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14

        8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and identify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 the overall efficacy of the system.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in order to analyze how individual motivation affects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and postal mail from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all across Korea, and self-administered surveys were conducte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irst,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were analyzed in 6 different categories. Second, the significant pathways were 6 out of 9 in the ETPB model. Sustainable food service practices in school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ore a sustainable culture, such as through the encouragement of more healthy eating habits, and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mmunity awaren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practices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improvement programs aimed at increasing sustainable practices.
        4,300원
        8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계획은 수질 오염으로 인해 환경, 문화, 경제 등의 피해를 받은 집단에, 단지 조성을 통해 그들이 받은 피해를 복구할 수 있는 계획 기법에 관한 것이다. 경기도 평택시 평택호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으 며, 피해 집단을 포용하기 위하여 대상지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해결책으로 하는 전략을 구상하였 다. 오염원을 단지 내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순환시켰으며, 그동안 오염으로 부터 피해받고 단지 계획 과정에서 배제되었던 집단을 단지의 조성과 운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수질 오염으로 인해 쇠퇴한 수산업을 새로운 산업으로 재창출하였으며 폐기물을 활용 하여 어류 서식지를 조성하고 문화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자본을 순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운영을 구상하여 단지가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계획은 대상지의 오염원을 활용 하여 주민의 자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과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함으로써 도시의 개발 과정에 서 피해받고 소외되었던 집단을 포용하는 단지 계획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4,000원
        8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공원계획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공원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 기 위한 목적으로 근린공원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 조성에 대한 주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남원시 공원 두 곳을 선정하여 각 공원의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된 내용 을 바탕으로 공원 성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공원 조성방향 설정을 위하여 항목별 중요도와 응답자의 인구특성에 따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원 조성의 방향은 근린형과 관광지형의 이분형 범주를 사용하였으며 중요도는 5단계 리커트 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조성방향은 인구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단순 근린공원보다 는 관광지 기능의 복합공원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주민은 근린 생활공간으로서 서비 스 제공 요구도가 높은 반면 상인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요구도도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공원계획을 통해 주민참여형 공원계획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8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pic of this study is the field of humanitarian logistics for disaster response. Many existing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mpliance with the golden time in response to a disaster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relief activities, and logistics costs account for 80% of the disaster response cost. Besides, the agility, respons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humanitarian logistics system are emphasiz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ster situ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rgency of life-saving and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other words,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gistics activities in disaster response, which includes the effective and efficient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This study proposes a mathematical model for establishing a transport plan to distribute relief supplies in a disaster situation. To determine vehicles’ route and the amount of relief for cities suffering a disaster, it mainly considers the urgency, effectiveness (restoration rate), and uncertainty in the logistics system. The model is initially developed as a mixed-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MINLP) model containing some nonlinear functions and transform into a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 model using a logarithmic transformation and piecewise linear approximation method. Furthermore, a minimax problem is suggested to search for breakpoints and slopes to define a piecewise linear function that minimizes the linear approximation error. A numerical experiment is performed to verify the MILP model, and linear approximation error is also analyzed in the experiment.
        4,200원
        8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00 톤급 해양플랜트 상부구조물(Topside)의 플로트오버 설치작업을 위해 개발된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 (Deck support frame)의 구조설계에 대해 다양한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최소중량설계와 민감도 평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의 주요 구조부재의 두께 치수 변수는 설계인자로 고려하였고, 응답치는 중량과 강도성능으로 선정하였다. 최소중량설계와 민감도 평가의 비교연구에 사용한 실험계획법은 직교배열설계법, Box-Behnken 설계법, 그리고 Latin hypercube 설계법이다. 실험계획법의 설계공간 탐색의 근사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표면법을 각 실험계획법 별로 생성하여 근사화 정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최소 중량설계를 위해 최상 설계안의 결과로 부터 실험계획법의 특성에 따른 수치계산 비용, 중량감소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수동형 갑판 지지 프레임의 구조설계에 대해 Box-Behnken 설계법이 가장 적합한 설계 결과를 나타내었다.
        4,200원
        8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rkets are the basic urban facilities for maintaining daily life. Although the urban structure changed rapidly and the population quickly concentrated in the city, the markets remained traditional and backward.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small excess market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pushed ahead with the market modernization plan since 19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arket modernization plan and the progress of this project, and to identif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is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The market modernization plan aimed to modernize market operation system as well as buildings, and the Government was able to achieve its first goal by enforc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as the markets were newly built with the relatively large scaled fireproof structures. Despite its various limitations, these markets were also regarded as the model of the modern market.
