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41.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개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시간,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방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277명을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2015)에서 사용한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삶의 만족도 척도로 각 변인을 측정하고,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는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가족과의 대화시간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은 가족과의 대화 시간을 줄어들게 만들고, 가족과의 대화 시간이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과의 대화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을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관심을 갖고 자가조절이 가능하도록 교육과 지원이 요구된다.
        4,800원
        4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성인식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최근 몇 년 사이 대화형 에이전트는 스마트폰, 인공지능 스피커 등을 통해 널리 보급되었다. 음성인식 기술의 인식의 정확도는 인간의 수준까지 발전하였으나, 여전히 말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는 것과 긴 대화를 이해하는 것 등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화형 에이전트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오류 상황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목소리를 주 인터페이스로 하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경우, 대화형 에이전트의 기능 및 한계에 대한 피드백의 부족은 지속적 사용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화형 에이전트의 기능 및 한계를 보다 잘 이해하고 오류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으나, 아직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사회적 전략 중 ‘사전 양해’와 ‘사과’를 대화형 에이전트에 적용하고 이러한 전략이 사용자가 에이전트에 대해 느끼는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양해와 사과 여부를 나누어 사용자가 대화형 에이전트와 대화하는 데모 영상을 제작하였고, 실험참가자들에게 영상을 보여준 뒤 느끼는 호감도와 신뢰도를 설문을 통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총 10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문헌조사를 토대로 한 우리의 예상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얻었다. 사전 양해는 오히려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었으며, 특히 에이전트에 대한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류 상황에서의 사과는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나 신뢰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원인을 파악한 결과, 실험참가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람과 같은 인격체보다는 단순한 기계에 가깝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인간관계에 작용하는 사회적 전략이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가 에이전트를 얼마나 기계, 혹은 사람에 가깝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오류 상황에 대한 에이전트의 대처 방식 또한 달라져야 함을 보여준다.
        4,300원
        4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Hyeon-Seok. & Kim, Minji. 2018. “A Multivariate Analytical Study of Variation Patterns of Honorific Final Endings in KakaoTalk Dialogu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6(1). 1~30. On the basis of KakaoTalk conversation dat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riations found in the use of honorific final endings, expecially haeyo and hapsyo styles. For this study we collected 3,087 tokens of honorific final endings from the dialogue of 8 KakaoTalk group chat rooms. Through multivariate analyses using Goldvarb and LVS, we examined whether the linguistic and external constraints, which were claimed by Kang (2011) to constrain the usage of haeyo and hapsyo styles in spoken language, also operate in the KakaoTalk dialogu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not only far more variants in the KakaoTalk data (12 variants of haeyo and 6 variants of hapsyo) than in spoken language but also various additional variants realized with pronunciation spelling and partial omission of final endings. As in the spoken language, ‘sentence type’, ‘speaker's gender’, ‘rituality of utterance’, and ‘formality of situation’ were analyzed as constraints which had a strong effect on the variation. In the data examined, besides haeyo and hapsyo styles, new honorific styles of hao, hasoseo, seupjyo, handayo, hasem/hasam were also found. Two new types of variants which was not yet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were also observed in the data: variants of ‘syam’ and ‘syeom’ of hasem/hasam styles and two variants of ‘yo’ realized with consonant addition to the onset position.
        7,000원
        4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and Japanese use disagreements and negative assessments to frame their actions a jok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raming strategies in natural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I have found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nversations and Japanese conversations: (A) In Japanese conversation speech level shifts and formulaic expression were used as contextualization cues that signal a joke while Korean used personal pronoun shifts and in some case, negative assessments were uttered without apparent contextualization cues. (B) To avoid the possibility that their utterance is regarded as a face-threatening act, Japanese speakers shift a frame by clearly expressing that their utterance is a joke. As a result, hearers participate in the joke frame without being misled. On the other hand, Korean speakers frequently utter negative assessments without apparent contextualization cues and tend to rely on how hearers interpret the frame.
