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0

        162.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ructose(F) or sucrose(S) and guar gum intake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15-week-old male Goto-Kakizaki(GK) rats. Fif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groups which were different in carbohydrate(25% of carbohydrate) and fiber(5% w/w) sources. The carbohydrate(CHO) sources of each group were comstarch(control group, 100% of CHO), fructose with cellulose(F), fructose with guar gum(FG), sucrose with cellulose(S), and sucrose with guar gum(SG). Each group was fed exterimental diet for 4 weeks. We measured food intake, body weight gain, adipose tissues weight and organs weight. We conducted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and measure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to examine carbohydrate metabolism. To evaluate lipid metabolism, we measured the lipid profile of plasma, liver and feces. Food intake and weight gain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ess than those of F or S groups. Perirenal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s of S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 group and those of FG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group. In OGTT, blood glucose values of F or S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 group, and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or S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time. The area under the curve(AUC) of 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st among the groups, AUC an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or S groups. Plasma and hepatic triglyceride (TG) of FG and SG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plasma and hepatic total lipid(TL) and total cholesterol(TC) of FG and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Fecal TL, TG and TC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In conclusion, intake of guar gum should improve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partial substitution of fructose or sucrose for cornstarch in GK rats.
        4,000원
        163.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in the liver of 40-week-old mouse, the sample were orally pretreated 5mg/kg/day for 5 days with red ginseng saponin components(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saponin, protopanaxatriol saponin, ginsenoside-Rd, ginsenoside-Re, compound-K) for 5 days. The ability of saponin to protect the mouse liver from oxidative damage was examined by determining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and the contents of glutathione,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The only protopanaxadiol among the ginseng saponin frac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epatic SOD activity(p<0.01). The red ginseng saponin induced a slight increase of GPx activity, especially ginsenoside Rd, compound K and protopanaxatriol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ts activity. The content of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p<0.01), but the oxidized glutathione level was lowered in all the red ginseng saponin. Finally,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ginsenoside Rd and protopanaxadiol. In conclusio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 among the saponin fraction were especially increased in the activity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nd de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that was expressed in term of MDA formation. This comprehensive antioxidant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 seems to be by a certain action of saponin other than a direct antioxidant action.
        4,000원
        16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ponse of hepatic mixed function oxygenase (MFO) system was investigated in olive flounder exposed to formalin. Hepatic microsome of olive flounder incubated in vitro with formalin demonstrated the induction of cytochrome P450 (CYP), ethoxyresorufin
        4,000원
        16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WNP의 특정 손상에 대한 회복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STZ를 복강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 220mg dL-1 이상인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방사선 전신 조사 실험군과 KWNP 처리군 간의 각 항목 분석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5주간의 체중증가율은 방사선 처리군과 당뇨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당뇨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정소와 비장, 또 당뇨
        4,000원
        16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축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비거세우와 거세우를 대상으로 혈청내에 있는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가 채혈시기, 사육지역, 거세 여부 등에 따라 어떻게 변하며 경제형질과 어느 정도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에 대한 유전변이의 크기는 어느 정도이며 이들의 유전상관계수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호르몬 및 대사물질의 분산분석 결과 testosterone과 globulin을 제외한 나머지 혈청성분은 사육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4,800원
        168.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effect of feeding experimental mixture containing chitosan, hibiscus extract and L-carnitine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Forty-eight male rats(Charles River CD) of eight weeks old and weighing 336.5±2.3g were raised for five weeks with high fat diet(40% fat as calorie) to induce obesity. After induction of obesity, rats weighing 560.4±5.6g were block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eight weeks with diet containing either 0.09%(+1D group), 0.9%(+10D group) or 4.5%(+50D group) of experimental mixture.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normal levels in plasma.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 were lower in experimental mixture groups than control group However, weights of perirenal fat pad and brown adipose tissu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and hepatic lipid levels among all groups. Liver citrate lyase and camitine acyltransfer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however, citrate lyase activity was tended to be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erimental mixture level in diet. Fecal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excretions were highest in +50D group, and triglyceride excretion was highest in +1D group. in conclusion, intake of experimental mixture containing chitosan, hibiscus extract and L-camitine was effective in reducing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its inhibitory effects might lead to obesity improvement.
        4,000원
        16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traction of Sedum sarmentosum Bunge by super critical carbon dioxide was operated under 40-50℃and 200-250 atm, thus, yield of extraction was very low as 4 wt%.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the extract orally once a day for succesive 6 days, followed by treatment with carbon tetrachloride (CCl4) on the sixth day. The activities of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γ-glutamyl transpeptid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content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in the extract-pretreated rat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Cl4controled rats, whereas content of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Especially content of hepatic malondialdehyde (MDA)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decreased and HTR was increased in the extract-pretreated rats, and reduced peroxidative liver damage in the CCl4-induced hepatotoxicity rats. In addition, activities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in the extract-pretreated r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Cl4 controled rats, but the content of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 of Sedum sarmentosum Bunge has hepatoprotective effect in the CCl4-intoxicated rats.
