의 종류와 양에 따른 약물 속도를 비교하 였다. 본 연구는 총 12종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교차결 합제의 구조와 monomer 종류에 따른 약물용출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ofoxacin이 포함된 콘택트렌즈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을 때 보다 함수율이 약간 감소하였 다. 교차결합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고함수, 저함수 콘택트렌즈 모두 함수율이 감소하였으며, 굴절률은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교차결합제의 구조가 다른 EGDMA와 U 두 종류 모두 같았다. 단백질 부착양은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 더 많이 부착되었으 며 styrene이 첨가된 저함수 콘택트렌즈에서는 단백질이 더 많이 부착되었다. HEMA재질의 렌 즈에서는 Ofloxacin이 포함되었을 경우 단백질 부착이 감소하였으나, styrene을 포함한 렌즈에 서는 ofloxacin 존재 시 오히려 단백질 부착양이 증가되었다. 교차결합제에 따른 약물용출 속 도는 EGDMA보다 bulky한 구조를 가진 개시제 U가 EGDMA보다 더 빠르게 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EMA와 NVP의 경우, 초반기의 약물 용출 속도는 크나 6시간 이후에는 비교적 일정한 형태의 속를 보였다. 그러나 저함수 mom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콘택트렌즈는 용출 속도가 가장 낮았지만, 용출속도는 초반부터 비교적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차결합제로 U사용 시 EDGMA보다 함수율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굴절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약물용출속도는 저함수 monomer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었으며,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의 용 출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57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arried out design in order to reduce the process of asymmetric pinch yoke, one of the important parts which transfer power to wheels through gearing box in automobile steering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duce prime cos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by designing the total 8 processes including the up-setting and forging process of the No. 1 as the forging process the current method of production. The process with die stress analysis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new optimal die design. As this study result, it is expected that die life can be secured as excellent material flow and caused by forming load. A prototype has been produced by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and the reduction of the process was successful. As the unit price is lower than that of the current process, the competitiveness can be expected.
        4,000원
        57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rque control method and turn of nut method are specified as clamping method of high strength bolts in the steel construction specifications. Quality control of torque coefficient is essential activity because torque control method, which is presently adopted as clamping method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s affected by variation of torque coefficient. This study was foc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errors of installing bolts during tightening high strength bolts.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composed of 'wet' condition, 'rust' condition, 'only exposure to air' condition.
        57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result to characterize the behaviour of steel beams reinforcement by pultruded reinforced polymer strips. Steel beam members reinforced with different thick AFRP on bottom flange plate were tested under one point bending configur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ember force of one ply reinforced specimen was increased as 11% than control specimen when the two ply overlapped specimen was increased as 14% as usual.
        57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적곤충산업은 네델란드, 벨기에 등 유럽을 중심으로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과 미국 등에서도 천적이용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천적곤충의 개발 수준은 선진외국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일부 친환경 시설재배지 중심으로 정부보조의 형태로 이용 되어왔다. 경기도는 2007년부터 토착천적곤충 개발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시설재배지가 아닌 노지의 난방제 해충 방제 등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한 천적곤충으로는 총 4종으로 시설원예 진딧물 방제용 천적 꼬마남생이무당벌레, 국내최초 흰가루병 방제용 천적인 노랑무당벌레, 배과원 깍지벌레 방제용 천적 어리줄풀잠자리와 포도원 하늘소류 천적 개미침벌이다. 2012년 농림부 공모사업으로 “천적곤충산업화진원센터” 운영을 앞두고 있어 앞으로 활발한 토착천적 개발 및 보급, 홍보사업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농경지 병해충 방제용 천적 개발을 포함해 위생해충 방제용, 신문제(돌발해충) 방제용 토착천적 개발 사업을 진행할 것이며, 천적곤충과 이를 이용한 친환경 농산물의 차세대 소비자인 학생들이 교과과정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갈 것이다.
        57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기지역 주요 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피해가 우려되는 해충 발생을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으로 금년도 월동 꽃매미 난괴의 부화율은 68.9%로 전년도와 유사하나 월동난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발생밀도 또한 경기남부 일부 포도농가에서 낮은 밀도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미국선녀벌레와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장 피해가 우려되는 해충이다. 2010년 경기도 수원에 처음 유입된 미국선녀벌레는 경기북부 등 9개 시군으로 피해지역이 확산되고 있으며, 인삼 재배지 등에 큰 피해가 우려된다.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지역은 전년도(고양, 양주)와 같지만 발생량이 증가하였으며 금년도 월동난괴의 부화율은 68.4% 수준이었다. 2013년에는 지금까지 문제시 되지 않았던 귀뚜라미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연천, 포천 등의 인삼 농가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 또한 블루베리혹파리, 국화잎혹파리, 양란혹파리, 민들레혹파리(가칭) 등 혹파리들의 피해가 원예작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향후 해충의 지속적이며 돌발적인 발생에 대비하여 첨단장비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현장과 소통할 수 있는 예찰시스템 등 방제대책을 제시하였다.
        58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본뇌염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대표적인 감염병으로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의 일본뇌염바이러스가 원인 병원체이다. 국내에서 매개 모기종은 주로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로 알려져 있고 동남아시아에서는 본종외에 Cx. vishnui, Cx. annulirostris등을 포함하여 잠재적 매개능력을 지닌 여러 종의 모기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일본뇌염매개종에 대한 연구는 이(1971)에 의해 서울 및 근교에서 여름철 채집된 작은빨간집모기와 금빛숲모기(Aedes vaxans) 그리고 월동 중인 빨간집모기(Cx. pipiens)로부터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분리한바 있다. 최근 Takhampunya 등 (2011)은 경기도 파주지역에서 채집한 작은빨간집모기와 반점날개집모기(Cx. bitaeniorhynchus)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검출한바 있다. 과거 국내 일본뇌염 환자의 발생분포는 한반도의 남쪽에 높은 밀도를 보였는데, 이는 인구밀집 지역을 제외하고 매개모기의 발생지역과 대체로 일치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전국에서 산발적인 형태를 보이며, 매개모기의 분포 양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 등은 일본뇌염 발생의 역학적 규명을 위해 매개모기의 재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일본뇌염환자 발생지역과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산, 습지, 축사주변, 주거지역에서 Black light trap, BG sentinel trap, Fay prince trap, Gravid trap을 사용하여 모두 9속 20종의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를 분류 동정하여 바이러스 감염 조사를 한 결과 기존의 매개종으로 알려진 작은빨간집모기와 빨간집모기 이외에 동양집모기(Cx. orientalis)와 큰검정들모기(Armigeres subalbatus)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가 처음으로 검출되었고, 검출된 바이러스의 genotype은 모두 5형이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일본뇌염바이러스 전파는 작은빨간집모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모기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중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종은 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과 생태적으로 인체흡혈 기호성이 큰 종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정확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매개모기류의 흡혈원 규명, 바이러스의 월동 기전 및 국내 유입 등의 추가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