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현상은 지구 전체에 걸쳐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문 변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유출의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대청댐유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은 1982-1995년의 월평균 하천유량을 이용하였고 1996-200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변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88-2002
본 연구는 농촌소유역(1.21 )에서 다양한 공간입력자료의 해상도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수문-수질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Case A(2 m DEM, QucikBird 토지이용도, 1/25,000 토양도), Case B(10 m DEM, 1/25,000 토지이용도, 1/25,000 토양도), Case C(30 m DEM, Landsat 토지이용도, 1/25,000 토양도)에 해당하는 해상
Recently,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approaches employing Rao-Blackwellized particle filter (RBPF) have shown good results. However, no research i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 representation of SLAM using RBPF (RBPF-SLAM) when particle diversity is preserved. After finishing the particle filtering, the results such as a map and a path are stored in the separate particles. Thus, we propose several result representations and provide th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ons. For the analysis, estimation errors and their variances, and consistency of RBPF-SLAM are dealt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combining data of each particle provides the better result with high probability than using just data of a particle such as the highest weighted particle representation.
이 논문은 부산항 방파제 진입항로에서 강한 횡조류가 있는 경우 60,000 DWT의 파나막스 선박의 조종에 있어 선속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년 이상의 선장 경력을 가진 76명의 조종자가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선박의 근접도 계측, 제어도 계측, 조선자의 주관적 계측을 통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조류는 남서 방향, 2노트이고 독립 변수인 선속은 각각 5노트, 10노트로 한다. 시뮬레이션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산항 방파제 진입항로에서 선속 5노트인 경우 드리프트 앵글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선수가 방파제 입구를 벗어나게 되므로 조종자는 심리적으로 이 각도 이상은 취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2) 선속 5노트에서의 경우가 선속 10노트보다 주관적 계측치, 선박의 근접도, 제어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 (3) 선박의 제어도 계측 항목을 무차원화하여 이를 단일 지표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존하는 교량의 실제적인 거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방법의 개발은 보수보강이 필요한 교량에 예산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운영의 경제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량의 형태와 설치 지역의 활하중의 특성을 고려하며 활하중에 교량이 반응하는 실제적인 거동을 파악하여 실제적인 교량의 내하력 평가 이외에도 평가대상 교량의 선정 및 평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교량의 유지 보수에 사용되는 예산의 보다 효율적인 집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량 현장실험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신뢰성 해석에 반영하여 보다 실제적인 교량 안전성 평가의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17개의 강거더 교량에 대해 기존의 교량 실험 결과를 토대로 교량의 내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2단계의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대상교량에 대해 설계에 사용된 계수 및 공칭강도를 이용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2단계 신뢰성 해석에서는 교량 실험 결과를 신뢰성 해석에 포함하였다. 해석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교량실험을 통한 각종 구조적 계수의 불확실성 제거를 통해 교량의 안전성을 저해하지 않고도 대상 교량의 신뢰성이 대폭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고밀도폴리 에틸렌 고건전성용기에 담은 폐수지의 운반을 위해 원전 폐수지의 방사능 분석결과를 사용하여 운반물 등급 분류방법을 도출하였다. 원전 폐수지의 방사능 분석결과로부터 폐수지 내 핵종 존재비를 구하였고, 폐수지의 표면선량률로 핵종재고량을 평가하기 위해 MCNP 코드로 방사능대선량 환산인자를 모사하였다. 이로부터 고밀도폴리에틸렌 고건전성용기에 담은 폐수지에 대한 A형 운반물과 B형 운반물의 경계값은 1.19 TBq 이고 이를 표면선량으로 환산한 결과는 124.2 mSv/h임을 알 수 있었다.