        4,000원
        17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safe work load based on a physiological model of metabolic energy of manual material handling tasks. Fifteen male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Lifting activities with four differen
        4,000원
        17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주석화합물인 tributyltin chloride (TBTC), tributyltin oxide (TBTO)와 triphenyltin chloride (TPTC)를 넙치 간장으로 만든 미크로좀에 in vitro적으로 노출시켜서 이들 화합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mixed function oxidase (MFO) 중 cytochrome P450 (CYP) 농도와 7-ethoxyresorufin 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4,000원
        17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한우에서 연령에 따라 혈청성분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우 866두(거세 638, 비거세 228)에 대하여 혈청 농도를 분석하여 채혈시 일령을 독립 변량으로 하고 혈청 성분들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 회귀방정식으로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세우나 비거세우 모두 같은 차수의 회귀방정식이 접합한 혈청 성분은 IGF- I (3차식) calium(1차식) 및 IP(1차식)이었고 거세우에서는 1차식이 적합하고 비거세우에서는 3차식이 적합한 혈청
        4,200원
        17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액성분과 경제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한우의 능력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맞추어 사양관리와 판매처를 결정할 수 있고, 기존의 종축선발 체계와 결합시킴으로서 선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한우 866두의 혈액 중 호르몬과 대사물질을 분석하여 혈액성분과 경제형질과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액 내 유용한 생리적인 형질을 발굴하여 능
        4,200원
        17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TT군은 NTT군 비교해서 14.46%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은 SS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21.29% 증가하였고 94.98%로 억제되었다. LDL-Cholesterol에서는 STT군이 TTA군 보다 12.86% 감소하였으며, 48.34% 로 억제되었다. 2.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TTA군이 NTT군에 비해 34.84% 증가하였다. TTA군에 비해 STT군은 7.06% 감소하였으며, 18.9% 억제시킨다. 3. 간조직중의 MDA량은 STT군이 TTA군에 비해 17.14% 감소하였고, 32.72%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17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hidathion을 흰쥐에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투여경로에 따른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뇨 중 dialkyl phosphate의 시간별 배설량과 그 외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thidathion을 경구 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공통적이 대사물질인 dialkyl phosphates 중 세 가지 물질인 DMP, DMTP 및 DMDTP로 동일하게 배설되었다. GC/MS로 주요조간이온을 확인한 결과 DMP는 m/z=153,127, 109, DMTP는 m/z=198, 169, 142, 109 그리고, DMDTP는 m/z=158, 125, 93에서 분자이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dialkyl phosphates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의 경우 DMP는 12시간 이내에 79.2%, DMTP는 24시간 이내에 93.3% 그리고, DMDTP는 12시간 이내에 83.0%가 배설되었고, 피부도포의 경우 DMP는 24시간 이내에 71.1%, DMTP와 DMDTP는 48시간 이내에 각각 82.8%, 87.7%가 배설되었다. 이 결과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는 48시간 이내에 뇨 중 dialkyl phosphates가 완전히 배설되는 반면 피부도포 한 실험에서는 각 개체의 상태에 따라 대사물질들이 늦게는 168시간까지 배설이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흰쥐에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dialkyl phosphate 중 DMP, DMTP 및 DMDTP로 검출되었으며, 경구투여와 피부도포 시 뇨 중 etkanfwlf의 차이는 없었으나,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의 경우 배설이 더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methidathion의 뇨 중 대사물질인 DMP, DMTP 및 DMDTP는 이 농약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야온 25/20℃, 상대습도 70%로 조절된 생육상내에서 명기 시간과 암기 시간의 비를 1 : 1 로 일정하게하고 광주기를 24h(명기 12시간 : 암기 12시간)와 6h(명기 3시간 : 암기 3시간)로 설정하여 토마토와 고 추 묘의 양분흡수 및 탄소대사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마토에서는 처리후 15일 6h에서 건물중, 초장, 엽면적, 엽록소함량 및 수분흡수량 감소와 함께 황화현상이 나타났으나, 고추에서는 6h에서 엽록소함량이 약간 낮았을 뿐 처리간 생장 차이는 없었다. 전체 처리 기간을 통해 NO3, P, K, Ca 및 Mg의 흡수량은 광 주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Fe의 흡수량은 두 작물 모두 처리후 10 일부터 6h가 24h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엽록소함량이 가장 낮았던 처리후 15일과 토마토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한편, 엽중 sucrose 함량은 토마토의 6h에서 높았으나 glucose는 24h에서 더 높았다. 본 실험 결과는 광주기 단축에 의한 엽중 엽록소함량 저하와 황화현상은 Fe 흡수량 부족 및 엽중 sucrose 축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