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2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질환과 외판상 전신질환이 없 는 10--13세(평균 10.5 세) 사이의 초등학생 200 명(남 96 명, 여 104 명)을 대상으로 안 경테 설계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룹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용 안경테의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구하였다. 한국어린이의 얼꿀형태는 코카시안 어 린이의 얼굴형태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안경테 설계와 관계꾀는 앨꿇너\:1 1 와 머리너비 는 한국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머리최대길이, 귀구슬사이거리, 동공사이거 리는 성인과 차이가 있어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은 성인용 안정테 설계값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얼굴형태를 기초로 계산된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어 린이 딴경테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안정테 전변부 선체깊이 (FHDl, 기준선길이 (RHD) 및 Front to Bend(FTB) 는 기존 안정데가 설계값보다 크기자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테 PD(OCD), 렌즈고정툴사이거리<DBR>, Length of Drop(LDl은 기존 안경 테가 설계값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는 성인 안경태의 축소형이 아닌 어련이의 얼팔 형태에 적합하게 설겨1 되어야 하므로 현재 시 판되는 안경테보다 안경테 전면부 길이는 크고 안경태 PD. 렌즈고정툴사이거리, 연 결부 (bridge) 는 짧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취향에 맞게 설계값올 기초로 하여 따양한 디자인의 안경테가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권다.
        4,500원
        125.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골프장 주요 해충인 주황긴다리풍뎅이 (Ectinohoplia rufipes)성충의 기주식물을 실내와 골프장 현지조사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실내에서는 41科 101種 제공 식물 중 27科 61種을 ,골프장에서는 8科 27種 식물을 식해하는 것이 관찰됨으로서 총 29科 84種 으로 기록되었다. 수종 별 피해도를 골프장에서 조사한 결과, 골프장에 따라 가해하는 수종이나 피해 도에서 차이가 있었 고, 사방오리나무와 벚나무, 은목서, 아그배나무에서 피해도가 높았다 사방오리나무와 벚나무, 은목 서 잎을 이용한 실내에서의 선호성 비교에서는 사방오리나무에서의 피해엽율이 58.1%로 가장 높 았다. 주황긴다리풍뎅이 성충의 유인율은 피해를 받은 사방오리나무의 잎에서는 45.3%, 인위적으 로 상처를 낸 잎에서는 26.5%, 주황긴다리풍뎅이에 대한 노출이 전혀 없었던 무(無)피해 잎에서 는 4.0%, 주황긴다리풍뎅이는 있었으나 피해가 없었던 비(非)피해 잎에서는 12.9%로 피해엽에 많이 유인 되었다. 한편, 무피해 잎과 주황긴다리풍뎅이의 피해를 받은 잎, 무 피해 잎에 주황긴다리풍뎅이 성충의 배설물을 처리한 잎에 대한 피해엽율을 조사한 결과 각각 30.5%, 67.5%, 2.0%로서 이미 피해를 받은 잎에 대한 선호성이 뚜렷하였다.
        4,000원
        12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와 얼굴 형태는 인종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머리와 얼굴 형태에 적합한 얀경테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계측적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한국인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와질환, 안외상, 외판상 전선질환이 없는 18-33 세 사이의 성인 689명(남자 325 명, 여자 364 명)을 대상으로 안경테 설계 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의 얼굴 형태 에 적합한 안경테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안경테 설계에 판계되는 한국인의 얼꿀 형태는 얼굴너비가 넓고 머리너비가 좁으며 동공사이거리가 강며 귀구슬경사각이 큰 형태룹 이부고 있어 다른 인종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국인의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의 전면부 크기, 다리부 길이 및 경사각 당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와 차이가 있눈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는 한국인의 얼굴형태를 기초로 한 인체공학적인 안경테 설계와 디 자인 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7.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키틴생합성저해제인 diflubenzuron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Thunberg)에 미량국소처리하였을 때 충태 및 영기에 따른 약제의 감수성차이와, 종령약충 처리후 우화율 및 우화성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iflubenzuron은 살람효과를 보였으며 산란후 12시간내의 알은 산란후 48~60시간의 알보다 감수성이 높았으나, 알의 나이에 관계없이 처리된 알의 배는 정상적으로 발육하였다. 영기별 감수성은 영기가 진행될수록 낮아져 1령약충이 2령에 비하여 1.5배, 3령약충에 비하여 18.2배, 4령약충에 비하여 39.4배, 5령약충에 비하여 42.4배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종령약충에 처리하였을 때 우화율과 우화성충의 체중, 수명 및 산란율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4,000원
        128.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g legs were stored before and after 30, 60, 90, 120 days at -30℃ and -70℃. The amounts of triglycerides, glycolipide and phospholipids by TLC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by GC were shown in this experiment, there fore, I have got these following results. 1. The amount of PL in frog legs consisted of 80% of the total lipids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TG was increased, while PL and GL were decreased. 2. TG and ES & HC were composed of 66% to 77% of the neutral lipids composition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MG, DG. FFA and ES & HC were increased, while FS and TG were decreased. 3. PE and PC were composed of 78% to 81% of the phospholipids composition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FA and PS were increased, while PC and PE were decreased. 4.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neutral lipids of frozen frog legs at -30℃, 120 days was studied, Capric acid. Stearic acid, Behn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initial neutral lipids.