프탈레이트는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되지 않지만 네일락카, 헤어스프레이 제품류 등에는 혼입 또는 오염에 의해 제품 중에서 검출되어 시민단체 등에 의해 지속적인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에 이들 제품에 대한 정확한 함량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프탈레이트 시험은 수질 또는 환경시료 등에서 다량의 유기용매로 추출/농축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광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미량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화장품 분석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으며 화장품 분석에 적용되는 공인시험법도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질량분석기의 가격, 시료전처리 및 기기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적지 않아 일반적인 품질관리에 적용하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특히 프탈레이트의 ppm 수준 이하 농도 분석시에는 기기 및 기구, 시약 등의 오염에 의해 분석결과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인해 정확한 분석기술과 분석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일락카와 헤어스프레이 제품 분석에 적합하며 품질보증(quality-assurance ; Q.A)을 위한 시험에도 유용하도록 저비용의 범용적인 기기를 사용하면서 ppm 농도의 프탈레이트를 빠른 시간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이 방법은 유기용매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며, 시료전처리 시간과 단계를 줄여 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저비용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를 사용하여 제품 내 2 ∼ 50 g/g (ppm) 농도의 프탈레이트를 검출하는 분석법으로 관련업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05년 한 해 동안 기술공급을 위한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약24조 1천억 규모로 세계 7~8위 수준이나, 절대규모 면에서는 미국의 1/13(‘04년 기준), 일본의 1/6(‘03년 기준) 등으로 여전히 낮고 정부․공공부문 투자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간 조금씩 줄어 ‘05년 기준 24.3%로서 선진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성공률은 30% 정도로 조사되고 있다.
기술공급은 크게 정부․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민간부문의 기술공급은 기업의 자체 경쟁력 확보와 이윤창출이 목적이므로, 정부의 연구개발비를 바탕으로 국공립연구소와 출연연구소 및 대학이 수행한 연구개발결과는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에 적합한 기술공급원이 될 것이다. 기술공급자 관점의 기술이전은 연구개발 투자비와 이에 수반하는 기회이익을 금전적으로 회수하여 신규 투자재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기업에 대한 기술확산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를 지원해야 하는 정부 출연연구소에 있어 기술이전 및 사업화는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의 효율을 가늠하게 한다.
기술평가는 기술의 옥석을 구분해 자원을 배분하고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며 자칫 사장될 수 있는 우수기술을 발굴해서 신산업 창출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게 한다. 특히 정부의 기술이전·사업화 관련 정책은 초기 단계의 기술을 사업화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이는 기술창업 활성화를 통해 국가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는 초기 단계의 기술을 사업화하는 경우 많은 위험을 관리해야 하는 안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런 차원에서 기술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공감대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기술평가는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기술력평가, 기술사업성평가 및 기술가치평가로 구분하고 있다. 즉 기술평가는 사업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등급 또는 점수, 가액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사업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술 외에 생산설비, 원자재, 시설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적․기술적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 기술가치평가는 개별기술의 가치를 금전적으로 측정한 것 즉 특정기술이 기업의 수익에 공헌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화폐금액으로 산정한 가치로서 기술이전, 기술출자, M&A 등에 필요한 기술가치를 구체적인 금액으로 환산하는 것이다. 기술가치평가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므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데, 기술로부터 발생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의 합으로 평가하는 수익접근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하는 비용접근법, 그리고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사기술의 매매가격(시장가치)을 추정하는 시장접근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국내 개발기술의 사업화에 있어 기술평가의 활성화를 이루는 데는 기술성 위주의 평가 외에 기술의 사업화 성공 가능성과 수익창출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의 시장성 및 사업성 측면에서의 평가가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개발기술의 기술성, 시장성 및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술평가 및 가치평가의 결과를 신뢰하여 기술이전, 기술투자, 기술출자, 기술담보 등의 사업화에 필요한 후속 단계가 진행되어져야 한다. 기술사업화가 활성화되도록 신뢰할 수 있는 평가모형과 사업화에 연계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게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게임을 하는 이용자들로부터 재미와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의 기존 시나리오들은 이용자들에게 새로움과 즐거움을 주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새롭고 창의적인 시나리오보다는 기존의 시나리오를 변형, 파생되어 만들어져서 재미 보다는 식상함을 많이 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기업들은 자사의 고객확보를 위해 새로운 시나리오를 선보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 부족, 이용자들의 욕구 파악 미비 등으로 인해 욕구에 맞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임 개발에 중요 속성인 시나리오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게임 시나리오 중 시놉시스의 결과 변화여부가 게임 이용자의 호감도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파악하여 게임 시나리오 개발에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약 60%의 이용자들은 시나리오가 게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모험 및 전쟁 등의 전체내용에서 주인공이 구출 미션을 완수하는 시나리오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