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어 통발어업의 어로작업을 자동기계화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통발어선과 어구 및 어로작업시간 등을 설문 조사한 다음 각 단계별 어로작업시간을 측정\ulcorner분석하였으며, 자동기계화에 적당한 통발어구의 구조와 규격 등을 파악하기 위한 해상 시험조업으로 어획성능과 실용성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직경이 13cm인 대형통발과 11cm인 소형통발의 어획시험 결과 통발당 어획미수나 어획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소형통발을 사용할 경우 유수저항을 20%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2. 외측돌기물에 의한 회전개폐식 입구의 경우 부설 중의 분실률은 끈으로 고정시키는 입구의 경우와 거의 같아 1% 정도이나, 회전개폐식의 작업시간은 훨씬 짧아서 3인이 하던 작업을 2인으로도 충분하였다. 3. 통발의 모릿줄에 다는 납침자와 돌을 제거하고, P\ulcorner P연심로프를 침강력이 동일하도록 납줄이 2~3가닥 들어 있는 연심로프 대체하면 고달이 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요철이 원만하게 되어 자동기계화에 의한 연속작업이 가능해진다.
연안해역에 저밀도 Froude수의 액체를 방류할 때 인근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중력분류의 혼합\ulcorner희석특성을 알아보았다. 연직방향방류시 밀도 Froude수가 작은 것이 분류의 퍼짐폭이 증대하여 방류수의 혼합\ulcorner희석이 활발해진다. 수평방향방류시 밀도 Froude수가 클수록 혼합\ulcorner희석효과가 증대된다. 수평방향방류가 연직수평방류보다 혼합희석효과가 뛰어나다. 수평방향방류시 다공관으로 방류하는 것이 단공관의 경우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방류수를 분산시켜 방류함으로서 주위수와 접하는 표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유리 원형 평판에서 힘의 세기가 1 dyne이고 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Heaviside계단 함수의 시간 의존성을 갖는 점 하중에 의한 진앙점에서 수직 변위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연필심 파괴시 방출되는 음향방출신호를 안정화회로가 부착된 Michelson 간섭계로 측정하여, 음향방출 발생원함수를 deconvolution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연필심 파괴시 방출되는 음향방출 발생원을 파 전면에 약 0.7μsec의 지속시간이 갖는 dip부분과 약 0.5μsec인 계단 상승시간과 약 4.5N의 힘의 크기를 갖는 계단함수의 형태였다.
200MHz ZnO변환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현미경을 제작하여, 도미비늘을 화상화하고 광학현미경에 의한 사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광학적 반사에 의한 표면의 화상과 초음파의 기계적 탄성적 표면하 반사에 의한 화상에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Fig. 13 및 14). 초음파 현미경은 고체재료 또는 생물조직 상(10(12)등 여러 가지 생물연구 등의 응용이 계획되고 있으며, 특히 초음파 의학의 분야는 그 활용이 눈부실 것으로 예측된다. 초음파 현미경의 제작 그 자체보다, 이것을 도구로 하여 여러 가지 학술적, 기술적 성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이 분야의 기초연구가 더욱 중요하게 생각되며 첨단산업분야에서도 비파괴검사 초음파 micro spectroscopy(U.M.S)등과 같은 물질의 탄성적 성질을 micro scale로 계측할 수 있는 등, 많은 활용이 있을 것이 예상된다. 또 초음파 현미경의 방법도 여러 가지이며, 이것을 계측수단으로 일반화하는 문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광학이나 전자장치 등과 함께 급속한 발전이 기대된다.
Imidazole계(系) 농약(農藥)인 prochloraz와 triazole계(系)인 triadimefon의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Valsa ceratosperma)에 대한 항균력(抗菌力) 및 지방산(脂肪酸)의 조성변화(組成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균(菌)이 생육(生育)하고 있는 PS액체배지(液體培地)에 두 약제(藥劑)를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값은 prochloraz의 경우는 1~5ppm이었고 triadimelon은 5~10ppm이었으며 prochloraz의 저해능(沮害能)이 다소 높았다. 균사(菌絲)의 현미경(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약제(藥劑)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모두 균사(菌絲)의 이상생육현상(異常生育現象)이 관찰(觀察)되었다. 균체(菌體)에 약제(藥劑)를 처리(處理)함으로 인해서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균체중(菌體中)의 총지질(總脂質) 및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本 硏究는 都市 主婦 124 名을 대상으로 設問 紙法을 이용하여 食生活에서 나타나는 男·의 差異를 調査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成長期에 男子형제에 비해 불균형된 食品 分配를 받았던 主婦가 全體의 약 38%로 나타났으며 특히, 육류와 특별한 행사음식의 分配에서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 이러한 불균형된 식품분배의 원인은 식품 供給의 부족보다는 男兒先好思想이 더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3) 현재 食事形態, 內容에서 男女의 구분은 사라지고 있었으나, 아직도 47.7%의 主婦가 아들의 食事內容에 더욱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나서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意識의 변화에 반해 여전히 sex bias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4) 經濟的 요인인 가정의 월수입과 社會的 요인인 主婦의 敎育水準은 식생활에서 나타나는 男·女差異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주부의 敎育水準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食生活에서 나타나는 男女差異를 반대하는 경향이었다.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366 was isolated to produce a strong sucrose hydrolyzing enzyme. After entrapment of yeast cell invertase with alginate, enzymatic properties of immobilized cel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pH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and pH stability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respectively. 2. Activation energy of immobilized cells was 4.7㎉/㏖. 3. The immobilized preparation exhibited high resistance to heat and urea induced denaturation. 4. The bead size less than 2㎜ in diameter was desirable. 5. In spite of repeated use, the enzyme activity of immobilized cells was inhibited slightly in batch reaction, and a small column of the immobilized preparation could hydrolyz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almost quantitatively to more than 6 days.
