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4

        7127.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량어군탐지기에 의한 어류자원의 자원량 추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도 주변에서 많이 어획되는 돌돔과 독가시치의 두 어종에 대하여 어체의 유형자세별 등 방향 반사강도를 제한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돌돔의 전장과 체중에 따른 평균반사강도를 나타내는 식은, TS=-72.97+20 log L, TS=-61.29+20/3 log W 이었다. 그리고, 독가시치의 전장과 체중에 따른 평균반사강도를 나타내는 식은, TS=-63.16+20 log L TS=-50.50+20/3 log W 이었다. 주파수 200kHz용 송수파기에 의해 제한법으로 측정한 모든 실험어의 유영자세별 반사강도의 최대치는 돌돔인 경우-12˚--21˚, 독가시치인 경우 -1˚--8˚로 머리를 아래로 향하여 보다 깊은 수심으로 유영하여 가는 자세에서 최대치가 나타났다. 실험어에 대한 반사강도를 유영자세별로 평균한 결과, 실험어의 최대 반사강도는 돌돔의 경우 -18˚에서 -41.50dB이며 독가시치의 경우 -6˚에서 -30.69dB로 나타났다.
        4,000원
        7128.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 5월 29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남해안에서의 수심에 따른 수중광의 변화와 조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예망 상대유속을 측정하고, 권현망어구에 대한 체장 4~7cm정도 되는 멸치들의 도피 반응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해안 통영, 거제 부근 멸치어장에서 수심에 대한 수중광의 변화를 자연대수 곡선식으로 나타내면 광흡수 계수 c는 대표적인 관측점에서 주로 0.24~1.03 범위로 나타나서, 멸치의 어구에 대한 시인도가 어장에 따라 클 것으로 보인다. 2) 권현망어구의 원형그물과 1/2축소그물의 자루그물 입구부분의 상대유속을 기준으로 할때, 수비와 자루의 연결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1.46, 자루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0.67로 나타나서, 어구의 부위에 따른 상대유속변화가 멸치의 유영운동과 도피운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축소된 권형망어구에 있어서의 멸치의 대망행동을 관찰한 결과 수비와 자루연결부분에서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수는 평균 455미 정도였으며, 자루의 앞에서 예인방향으로 유영하는 깔대기를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 수는 평균 308미 정도로 나타나서, 어구 전체적으로는 상당수의 멸치들이 능동적인 도피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7129.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idents of institutional settings for the disabled people are likely to be a potentially nutritional at-risk group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utri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majority (85%) of the institutions was using a simple pre-set menu that consists of rice, soup or stew, kimchi, and two other side dishes. Some twelve percent of the institutions served only one side dish. The residents were consuming a diet of a low diversity with insufficient amounts of micronutrient rich foods. As a protein source, legumes and soybean curds, and eggs were served 90% and 94% of the time, while beef, pork or poultry, a better iron source, was served less than 2-3 times per month. Fruits were most infrequently served food items in these facilities with 38% of the facilities serving fruits only 2-3 times per month. With regard to the nutrition and health care management, the physical examination on the residents was conducted annually in 88.8%, routine hemoglobin measurement peformed in 66%,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in 10.9% of the surveyed facilities. The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manual will help ensure a safe and better quality food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which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nutrition of these people.
        4,000원
        7133.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tigue is the decline in force produced as a result of prolonged muscle activity. Localized muscle fatigue can be identified by a shift toward low in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EMG signal, typically represented by a fall in the median frequency. Previous studies show that a shortened muscle develops a higher fatigue than elongated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me-related change of median frequency and torque during maximal isometric back extension exercises at different exercise angles (, , , ). Twenty healthy subjects (mean age = )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edian frequency was extracted from the EMG signals by fast Fourier transform (FFT). Initial median frequency and the slope of median frequency change over time were computed from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used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lope of median frequency and torq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in y-intercepts of torque regression equation with respect to exercise angle were show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lopes of the median frequency and torque, and y intercept of the median frequency among exercise angles.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ope of median frequency and torque. 3) But there was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median frequency and torque at each exercise angle. In conclusion, the exercise angle during maximal isometric back extension exercise is not a direct effect on slope of median frequency and torque. But results showed that median frequency and torque shift were highly correlated in all subjects.
        4,600원
        7134.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nning of a hard insole in patients with hallux valgus. Fourteen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atient with foot pain at Lee Chang-Heon Foot Clinic from August 4, 2000 to September 15, 2000. The hallux valgus angle and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were radiographically measured before and after donning the hard insole. Based on these two kinds of angles, a mild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was characterized by the hallux valgus angle of less than 20 degrees, and a moderate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was characterized by the hallux valgus angle of 20 to 40 degrees. After three weeks with the hard insole donned, the foot angles of the patients with hallux valgus were measured again. The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fter the trial, both mild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and moderate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demonstrated that the hallux valgus ang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2) After the trial, mild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demonstrated that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3) After the trial, moderate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demonstrated that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bove findings revealed that according to donning hard insole, the hallux valgus angles of mild and moderate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s and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of mild hallux valgus deform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limitation for generalization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ubjec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ard insole on hallux valgus with more precise laboratory equipments and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hallux valgus.
        4,200원
        7135.
        200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이 입사되는 수광면에 그물망(web)모양의 얕은 P+ -diffusion 영역을 갖는 새로운 구조의 적색광 검출 Si pin photodiode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5V의 동작전압에서 측정한 결과, 접합 커패시턴스와 암전류는 각각 4pF와 235pA로 나타났으며 670nm의 중심파장을 갖는 1.6㎼의 입사광 전력 아래에서 광신호 전류와 감도특성은 각각 0.48μA와 0.30A/W로 나타났다. 제작된 소자는 종래의 circular type photodiode에 비해 개선된 감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670~700nm의 파장영역에서 최대 spectral response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web-patterned Si photodiode는 red light optics 응용에서 디지털 신호처리시 우수한 신호분리 능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3,000원
        7136.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훼손지에서 식생복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야생풀포기심기,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을 고려하여 입지환경이 다른 2개 대상지에 실험구를 설치한 후 4년(1997년~2000년) 동안 식생피복도와 종다양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신림지대와 초원지대에서의 복원실험은 야생풀포기이식,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으나, 야생풀포기이식 처리수준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의 식생복원 실험 결과 토양이 습한 산림지대에서는 야생풀포기이식 15%피복 처리수준에서 2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고, 종다양성은 3년만에 복원되었다. 또한 무처리구에서 3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으나,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바람이 많고, 토양침식이 심한 능선부 초원지대에서는 3년후에 야행풀포기이식과 30% 피복 처리수준에서 식생피복이 양호하게 이루어졌으며,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4,000원
        7138.
        200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