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6

        81.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그릿, 메타인지, 학 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간 호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은 2024년 4월 1일부터 4월5일까지 경북지역의 일개 간호대학생 210명 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병렬다중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PROCESS Macro의 4번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와 그릿(r =-. 313, p<.001), 메타인지(r =-.303, p<.001), 학업성취도(r =-.378, p<.001) 는 부적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학업성취도와 그릿(r =.289, p<.001), 메타 인지(r =.244, p<.001)는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으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그리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의 부분매 개 효과(B=-0.03 CI[-0.06~-0.01])가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2.5%였다(F=13.99.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그릿을 강화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400원
        82.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주관성을 탐색하였다. 대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주관성을 조사하여 이를 이해하고, 공통점을 가진 유형 의 그룹화를 통해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각 유형과 Holland의 직업 흥미 유형 간의 유사한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 커 리어코칭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 검토, 설문, 면담 등을 통해 취합된 총 272개의 Q 모집단 가운데 가장 대표성이 있는 33개의 진술문을 최종 Q 표본 으로 선정하고, 2023년 기준,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40명을 P 표본으 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성취추구형’, 제2유형은 ‘안정추구형’, 제3유형은 ‘적성추구형’, 제4유형은 ‘탐색추구형’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은 주관적인 직업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명확한 가치관과 목표를 설정하여 실제로 추구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고, 학생들의 진로교육과 직업 적응을 위한 효과 적인 커리어코칭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6,300원
        83.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의 입장에서 갈수록 중요해지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비 교과 프로그램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분석하여, 대학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 소 재 K대학을 대상으로, 대학 소재 지역 인구의 중요한 축인 다문화시민 관련 문제 탐색 및 해소 방안 마련을 위한 지역문제 해결형 비교과 프로 그램을 기획, 운영하였다. 선발된 4명의 참여 학생과 담당 교수는 지역 사회 다문화 관련 지자체, 산업체, 시민 등과 논의를 위하여 현장으로 직 접 찾아가 총 7회의 논의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 청 소년 대상 멘토링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기존 멘토링 프로그램의 한계 를 파악하였다. 이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지역사회 다문화 관련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2회 받아,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본 비교과 프 로그램의 만족도는 비슷한 시기에 운영된 다른 비교과 프로그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가 부족 한 상황에서 사례를 제시한 의의가 있다.
        5,500원
        84.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study aim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rough photovoice and focus group interviews.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s and quality of practicum education for women’s health nurses were explor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senior male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ey captured topic-specific photos depicting their experiences in a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rough the photovoice method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the PHOTO strategy to explore the meanings behind the photos. The final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he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produced five themes: “The untraveled Way.”, “Role conflicts amid indifference.”, “Opportunities that never come.”, “Unable to overcome gender barrier.”, and “The time of perseverance and hope.”, These five themes were accompanied by 13 sub-themes. Conclusion: Though initially apprehensive, the study participants engaged in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es with excitement and anticipation. Despit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role conflict due to gender differences, they discovered opportunities for growth through a simulation practicum. Anticipating personal development from their experiences, they desired a future in which male nurses would be recognized solely as nurses, without gender distinctions.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vent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Comprehensive endeavors are necessary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programs covering diverse topics.
        5,200원
        85.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노인스마트폰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를 분석하였다 대학생과 노인 각각 명을 대상으로 . 20 11회기의 노인스마트폰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적 용한 다음, 비모수 집단의 Wilcoxon 결합-조 기호-순위검증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의 노 인에 대한 태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노인스 마트폰활용교육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노인스마트폰활용교육 프로그램은 노인과 대학생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대학생들로 하여 금 노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돕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부정적인 태도를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시키는 데 노인스마트폰활용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 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600원
        86.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 정체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4학 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정체감과 양의 상 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 성별이였으며 설명력은 3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4,000원
        87.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시의 2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평균 2.49(SD=0.54)점, 의사소통능력3.24(SD=0.67)점,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3.83(SD=0.5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은 공감능력(r= .348, p< .001)과 의사소통능력(r= .351, p< .001)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β= .240, p= .002)과 의 사소통능력(β= .246, p= .002)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학생활적응을 약 16.0%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을 위해 교과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8.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대학 CTL에서 운영하는 대표적인 교수지원 프로그램인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설팅 참여 여부에 따라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대학에서 2022년 1년 동안 운영한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 설팅에 참여한 교수들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파악하고, 총 2,062개 교과의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수법 특강에 참여한 교 수는 59.1%였으며,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수는 15.9%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법 특강 참여교수의 강의평가 점수는 미참여 교 수의 강의평가 점수보다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수업컨설팅에 참여 여부에 따른 강의평가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교수법 특강, 수업컨설팅과 같은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한 것과 교수법 특강 참여가 강의평가 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학에서의 교수법 특강과 수업컨설팅 설계, 운영과 평가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5,800원
        8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취업 준비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업 불안과 구직효능감 수준에 따른 군집유형 분류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 석, 2단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 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따른 군집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1 은 ‘낮은불안-낮은효능감 집단’으로, 군집2는 ‘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 단’, 군집3은 ‘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 군집4는 ‘높은 불안-매우 낮 은 효능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 간의 취업준비행동은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2(낮은 불안-높은 효능감 집단)와 군집3 (높은불안-중간효능감 집단)은 군집1(낮은 불안-낮은 효능감 집단)와 군 집4(높은 불안-매우 낮은 효능감 집단)에 비해 취업준비행동을 더 적극 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취업지도 분야에서 군집유형별 진단을 통해 맞춤형 취업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 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6,300원
        90.
