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QMS) standard is an effective tool that can consistently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stakeholders and promote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However, in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not only quality issues but also risks in various other area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risks related to product safety problems which are arised from product convergence, diversification of methods of production and globalization of supply chain pose a great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companies. Accordingly, ISO published standards of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PSMS) for suppliers such as ISO 10377 and ISO 1039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integration framework of QMS and PSMS based on ISO international standard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of QMS and PSMS are analyzed and the requirements of the both systems are integrated based on the Plan-Do-Check-Act(PDCA) cycle and risk-based thinking. In addition, guidelines that can systemize the integrated requirements are presented in the aspect of processes and document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line that helps companies that have already acquired QMS certification to build an international level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early.
This study analyzed the reproductive biology, fishing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ishing business of Liparis tanakae, snailfish collected from September to March. It was the period when they were mainly caught from 2018 to 2020. The average length was generally small in September and October and was large in January and February. The average body weight was generally around 1,500 g and the average body weight in autumn was lower and in winter was higher. The sex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0.40:0.60 (χ 2 test, p < 0.05). The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from October to February and the main spawning period was from December to February through the GSI. The egg diameter of matured staged female L. tanakae was 0.11-1.48 mm, which was the main spawning peri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fecundity was F = 1849TL0.1093 (r2 = 0.2401). The monthly catch of L. tanakae was high from November to February, the time of migrating to the coastal area. Coastal gillnet fisher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fisheries catching Liparis spp. Liparis spp. were caught at a high rate in winter in Chungnam, Jeonbuk, Jeonnam and Gyeongnam region, and revenue and cost was increased since 2017. Assuming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atch of Liparis spp., the fishing profit that can be obtained was the highest in Gyeongnam region and the dependence on fishing of Liparis spp. by coastal gillnet fishery was high.
한국 기업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로 사외이사제도가 법제화되었다. 이는 지배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공감대에서 소위 ‘global standard’를 따르는 것이라는 논리가 적용된 결과이다. 그러나, 사외이사제도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상황을 전제하고, 최고경영자를 이기적 기회주의자로 가정하는 대리인이론에 근거한 대표적인 내부통제메커니즘이다. 한국 기업과 같이 소유와 경영이 철저하게 분리되지 않은 상황과 획일적으로 최고경영자가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이라는 무리한 가정에 근거한 대리인이론의 처방이 한국 기업들에게 기대한 효과를 가질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대리인이론에 따르면, 가족경영자(family CEO)의 경우에는 소유권이 일정 부분 확보된다는 점에서 주주와의 이해관계상충이 완화되기 때문에, 대리인문제를 적게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국에는 대주주집단으로서의 지배주주일가가 존재하고, 가족구성원이 최고경영자를 맡고 있는 가족경영자 기업이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기업 형태이다. 또한 지배주주일가와 가족관계에 있는 가족경영자를 이기적 기회주의자로 바라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대한 보완적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이 stewardship이론이다. stewardship이론에서는 이타적이고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조직의 성공을 우선시하고 조직과 본인을 일치화하는 steward로서의 최고경영자를 제시한다. 가족경영자는 기업을 자손에게 물려주고자 하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기업의 생존을 중요시하고, 기업과 정서적으로 강력하게 연결되어 일체감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결국, 대리인이론이나 stewardship이론에 따르면 가족경영자가 전문경영자에 비해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기업경영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기업에 법제화된 사외이사제도를 살펴보면, 먼저 대리인이론의 측면에서는 소유권이 기대되어 이해관계상충이 완화된 가족경영자에게 감시메커니즘인 사외이사제도를 함께 실행하면, 내부통제메커니즘 간의 상호보완적인 속성으로 인해 사외이사제도가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stewardship이론은 steward인 최고경영자에게 대리인이론에 근거한 내부통제메커니즘의 실행은 최고경영자로 하여금 좌절감과 배신감을 가지게 하여 장기적 시각을 버리고 근시안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외이사제도의 부(-)의 조절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사외이사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2002년부터 2006년 간 국내 상장 제조기업의 panel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가족경영자인 경우 장기적 고위험 투자인 연구개발투자를 유의하게 많이 하였고, 사외이사제도의 조절효과는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어, 한국에서의 가족경영자는 steward인 최고경영자로 바라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의 위협이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가운데 사회 전반적으로 녹색 경영의 중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흐름을 반영하여 녹색 경영을 실행하는 기업들이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녹색 경영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녹색 경영의 의의와 중요성, 녹색 경영의 성과, 그리고 녹색 경영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하여 다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녹색 경영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내부의 촉진 동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66개 중소 기업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외부 연계, R&D 역량, 그리고 조직 문화 모두 기업의 녹색 경영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독립 변수들 가운데 조직 문화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녹색 경영 요소들 간의 관계를 주로 살펴본 기존 연구들과 달리, 녹색 경영 실행에 대한 기업 본원적 요소의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의의가 적지 않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기업 본원적 요소의 영향에 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절화 국화 ‘백마’를 재배하고 있는 관행농가와 스마트팜의 시설현황, 재배환경, 절화생육 및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하였 다. 관행농가는 비닐하우스에서 토경으로, 스마트팜은 유리온 실에서 양액재배하고 있었다. 스마트팜은 광량, 온도, 습도, CO2, 풍속, 강우, 양액 pH와 EC 측정을 위한 센서들을 갖추어 자동제어하고 있었으며, 실시간으로 컴퓨터와 휴대전화 어플 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실을 관리하고 있었다. 