        4,000원
        130.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gged locomotion has high mobility on irregular surfaces by touching the ground at discrete points. Inspired by the creature’s legged locomotion, legged robots have been developed to explore unstructured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ular crawler that can easily adjust the number of legs for adapting the environment that the robot should move. One module has a pair of legs, so the number of legs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number of modules. All legs are driven by a single driving motor for simple and compact design, so the driving axle of each module is connected by the universal joint. Universal joints between modules enable the body flexion for steering or overcoming higher obstacles. A prototype of crawler with three modules is built and the driving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module lifting on the ability to overcome obstacles are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13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pired by small insects, which perform rapid and stable locomotion based on body softness and tripod gait, various milli-scale six-legged crawling robots were developed to move rapidly in harsh environment. In particular, cockroach’s leg compliance was resembled to enhance the locomotion performance of the crawling robo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ing leg compliance for the locomotion performance of the small light weight legged crawling robot under various payload condition. First, we developed robust milli-scale six-leg crawling robot which actuated by one motor and fabricated in SCM method with light and soft material. Using this robot platform, we measured the running velocity of the robot depending on the leg stiffness and payload. In result, there was optimal range of the leg stiffness enhancing the locomotion ability at each payload condition in the experiment. It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rawling robot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stiffness of the legs in given payload condition.
        13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mechanical design and control of a bio-inspired legged robot. To achieve a fast legged running mechanism, a novel linkage leg structure is designed based on hind legs of domestic cats. The skeletomuscular system and parallel leg movement of a cat are analyzed and applied to determine the link parameters. The hierarchical control architecture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biological data to generate and modulate desired gaits. The effectiveness of the leg mechanism design and control is verified experimentally. The legged robot runs at a speed of 46 km/h, which is comparatively higher speed than other existing legged robots.
        133.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epicatechin gallate를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품질관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칼럼은 Unison US-C18 (4.6 × 250 mm, 5 μm, Imtakt, USA)을 사용하여 0.05% (v/v) trifluoroacetic acid (TFA)와 메탄올을 이동상 조건으로 컬럼 온도는 30 ℃ 에서 유속은 1.0 mL/min 로 검출파장은 280 nm에서 검출하였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가이드라인(version 4, 2005)을 근거로 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하여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1 mg/mL 및 0.33 mg/mL로 나타났으며, 검량곡선은 상관계수값이 0.9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정밀성 분석결과 도 0.6% 이하로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율은 99.51 ~ 101.92% 범위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낙지다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134.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tecticus tenebriferwas incorporated to partially or totally replace the diets of juvenile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Experimental groups of shrimp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0.014 ± 0.001 g were fed each of the 5 diets formulated to include 0, 25, 50, 75, and 100% (C, T25, T50, T75, and T100, respectively) of Ptecticus tenebriferpowder substituted for commercial feed. After eight weeks of feeding trials, juvenile shrimp fed with diets T25 and T50 showed higher live weight gain (2.298 ± 0.405 and 2.539 ± 0.406, respectively), and a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1.389 ± 0.246 and 1.536 ± 0.246,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shrimp fed a control diet. Survival rate was 98% in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for the T75 group (66.67±57.73% survival). The levels of immune markers such as beta-glucan binding protein, prophenoloxidase, and crustin associated with the cellular and humoral immunity of shrimp were found to be higher in 25% and 50% commercial feed replacement groups. A reduction in total nitrogen, nitrite nitrogen, and ammonia levels was greater in T25 and T50 rather than in T75 and T100.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replacement of feed with 25 to 50% Ptecticus tenebriferpowder in juvenile white shrimp diet was optimal in promoting the growth performance of shrimp without any adverse effects.
        135.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활의 공간적 토대로서 도시의 기능이 원활하고, 의미 있는 장소로서 아름답고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면, 무엇보다도 도시공간의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굴다리는 도시공간의 부속물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기능성과 접근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소이며 생활의 터전으로서 활동공간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굴다리환경은 도시의 이미지가 직결되어있고, 시설물과 가로환경의 그 기능을 다 할 때 쾌적한 도시환경으로서 디자인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공공성을 살펴보고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을 위한 디자인적용의 평가지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굴다리 환경개선 사례와 대표적인 유형 그리고 디자인 적용 부분 현황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굴다리 개선사업 사전계획에 있어, 사업의 방향과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공 공간 및 공공 시설물에 대한 세부지표에 부합되도록 계획·설계·디자인된다면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으로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13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Red Ginseng; RG)은 인삼보다 더 높은 생체 흡수율과 다양한 약리효과를 갖는 특이한 진세노사이드(Rg2, Rg3)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이용되어 왔다. 또한 발효는 유효한 생리활성을 갖는 저분자의 물질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로 7일 동안 발효하였다. HPLC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g1, Re 및 Rb2가 각각 0.24, 0.25, 0.16 mg/g에서 0.12, 0.1, 0.03 mg/g으로 함량 감소를 확인하였고, 홍삼 붉은덕다리 균사체배양액(Fermented Red Ginseng; FRG)의 항염, 세포 이동, 항산화, 콜라겐 타입 I 합성과 MMP-1 억제효능에 대한 생물학적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G는 RG보다 항염 및 cell migration 촉진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FRG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NOS와 IL-6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FRG는 새로운 항염소재로서 제안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139.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energy efficient walking and running robot with compliant leg. So, we propose the energy efficient locomotion control method. And, we experiment the proposed control method applying to the experimental robot with compliant leg. From the experiment, we look at whether the proposed control method can the robot walk and run energy efficiently.
        14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estimation of the frictional coefficient of the wheel-legged robot with hip joint actuation producing maximum tractive force. Slip behavior for wheel-legged robot is analytically explored and physically understood by identification of the non-slip condition and derivation of the torque limits satisfying it. Utilizing results of the analysis of slip behavior, the frictional coefficients of the wheel-legged robot during stance phase are numerically estimated an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pseudo-algorithm which can not only estimate the frictional coefficients of the wheel-legged robot, but also produce the candidate of the touch down angle for the next stance.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