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th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have prevailed in the world, the training systems for companies, distance-education system and e-learning system, change dramatic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y. There are two kinds of training systems: Web based training and postal service based training.
In this paper, the service quality factors for postal service based training system are obtained by reviewing literature and survey. The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actors on educational performance is investigated by developing and analyzing 16 research questionnaires.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effect is te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raining system, the level of learners' positions and educational curriculum.
목적 : 장애아동 부모들의 치료교육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하여 현재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업치료계 입장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를 회수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에게 점검받아 수정하였다.
결과 :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치료교사로는 전문 치료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이며 77%의 부모들이 택하였다. 한 학교에서 치료교육을 받는 경우는 27%이며 사설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55%이고 두 곳 모두에서 치료교육 및 치료를 받는 아동이 65%였다. 이로 인한 사치료비는 가구당 월 평균 49만원 정도였다. 사설치료를 받는 부모들의 79%가 치료교육의 질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결론 : 치료교육의 주체인 장애아동과 부모들이 요구하는 부모들이 요구하는 치료교육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세부 전문영역을 가지는 치료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영역의 치료사를 관련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치료교육의 질적, 양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자연사 박물관을 비형식교육기관으로 정의하게 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형식교육기관과 어떤 형식으로 보조를 맞추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가 이다. 이는 전시의 내용과 전시의 형태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인 스미소니안 자연사 박물관과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물 중에서 지구과학관련 전시물 461점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전시물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된 도구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분석틀은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 NRC, 1996)과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obitaille et al., 1993)의 과학교육과정 프레임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고려되었던 전시의 특징은 우선 전시의 활동 유형, 전시 기술, 전시 매체, 전시 표현 등이고 아울러 과학의 본성이 어떻게 전시물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잠재력을 본 연구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범죄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서 청소년범죄자의 부모에게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를 법제화하여 1호처분이나 보호관찰처분 대상자의 부모에게 교육프로그램에의 참여를 강제적인 명령 혹은 의무로 부과함으로써 저조한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고, 프로그램 운용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의 모델사례로서 지적되고 있는 영국의 부모교육명령제도의 도입배경, 구체적인 내용, 실시현황, 관련 쟁점, 효과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서 우리가 도입하고자 하는 제도가 어떤 맥락에서 시행되었으며, 실제로는 어떻게 운용되고, 어떤 효과를 낳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봄으로서 우리나라의 도입타당성여부를 판단해 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a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safety education and must prevent an accident to be able to happen during a class of a practical course previously. Safety education has further an interest on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practice and must induce an aggressive interest of teachers in order to be able to prevent an accident previously. As the above results, to rais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induce teachers' active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help them experience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at teacher training centers.
미국은 국가안보와 해운산업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미 연방상선대학과 같은 4년제 대학교육으로 상선사관을 양성하고 있다. 미국의 해기사 양성제도는 크게 연방정부에서 지원 운영하는 Academy (U. S. Merchant Marine Academy와 U. S. Coast Guard Academy)와 각 주(State)에서 지원 운영하는 캘리포니아해양대학교 등 6개 주립대학의 정규 4년제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해기사 교육기관 중 교육중심의 캘리포니아 해양대학의 교육제도, 실습방법, 실습선 운영형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해기사 교육제도에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France and to analyze its effec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e changes that have recent1y taken place. Under the assumption that languages ref1ect their culture, the administrative of France has tried to co、rer a variety of languages in Europ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se efforts, however, appear to be unsuccessful due to the financial problems and the heavy emphasis on particular languages based on the social and economical reasons. Nevertheless, these efforts are valued highly, and provide some insights to the cωurre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들에 인식과 그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은 고등학교 3개교의 10, 11학년(485명)이며 결과는 다음과 갔다. 첫째, 학생이 장래 직업에 대한 확고한 결정이 없이(29%),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충분히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45%)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25%) 상태에서 교과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에 긍정적(65%)이거나,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졌다(96%)고 생각하고 있어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 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는 39%의 학생들만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대학 진학의 필요성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고(48%), 대학에 진학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교과를 모두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41%). 넷째, 과학 과목의 선택은 화학 40%, 생물 25%, 물리 22%, 지구과학 13%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선택한 교과목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한 학생이 74%이다. 위의 결과는 학생들이 7차 교육과정의 취지는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과목의 선택에서는 자신의 장래나 적성이 고려되지 않고 대학 진학에 따른 해당 대학의 요구와 학교 헌장의 과학교사 분포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accompanies the learning of the target language’s culture. But English is said to be not a foreign language, but a global language. What should culture learning be like in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EGL)? This paper aim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s of cultural learning in EGL. First, the features of EGL learning are explor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EFL learning. Second, it is discussed why EGL learning does not match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n which the communicative approach has been based. Instead EGL learning need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hird, it is considered what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for ICC. The main section seeks out the ways in which cultural contents involved in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 to develop ICC. Four (4) series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nalysed in respect of the ownership of cultures, the types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 result admits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not suitable for developing ICC. Finally, some directions will be deduced on how and what teaching materials are equipped to develop ICC in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nglish education experts’ current general views on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at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and elicit their consensus of opinion 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For that purpose,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 were presented to forty experts, with thirty one experts’ responses in the first round and nineteen in the second. Based on their respons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provincial universities were deduced as a consensus of opinion: the curriculum is supposed to be more intensive, practical, proficiency-based, and university-specific than the curriculum for th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t is supposed to be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rather than English for General Purposes (EGP) in order to promote the future career of the individual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vincial universities themselves.
This paper reports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and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Two approaches are taken to achieve the goal: One is to examine social attitudes and government approaches to English education. Interviews with defectors from North Korea, newspaper reports and other related literature are used. The other is to analyz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research articles to reveal the current practic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at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Nor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are interested in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and they tak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English learning to meet national or individual goals. English seems to be considered as a way of improving their economic situations and finding a better opportunity for many North Korean people. However,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is still limited in terms of resources including learning materials and native teachers of English. Also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es in English education are still heavily influenced by Kim Ilsung and Kim Jungil’s words so that scientific investigations are limited. It is an impending issue to narrow a gap in English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o overcom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