반면에 관행농 가는 환경 측정용 센서와 관비재배용 pH와 EC 센서들이 전혀 없었고, 모든 시스템들을 수동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시설 내의 주간과 야간온도는 관행농가에서 생육 적온보다 낮게 관리되고 있었다. 관행농가의 토양 EC는 3.2dS・m-1로 높게 나타나 절화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팜은 1.1dS・m-1 로 적절하게 관리하고 있었다. 재배방법에 있어서 토양소독은 관행농가에서는 실시하지 않았으며, 스마트팜에서는 과산화수 소를 이용하여 토양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 외에 재배방 법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관행농가에서 응애가 많이 발생하 여 피해증상이 나타났다. 절화장, 화폭, 생체중, 엽록소 함량 등과 같은 절화 생육은 관행농가보다 스마트팜에서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 측면에서 1,000m2 기준으로 순이 익은 관행농가에서 -419천원이었고, 스마트팜은 4,484천원이 었으며, 생산량과 수취가격이 관행농가보다 스마트팜에서 각 각 22%와 5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절화의 생육과 경영성과의 차이는 스마트팜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정 밀 생육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customer integration, which is a type of integration in the supply chain, and market orientation of supply chain on the resulting change in the supply chai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integration and market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The decreased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had a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customer integration and market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directly by decreasing the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Third, the effect of customer integration and uncertainty of SCM on the flexibility of SCM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supply chain; the effect was larger in the distribution grou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the ability to deal with market changes in the overall supply chain is improved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through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cluding sharing information with trade partners and integrating systems, and implementing customer integration based on these achievement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busin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anies in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형통신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에서 2019년까지의 경영효율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경영효율성지수와 경기변동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발견 된 사실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우리나라 대형통신기업은 지난 20년간에 걸쳐 경영효율성수준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2)통신 3사 중에서 SK텔레콤이 가장 높은 경영효율성을 보여주고 있고 KT 가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여주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중간수준의 경영효율성을 보여주었다. 3)우리나라 통신3사는 규모의 수익 면에서 수익감소적인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2010년 이후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4)통신3사의 경영효율성과 경기변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매출역모형에서는 순경기순 환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부가가치모형에서는 역경기순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5)통신기술의 도입과 통신시장 세계화에 대비하여 대형통신기업들의 경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대안을 시급하게 강구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rporate, supplier, and customer integrations for domestic SMEs on non-finan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SCM performance such as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on 286 SMEs in Korea,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CM integration level, SCM performanc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M integr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which are SCM performances. Second,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bu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positively. Thir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CM integration level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hat it affected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which are SCM performances. That is, although the SCM integration level did not directly affect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SCM performances, flexibility and uncertainty redu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M integration leve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SCM performances and overall management performance.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to focus on competency in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SCM performance expected by SMEs, and the step by step approaches to the expected effects. In a situation where prior SCM related studies have not been able to present SCM performanc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MEs that are relatively lacking in their capital and SCM construction cap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importance of SCM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MEs.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MEs,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equential approach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s required (SCM performance → management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factors to be established through SCM. 1
As globalization has been progressed, companies faced a situation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only with their internal management systems. To overcome this, Supply Chain Management (SCM) emerged, which optimizes the whole supply chain process from suppliers to demand companies.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s of customer integration among the integration factors of SCM, and market orientation among the strategic orientations on management performances such as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a mediating role of flexibility. At this time, it was analyzed whether CEO's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the market orient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ustomer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the flexibility. The marke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affected it through the flexibility.