        4,600원
        8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노인들의 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고령친화 주거단지 환경계획을 그 목적으로 한다. 장시성 상라오시에 거주하는 노인 306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가시간 동안 산책과 대화, 간단한 쇼핑, 경작과 가드닝, 장기두기 등의 활동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 대상지는 입구·경관구역, 생활교류구역, 생태재배구역, 생활주거구역, 야외활동구역 및 완충식재구역으로 구분하였다. 단지 내 차량과 보행동선을 분 리하였으며, 생활교류구역 내에는 만남, 산책, 이벤트 및 판매 등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였다. 노 인층의 원예욕구를 반영하여 생태재배구역을 조성하였으며, 무장애 플랜터박스 및 온실을 설 치하였으며, 손자, 손녀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야외활동공간을 조성하였다. 커뮤니티 가로계획과 관련하여 무장애 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우물, 마당 등과 같은 랜드마크 시설을 도입하여 공 간의 식별성을 높혔다. 또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차분리 및 전통성 도입을 위한 포장설계 등 의 디테일이 추가되었다.
        4,000원
        8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의 관광명소인 전설의 섬 삼학도는 과거 개발의 시대에 매립되어 육지로 변해버린 곳이다. 그런데 이 삼학도를 섬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시도가 21C 환경시대에 시민들의 노력으로 시작 되게 된다. 삼학도 복원화 사업은 지금도 진행 중이며, 부분적으로 공원 및 공공건축물 등은 개 방되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삼학도 공원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복원화 사업을 포함 한 이용현황 및 공간구성 등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진행된 것이다. 삼학도 원형 복원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섬다움을 느낄 수 있는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상지는 목 포 내항과 마주하고 있는 근린공원으로, 면적은 약 454,850㎡이다. 계획추진을 위한 기본방향 은, 1) 삼학도 전설이 꽃으로 피우는 낭만이 있는 안전한 꽃 섬, 2) 어린이와 가족 모두, 1-3세대 가 함께 즐기는 테마가 있는 체험형 공원, 3) 복원된 삼학도의 물길과 숲길을 따라 자연과 사람 이 함께 하는 미래 공존의 숲으로 제시하였다. 계획대상지는 매립으로 이루어진 기존공원 Zone 과 삼학도 원형 복원 Zone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복원된 삼학도는 지역 Identity를 근거로 특화 된 테마를 부여하여 계획하였다. 대삼학도는 ‘학 섬 동산’, 중삼학도는 ‘꽃 섬 동산’, 소삼학도는 ‘꿈 섬 동산’ 으로 공간을 구성하였고, 부여된 이미지가 이용자들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그 외에 공원입구 상징 Zone과 목포내항 해안 Zone을 설정하고, 각각의 공간특성 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상호 연계할 수 있는 소공간 및 관련시설 등을 계획 배치하였다. 특히 삼 학도 공원으로 연결되는 매립제방 형태의 도로를 가동식 교량으로 변경하여 삼학도가 섬이라 는 인식과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진입교량 조성계획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구성과로 도출 된 리모델링 계획의 적극적 추진을 통해 삼학도가 다시 목포의 섬으로 되돌아오길 기대한다.
        4,000원
        8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of companies have made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globalization and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The supply chain management has received many attentions in the area of that business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realis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lanning in the supply chain network. The planning model determines the best schedule using operation sequences and routing to deliver. To solve the problem a hybrid approach involving a genetic algorithm (GA) and computer simulation is proposed. This proposed approach is for: (1) selecting the best machine for each operation, (2) deciding the sequence of operation to product and route to deliver, and (3) minimizing the completion time for each order. This study developed mathematical model for production, distribution, production-distribution and proposed GA-Simulation solu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experiments for a simple example of the supply chain network are given and discussed to validate the proposed approach. It has been shown that the hybrid approach is powerful for complex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lanning in the manufacturing supply chain network.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used to generate realis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lanning considering stochastic natures in the actual supply chain and support decision making for companies.
        4,000원
        9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p to date cosmetic OEM/OD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industry receives attention as a future growth engine due to steady growth. However, because of limited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many companies have employed commercial management platforms specialized for large-sized companies; thus, overall system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low. Especially,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 introduced originally in 1970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requirement of the parts. However, dynamic nature of production lead time usually results in incorrect requirements. In addition, its algorithm does not consider the capability of the production resources. Also, because the commercial MRP system calculates all subcomponent for fixed period, the more goods have subcomponent, the slower calculation is. Therefore, conventional MRP system cannot respond complicated situation in time. In this study, we will suggest a new method that can respond to complicated situations resulting from short lead time and urgent production order in Korean cosmetic market. In particular, a distributed MRP system is proposed, that consists of multi-functional and operational modul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BOM (bill of material). The distributed MRP system divides components (i.e. products and parts) into several fields and decrease the problem size; thus, we can respond to dynamically changed data any time. Through this solution, we can order components quickly, adjust schedules and planned quantity, and manage stocks reasonably. In addition, a prototype of the distributed MRP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which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ver data is associated with an excel spreadsheet via MSsql. System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by a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ool. According to a case study, response rate for delivery and planning achievement rate were enhanced about 20%, and inventory turnover was also decreased. Consequently,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overall profit.
