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98

        616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ordin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floristic composition table on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2 communities such as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and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Veget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was shown southward, whereas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was shown northward from the base line of Pohang at North latitude of 36" 05'. Accordingly,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grown commonl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southward of the base line of Pohang, whereas it was grown commonl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northward on the east coast.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 taken together, the optimum habita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was at Ulsan geographically and the middle region of sea cliff topography, and was suitable for alkali. sandyloam.
        616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장단 중 중중모리 장단의 개개 장단은 내는 역할, 다는 역할, 맺는 역할 중 하나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렇듯 역할을 담당하는 개개 장단형은 반주 장단형을 결정하는데 근거가 되며 본질적인 장단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 이러한 내용을 지도 내용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새타령>의 중중모리 부분을 중심으로 역할에 따른 장단의 미시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인 중중모리 장단의 거시구조연구를 통해 제시한 개개 장단의 역할 분석을 활용하여 단락별 장단형과 역할별 장단형을 살펴보고, 역할별 장단형을 음보와 음절수에 따라 구분한 후 특징적인 장단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장단 중 85%에 해당하는 장단이 2음보였으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음수율은 4․3조였다. 내는형과 맺는형은 낮은 빈도수를 차지하였고, 다는형은 매우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역할에 따라 분류한 한 장단의 형태 분석에서는 내는형과 맺는형은 어느 특정 장단형에 치우친 반면, 다는형은 특정 장단형에 치우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형태가 나타났다. 역할에 따른 장단형 중 내는형과 맺는형은 그 형태가 유사하여 형태로써 그 둘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움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중중모리 장단형의 지도 시 내는형, 다는형, 맺는형을 모두 지도하기보다는 그 역할과 구분이 뚜렷하며 서로 대(對)를 이루는 다는형과 맺는형을 지도 내용으로 삼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616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육성 콩 품종 및 전통식품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생리활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기반기술 확립의 일환으로 group A soyasaponin의 분리 및 정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종실로부터 hypocotyl을 분리하고 탈지한 후 automated solvent extractor(ASE)를 이용하여 MeOH 추출 후 flash column(150mm×40mm i.d.)을 이용하여 총 14개의 fraction을 분리하였다. 2. Flash column으로 얻어진 8 및 9번 fraction(Fraction-I) 을 Luna C18 semipreparative reverse phase column(250cm×50mm i.d.)을 이용하여 Fast PCLC로 정제하여 미지화합물(unknown compound : UKC)(Fr-I-2)을 분리하였다. 3. Compound 1을 NMR(1H-NMR , 600 MHz; 13C-NMR , 100 MHz; DEPT), IR, UV 및 ESI-MS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분자량(MW)이 1436.6이며, 분자식이 C67H104O33인 group A 계열의 acetyl soyasaponin A1 으로 확인되었다.
        616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3D 그래픽 가속기의 텍스쳐 데이터 메모리 지연시간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텍스쳐 캐쉬의 다양한 저전력 구조를 고찰하였다. 또한 텍스쳐 필터링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변적 전력 모드 전환 기준을 갖는 텍스쳐 캐쉬를 설계하였다. 각 텍스쳐 캐쉬 구조의 성능 비교 분석을 위하여 Quake 게임 엔진을 벤치마크로 사용한 트레이스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저전력 텍스쳐 캐쉬 구조에 적합한 텍스쳐 필터링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변적 전력 모드 전환 기준을 갖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6165.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우주물체는 출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운동 특성이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측으로 측광 및 분광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우주물체의 측광 및 분광 동시 관측을 위해서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추적 및 관측시스템에 다중 광학계를 탑재할 수 있는 가대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조해석을 통해 다중 광학계 탑재 시에 개조된 가대의 변형을 계산하고 인공우주물체 추적 및 관측 시 발생할 수 있는 가대의 지향오차를 추론하여 관측시야에서 인공우주물체를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등가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가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6166.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공의 합리화와 경제성의 목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로 이루어진 RCS 구조의 개발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해지고 있다. RCS 구조 보-기둥 접합부 패널존의 저항기구는 내부패널에서 외부패널로 응력이 전달될 때 직교보의 영향을 받지만, 기존연구에는 직교보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브, 플랜지, 직교보의 두께, FBP의 유뮤등 다양한 변수들을 가지는 5개의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로 이루어진 보-기둥 내부접합부 실험체의 실험을 통해 직교보들의 영향과 구조적 성능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험결과들로부터, 보-기둥 접합부의 직교보가 전단내력과 구조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167.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무기계 균열주입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균열보수공사가 필요한 터널 라이닝 및 박스 구조물을 선정하여, 균열폭에 따른 주입량, 주입시간 및 주입압력, 주입압력과 주입시간, 구조물 규모에 따른 주입량, 구조물별 균열 위치에 따른 주입량, 균열폭 및 구조물 두께와 주입시간의 관계에 관하여, 현장 조사와 시험평가를 수행하여 구조물의 종류 및 균열의 크기에 따른 균열보수재의 주입압력, 주입량 및 주입시간 등을 명확히 파악하였다.