한국의 고전문학은 주로 한문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그만큼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술과 관계된 문학에서는 그 생산에 있어 특히 누각(樓閣), 정자(亭子)라는 특수한 장소를 생각하지 않을수가 없다. 누정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는 다락 모양의 건축물로 산수 좋은 높은 곳에 세워졌다. 이 누정(樓亭)은 문학 특히 시의 산실로서 옛날의 많은 선비들은 누정(樓亭)에 모여 의례히 술잔을 돌리면서 시회(詩會)를 열었다. 누정(樓亭)과 관계된 문학자료는 한없이 많으며 이 누정(樓亭) 문학에는 한결같이 술이 게재되어 있으므로 누정과 문학, 그리고 술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시조문학과 술과의 연관된 노래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시조의 대가이며 술의 달인이랄 수 있는 면앙정종순(?仰亭宗純), 송강, 정철이나 임백호(林白湖)의 시조와 고려때의 이규보(李奎報)의 시 들에서 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결국 문학과 술의 공통성은 진실에 있기 때문에 서로 가까워진 것이 아닌가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tea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an-shu-yu, Gugiga, Ginseng, Younggi and coffee on the hematology of rat. Gugiga, Shan-shu-yu, Younggi and Ginseng tea were adimistrated 3g/day/rat with feeding, respectively. Coffee was adminstrated 1.8g/day/rat. The mixing ratio of mixed tea were 1:1 (w/w). According to the feeding days (10, 20, 30), enzyme activities and chemical components in serum and change in whole blood were determined. 1. The activities of s-GOT and s-GPT of rat administrated Shan-shu-yu, Young-gi, Gugiga, Ginseng and their mixed tea were increased at the normal ranges, and coffee and it's mixed te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ther, group (p〈0.05). 2. In coffee and it's mixture groups, the content of s-glucose and s-cholesterol were remarkably increased (p〈0.05), but in others (except coffee additive group) were decreased than coffee and it's mixture groups. 3. In all groups (except coffee addivite groups), the range of WBC, RBC, Ht and Hb was 7.30-8.00 (×103/mm3), 8.18-9.00 ((×106/mm3), 50-60 (%) and 16.10-17.40 (g/d), respectively and in strict coffee group, the level of WBC, RBC, Ht and Hb was 8.90±0.40, 8.10±0.37, 49±0.38 and 14.90±0.44 (p〈0.05), respectively.
In this treatise, the kinds of main dishes and the frequency of them, and the materials, the variation of recipe, the measuring units, the cooking utensils, and the measuring terms, which used for making main foods were studied from the books published from 1670 to 1943 in Korea. 1. Main dishes were classified as Bap, Zook: Am-Zook, Mee-Um: Yue-Yi: Won-Mi, Guck-Soo: Naeng-Myun, Man-Doo: Duck-Guk: Soo-Jae-Bee. 2. There were 115 kinds of main dishes including 21 kinds of Bap and Yack-Bap, and 34 kinds of Zook and Am-Zook, 11 kinds of Mee-Um, Yue-Yi and Won-Mi, and 21 kinds of Man-Doo, Duck-Guk and Soo-Jae-Bee. 3. There were 41 kinds of measuring units used for making main dishes including 17 kinds of volume units, 3 kinds of weight units, 14 kinds of quantity units, 4 kinds of units for length, thickness, and 3 kinds of the others. 4. There were 62 kinds of cooking utensils among which Ssot (iron-pot) was the most widely used, but nowadays the most of them were rarely used due to automatization and mechanization of living tools. 5. All cooking terms were 148 kinds including 52 kinds of terms for the preparing process, 24 kinds of terms for the mixing process, 30 kinds of terms for the making-shape process, 18 kinds of terms for the heating process, 16 kinds of terms for the chopping process, and 8 kinds of terms for the setting process.
실험선 제주 402호의 조종성능을 전속전진중 최대타각으로 전타한 때의 선회권측정과 10˚, 20˚, 30˚Z시험에서 산출된 조종성지수를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회종거는 우현선회시가 79.1m로 배의 길이의 약 2.6배였으며, 좌현선회시는 81.4m로서 배의 길이의 약 2.7배였다. 또, 선회경은 배의 길이의 약 2.6배로서 우현선회시가 78.3m로서 좌현선회시 80.4m보다 작았다. 2. 선회권시험시 속력저감율은 0.49였으며, 평균선회각속도는 우현선회시가 4.3˚/sec, 좌현선회시는 4˚/sec이었다. 3. Z시험 결과 over shot angle은 우현전타시가 좌현전타시보다 더 컸으며, 좌우타전타시의 평균값은 10˚Z시험시가 10.5˚, 20˚Z시험시가 20.5˚, 30˚Z시험시가 29.5˚로 다소 큰 편이었다. 4. 10˚, 20˚, 30˚Z시험에서 K' 및 T'의 값은 각각 0.755, 0.566, 0.481 및 3.468, 1.621, 1.547로서 대체적으로 선회성은 대각도 전타 일수록 나쁘거나, 추종성은 대각도 전타 일 수 록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