        4,000원
        94.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research trends and analyze major discussions of previous studies o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from a research historical perspectiv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d a database of related research lists through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research articles by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hen, based on the database, this paper summarized research trends of preceding studies by fields (status, corpus, education, etc.), by topics (language rank/function, orthographic norm, national language education, etc.), by relevant countries/regions (Korea, Asia, Europe, etc.). Finally, dividing the preceding studies into those related to Korea and those related to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analyzed major discussions by fields and topics based on representative and recent preceding studies. 'Not only does the aforementioned summary and analysis have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for preceding studies o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but 'they can als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task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9,900원
        9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동체정원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상실되었던 공동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생활형 녹색복지이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그린인프라의 재생과 국민들의 사회적 요구 증대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이는 정부차원의 정원 산업과 정원문화, 교육의 다양화와 전문화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실천적 공동체정원의 유형별 모델정원을 계획 및 조성함으로써 정원조성의 과정을 실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공동체정원의 정의와 효과, 개괄적인 내용, 기본적인 준비과정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둘째, 모델정원의 조성과 정원별 상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장소 선정부터 참여를 통한 계획부터 설계, 시공과 관리까지의 전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민들이 기존의 정원조성자료와 함께 사회통합형 공동체정원 만들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의가 있다.
        4,000원
        9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프로젝트는 목포의 대표 관광지이자 시민들의 수변공원이기도 한 평화광장에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이용 및 구조적 문제점 해결을 포함한 리모델링 계획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평화광장의 최우선 과제인 공간 구조개선을 위해 ‘보차도 및 녹지 공간조정을 통한 무장애 거리 조성’ 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광장과 수변을 단절시키는 차도 폐지, 보차도의 높이차 조정 그리고 차량동선 변경으로 수요부족이 예상되는 주차공간확보 등이다. 다음 단계로 대상지역 전체에 대한 리모델링 계획을 추진했다. 대상지의 역사성 및 위치특성을 살려 특화된 4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역할 및 기능을 부여하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중심상징 존, 체험 및 동적활동 존, 역사 및 지역문화예술 존, 인접 도시 연계 존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인 평화광장은 20년 전 조성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으로, 당초 시에서는 차도폐지 및 바닥포장 개선이라는 토목사업의 성격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사업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지역 연구자들이 의견을 모아 공간 구조개선 제안 및 광장과 수변공간 전체에 대한 통합적인 리모델링 계획추진을 건의한 결과, 당초의 사업범위를 확대시켜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1단계로 목포시의 당면과제를 전제조건으로 우선 해결한 후, 2단계 통상적인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단순한 방식의 공사에 불과했던 토목사업을, 사전 제안을 통해 종합프로젝트 방식의 리모델링 사업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있는 작업이 되었다.
        4,000원
        9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um experimental condition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ine experimental conditions using Taguchi technique. Through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weight, thickness, and length of the sample were most affected by the angle at which the sample was installed, while the width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sample's x-axis and the inner diameter. It was confirmed. Therefore,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roduc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rror occurrence of the product during 3D printer processing.
        4,000원
        9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석재의 고갈로 인해 인조암은 자연암의 대체소재로서 200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다. 인조암을 이용한 폭포는 다양한 형태로 바위연출이 가능하며, 인공지반에 설치시 자연암에 비해 구조 자체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구조 설계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인조암폭포는 외부공간에서 입면적으로 도드라지는 시설물로서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조성과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인조암폭포를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형태, 질감, 색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형태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입체감 있는 매스분할, 모서리의 각이 돋보이는 형태, 자연스러운 크랙 표현이며, 질감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다양한 기법에 의한 질감표현, 음영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며, 색채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암에 유사한 색상연출, 인조이끼 활용이다. 부가적으로 포트에 의한 식재, 인접 녹지에 덩굴성 식물 식재, 미스트분수의 활용으로 인조암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변색, 녹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변색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스러운 변색을 위해 도트기법에 의한 도색이 필요하며, 백화발생 구간에는 인조이끼 처리가 필요하다. 인조암을 활용하여 폭포와 연계된 수조경계부, 수조바닥면을 일체화하여 조성할 경우 녹조 발생시에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경관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은 인조암폭포의 품질편차를 줄이고 입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특화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설계 및 시공 단계별로 고려해야할 세부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4,500원
        9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았으며, 2025년 5월 울릉도 사동항구 공항완공예정으로 관광객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울릉도·독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자원가치평가 및 개발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지질공원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개의 만족도 지표 중 교통편리, 편의시설, 도로상태가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울릉도·독도를 이용한 이용자들의 전체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숙박시설, 관광자원의 체험, 교통 편의성 등 유의한 지표를 중심으로 한 울릉도·독도 개발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숙박시설에는 현포1리 해안주변과 태하1리 산악주변으로 선정하였으며, 관광 및 체험에서는 현포리와 태하리의 해양체험지구, 천포리와 울릉읍을 잇고 있는 등산로는 산악레포츠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가지질공원 명소벨트, 지질트레킹벨트, 울릉옛길, 해안경관벨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로는 죽암몽돌해안 주변의 도로확장과 도로정비, 구암터널, 남양~남통터널, 통구미터널확장, 통구미터널 주변 마을의 도로확장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기존의 공급자 위주 개발계획이 아닌 방문객들의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바탕으로 개발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향후 이용자뿐만이 아니라 실제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구체적인 개발계획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