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more the level of CEO's support, higher the influence of the market orientation. This moderating effec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various implications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were proposed. This study suggests that investments in computerization such as ERP and smart factories can improve supply chain management performance and ultimately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본 논문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관련된 국내의 실증연구를 주요 연구경향인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 요인, 구성 관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라는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정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문헌연구 6편을 살펴보았다. 선행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2000년부터 2019년 최근까지 국내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5개(경영학연구, 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산업관계연구)에 게재된 고성과작업시스템에 관한 논문 중에서 개별 관행이 아닌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전체(HR Bundle)를 다루고 있는 34편의 실증논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구성 관행은 Pfeffer(1998) 가 제시한 7개의 관행(신중한 선발관리, 광범위한 교육훈련, 성과와 연계한 보상, 고용보장, 지위격차의 해소, 정보공유, 자율관리팀과 의사결정의 분권화)을 바탕으로 크게 숙련형성, 동기부여, 참여기회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도입을 저해하거나 촉진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했다. 경영성과는 인적자원산출물, 조직산출물, 재무회계산출물과 자본시장산출물을 기준으로 분류해 보았으며,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서 조직성과에 기여하게 되는지를 과정요인과 상황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강성춘·박지성·박호환(2011)에서 향후 연구과제로 제안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조직수준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고성과작업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개인수준까지 확대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고용형태별 차이 등을 고려한 상황적 특수성을 반영하려는 노력도 시도되고 있었다. 둘째, 고성과작업시 스템과 관련된 대다수의 연구에서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는 구성 관행이나 경영성과 요인이 실제 기업에서 우선순위를 두는 방향과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이주형·이영면(2010)의 연구에서 한계로 언급했던 재무적 산출물 중심의 경영성과지표는 변함이 없었으나, 최근에 연구에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재무성과로 이어지기까지의 경로가 멀다는 인식하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보다 두드 러진다. 넷째, 많은 연구에서 동일방법편이와 함께 횡단연구의 한계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실제로 종단연구는 많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한국적 특수성과 국내기업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prioritie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factors and calculated the priorities through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first layer of the hierarchy have 4 factors; productivity increase, brand image improve, marketing improve, cost reduction. The second layer of the hierarchy have 3 factors belong to the first layer, so the total number of second layer is 12. We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into type of manager and age. The C.R. (consistency ratio) values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less than 0.1 and were judged to be a 'reasonable test'. As a result, the weights of the higher layer and the lower layer were obtained respectively, and then the weights of the higher layer and the weights of the lower layer were multiplied to obtain the total weight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surveyed factors that companies consider when introducing smart factory, (1) weighing and prioritizing factors were achieved. There are differences in priorities, (2) smart factory can be studied with the type of manager and firm age. When establishing policies, it is a practical implication (3) to assess its strategy not only for government officials but also for executives.
본 연구는 신흥국 기업이 국제인수합병 시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국제인수합병 시 인수기업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혼재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제인수합병 시 인수기업 최고경영자가 갖고 있는 정치적 연계는 전략적 자원으로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시그널을 주지만 정치적 연계로 인해 생기는 정부-기업간 이익충돌 문제는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시그널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흥국 기업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국제인 수합병 시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도적 관점을 적용하여 시장 환경의 조절효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중국 상장기업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한 국제인수합병 359개 사례를 표본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제인수합병 시 인수기업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는 정부의 지대추구 행위(rent-seeking behavior)로 인해 정부와 기업 사이 주인간 갈등(principal-principal conflict) 문제를 일으켜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시그널을 주어 기업의 시장가치에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인수기업이 위치한 지역의 시장화 정도가 높을수록 투자자들은 정치적 연계와는 상관없이 기업의 행위를 더욱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인수합병 시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은 약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피인수기업이 위치한 투자국 거버넌스가 좋을수록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 는 인수기업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하여 국제인수합병 시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에 관해서는 논문 마지막 부 분에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 된 파라과이 KOPIA 센터의 참깨 시범마을 사업의 경영성과와 투자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범사업 참여농가는 1,172천~2,928천Gs/ha의 수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기준으로 산출할 경우 연간 760$ 이상의 소득 증가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사업 투자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된 B/C Ratio는 1.52로 분석되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농가들의 만족도를 7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시범사업의 전반적인 만족도, 소득증가에 대한 만족도, 수량증가에 대한 만족도 모든 항목에 대해서 만족함, 매우 만족함에 응답하였다. 계속 참여의향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균일성에 대한 만족도가 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파라과이 KOPIA센터의 참깨 시범마을 사업의 성공요인은 첫째, 적합품목의 선택, 둘째, 현지 적응 신품종의 선발 및 보급, 셋째, 수동파종기, 배무식 분무기, 공동경운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노동력을 절감, 넷째, 적정시비량, 윤작체계, 친환경 엽면시비 등의 재배교육을 통해 농약과 비료비는 절감하고, 수확량 증가와 품질향상을 도모한 것 등이다. 특히,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 목화의 대체품목이며, 생산 증가에도 가격하락 위험이 적은 수출품목인 참깨를 선발한 부분과,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지적합 품종을 선발했다는 점, 수동파종기와 배무식 분무기, 녹비작물, 지렁이액비 등 저소득 농업인이 지속적으로 수용 가능한 기술이 보급되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