        6168.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응답변위법을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지진해석에 있어서 지반반력계수에 관한 기본 자료와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반반력계수를 도로교 설계기준(2001), 지하공동구 내진설계기준(2004), 유한요소법으로 산출한 후, 비교․분석 하였다. 지반반력계수는 산정방법에 따라 도로교 설계기준에 비해 지하공동구 내진설계기준은 최대 4.55배, 유한요소법은 연직과 전단방향에 대해 각각 최대 3.24배와 2.00배 크게 산정되었으며, 단면력은 도로교 설계기준과 지하공동구 내진설계기준에 근거하여 구한 값이 정밀해석인 유한요소법으로 구한 값보다 전반적으로 크게 산출 되었다.
        6169.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부분의 대공간 구조물은 도시의 상징물인 동시에 구조물의 용도를 만족하여야 하므로 기초가 구조물의 지지, 형태유지 또는 전도방지, 부력저항 등의 다양한 역할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기초가 도입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중 구조물 형태유지 및 전도방지를 위해 앵커력을 도입한 두가지 월드컵 운동장의 경우를 비교 검토하여 건설공정에서 점검된 앵커력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형지붕의 바깥방향으로 작용되는 수평력 제어를 위해 시공된 앵커(Case1)와 캔틸레버 지붕의 전도방지를 위한 앵커(Case2) 2가지 사례에 대한 앵커력의 도입과정과 최초 앵커력 도입에 따른 대공간 구조물의 장기거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617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축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수집하여, 이들 영향 요소의 구조와 위계적 중요도를 산출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수집하기 위해 국가대표 감독, 프로축구팀 감독, 공중파 축구해설자 경력이 있는 축구전문가 1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설문과 심층면담 결과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273요소를 수집하여 귀납적범주화를 실시하였다. 귀납적범주화 결과를 바탕으로 208명의 대학과 프로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개요인 14하위요인으로 축구 경기력 영향 요소를 구조화하였다. 탐색적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278명의 대학과 프로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요인분석을 시행해 구조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확인적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축구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축구 경기력 결정 요인에 대한 계층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축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14하위요인은 기술, 매개기술, 심리, 축구지능의 네 요인(factor)으로 구조화되었으며,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축구지능, 기술, 심리, 매개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축구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생각하는 플레이, 볼컨트롤, 집중력, 넓은 시야, 트레핑, 전술의 이해, 임기응변 능력, 순간판단력, 공간창출 능력, 볼키핑, 투지, 여유, 의욕, 승부욕 순으로 나타났다.
        6171.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코치들의 코칭지식을 평가하는 검사의 구조적 타당성검증에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구성개념을 설정하고 초기 8개요인 128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은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 499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축소에 들어갔다. 문항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과빈도와 공통성(h2)을 검토하였고, 수치가 낮거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문항을 삭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요인(코칭이론, 훈련방법, 선수이해, 훈련과정, 시합전략 및 전술) 38문항을 추출하였다. Amos를 사용하여 측정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도 지수가 다소 낮았다. 모델 찾기를 통해 수정모델2를 검증한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RMR=0.042, GFI=.86, CFI=.91, TLI=.90)가 승인 가능하게 나타났다. 신뢰도는 내적일치도 Cronbach'α가 .83~.91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2문항의 코칭지식 질문지가 개발되었다.
        6178.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안으로 입사해 들어오는 파랑은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에 의해 증폭, 월파되어 구조물 배후의 유수지에 위치 에너지로 저장될 수 있으며, 수두차의 형태로 저장된 위치에너지는 초저낙차 수차 터빈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월파형 파력발전에 있어서 주어진 입사파 조건에 대해 최대 월파 유량을 획득하는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형상 도출을 위한 수조 실험은 삼차원 조파 수조에서 이루어졌으며, 평면 파랑 집중 형상을 가진 삼차원 구조물의 형상은 5가지의 종류로 제작되었다. 파랑제어구조물은 신과 홍(2005)에서 제안한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이차원 단면 형상을 토대로 수로폭 및 수렴각을 가진 삼차원 형상으로 확장한 것이다. 본 삼차원 월파실험에서는 20개의 입사파 조건과 각각의 파에 대한 0˚, 15˚, 30˚의 상대 입사각을 부여하여 계측된 월파량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