        202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relative clauses (RCs) used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 standardized test for college admissions in Korea.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and the impact of the antecedent’s animacy on RCs. Also, it was explored how NPs in the subject position of object RCs affected language processing, specifically, the condition where relativizers were omitted and the reasons for producing passive subject RC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SAT and mock tests from 2019 to 2023. The analysis of 622 RC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requency of RC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subject RCs, object RCs, then OBL. Second, the object RCs showed a preference for inanimate antecedents whereas the subject RCs used did not show a preference for animate antecedents. Third, NPs in the subject position with sentences containing object RCs predominantly took the form of pronouns, with common nouns used less frequently.
        5,700원
        91.
        202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ddress the English proficiency of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universities often use in-house language tests. C University lacks specific exams for identification, and relies on students’ English performance in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English).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 TOEIC Bridge, a standardized English proficiency test develop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provide an effective, practical measure for screening underachieving students in English.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EIC Bridge and CSAT English performance,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ue of TOEIC Bridge on CSAT outcomes. Analyzing data from 418 students, the study identified (1)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OEIC Bridge and CSAT English performance, and (2) predictability of CSAT English performance based on TOEIC Bridge, suggesting that TOEIC Bridge can provide a potential tool to identify underachieving students in English. These findings contribute pedagogical insights for tertiary education.
        5,400원
        92.
        2024.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활동과 학교생활에 더욱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경북 지역 25세 이상 성인학습자 2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25 일부터 2020년 11월 24일까지 직접 방문 및 구글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15부로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4부의 설 문지는 제외하고 총 21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학 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 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성인 학습자의 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 은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 인학습자의 대학동아리 활동 지속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자아 존중감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동아 리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고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 함을 시사한다.
        5,800원
        9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ustainable die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8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of the study subjects was 4.03±0.72 points for economic responsibility and 3.48±0.81 points for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 awareness of economic responsibi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3.62±0.61 poi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gender. Second, the level of a sustainable diet was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4.06±0.63),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and diet (3.94±0.68),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3.45±0.77), and healthy diet (3.26±0.89).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a sustainable diet, female students had higher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and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ood circulation system than male students. Third, the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economic responsibility and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variables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sustainable diet. Among these, social-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wareness had the highest influence.
        4,000원
        9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rogram using the Room of Errors (ROE) technique to enhance the patient nursing student’s safety competencies and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Methods: We conducted a methodological study using the ADDIE model for program development (Molenda, 2003). During the ROE activities, students identified errors that threatened patient safety.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in the implementation phase by measuring students'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s: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ROE program was 4.90 ± 0.36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pre- and post-ROE program patient safety confidence scores (H-PEP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from 3.62 ± 0.54 to 4.19 ± 0.60. Participants' subjective evaluations were generally positive, indicating increased insight, confidence, and vigilance in error prevention.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s significant findings, it would be beneficial to encourage stud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utilize ROE programs to enhance patient safety competencies.
        4,900원
        9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coaching’ and ‘L2 learning experiences’ on TOEIC learning among low proficiency learners. Among the 194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classroom coaching, the 23 students who scored 2 to 6 (out of 25) on Simple TOEIC 1 were given three individual coaching sessions. The effect of coaching was quantitatively proven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conducted on the scores of Simple TOEIC 1 and Simple TOEIC 2 between the individual coaching mixed group and the classroom coaching only group. The more individual coaching participants had different types of L2 learning experiences, the more their English achievement improved. In contra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assroom coaching only saw their academic performance decline. During individual coaching, participants who improved their English language achievement ha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feelings (confidence), while those who did not improve their grades experienced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feelings. The clearer each participant’s learning goals (ideal L2 self) were, the more specific and continuous learning was possible, which was linked to improved English language achievement. Qualitative data from individual coaching sessions revealed the reasons for some participants’ academic success or failure.
        6,000원
        96.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assessment, communication, clinical judgment, and patient safety on evidence-based practice (EBP) competency through simulation train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 December 11 in 2023 to January 30 in 2024,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final participants were 230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Multiple regression, t-test,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imulation trai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EBP competenc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of EBP was Clinical Judgment, followed by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BP competency. Conclusion: It is crucial for nurses to implement EBP to provide high-quality nursing and advance nursing as a science. However, since EBP competency is difficult to acquire in a short period, education on EBP is necessary from nursing school. Simulation training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EBP. Our study suggests incorporating elements that strengthen competencies in clinical judgment and communication when establishing a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EBP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4,200원
        97.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work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on job preparation behavior in Graduation yea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are 4th grade students who are attending two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s in city G and 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3.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trinsic values (β=-.127, p=.122) had not statistically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Extrinsic values (β=.168, p<.001) and career adaptability (β=.415, p<.001) ha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variables predicting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career adaptability and extrinsic values. The study model accounted for 35.5% of job preparation behavior. It suggest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extrinsic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promote job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nursing and the sense of calling of nurses who perform nursing,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intrinsic values of nursing itself is also an important aspect that nursing students preparing to become future nurses must cultivate.
        4,200원
        100.
        202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