        6,000원
        4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Hyun-ju & Lee, Keun-myoung. 2017. “The Effect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n Participation in Group Discuss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3). 65~9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ith non-hierarchical language use such as using no titles or honorific forms affects speakers' participation in group discussion in a hierarchical organization setting. Assuming that the complexity of the Korean honorific system could be a factor of Korean students' or employees' passiv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in class or workplace, we examined whether the use of equal-level speech styles would facilitate the active discussion environment. Furthermore, an online chat platform was served as an online discussion space, which enforced equal-level tal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s of speakers of low position, who maintained a low participation rate during offline meetings, gradually increased during online discussion, while participants of high position, who were dominant talkers during offline discussion, appeared less active in online meetings. Thi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mmunication mode(online vs. offline) and participants' rank. Although the language effec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we found a tendency that the participation rate was higher at the equal-level chat room than at the control roo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akers' act should be influenced by communication modes: speakers of low position seem to participate more freely at an online mode than at an offline mode, although the effect of the Korean honorific system on speakers' participation in discussion was not conclusive.
        6,600원
        4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Hyeon-Seok & Kim, Minji. 2017. “Aspects of Variations of ‘ye’ and ‘ne’ Observed in the Dialogues of the Instant Messenger KakaoTalk”.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3). 1~27.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riations found in the use of ‘ye’ and ‘ne’ in the conversations of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alogues from the 159 KakaoTalk chat room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Language Variation Suite. As many as 17 variants of ‘ye’ and ‘ne’ were observed in the data analyzed compared to just the four variants of the speech data (Kang 2009), revealing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data types. Further, the ‘ne’ variants were absolutely dominant, comprising 90% of the tokens, making them gender-neutral in this variation.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gender’ was the most important constraint influencing the variation: Men used the ‘ye’ variants 25% of the time, while women used them only 4% of the time. Age was another important factor: Older people used the ‘ye’ variants more than younger peopl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ew medium of net language (Crystal 2001) could produce radically different results from spoken language even when the same sociolinguistic variables are analyzed, and it may point to a new direction of research in variation theory.
        6,600원
        4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ee Won. 2017. “The Use and Discourse-Pragmatic Function of wo buzhidao in Naturally Occurring Mandarin Chinese Convers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167~192. This study investigates several aspects of Chinese (wo) buzhidao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cluding its distributional properties and discourse-pragmatic functions in conversational contexts. This study has found that (wo) buzhidao occurs in conversational environments other than in reply to information questions and carries more interactive and social implications than had been previously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First, (wo) buzhidao marks the speaker’s uncertainty and concerns about the truth of the proposition expressed. Second, (wo) buzhidao constructs the speaker’s neutral position by disattending opinions, assessments, or troubles. Third, (wo) buzhidao avoids an explicit disagreement. The use of (wo) buzhidao as a stance marker allows the speaker to convey his/her consideration for the hearer’s face, and it can help to achieve a range of interactional goals. Native speakers of Mandarin Chinese employ (wo) buzhidao in conjunction with other interactive strategies to organize their speech via their recipient enabling mutual intersubjectivity.
        6,400원
        4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와 국제교역량의 증가 등에 따른 국내 돌발해충 및 외래침입해충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검역해충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류동정을 통해 금지급 및 관리급 검역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그 동안 다양한 연구사업들을 통해 주요 검역해충들에 대한 맞춤형 분류키를 개발하여 구축하여왔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계단식 검색표로서 곤충분류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쉽지 않다.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주요 곤충그룹들에 대한 대화형 키(interactive identification key) 제작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물해충, 진딧물, 독자처분해충들에 대한 대화형 키 제작 및 운용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역해충 분류동정에 대한 대응방안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50.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생성적 대화가 인식론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학 모델에 관한 이해와, 실행 과정의 측면에서 모델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여자중학교 1학년 49명의 학생들에게 총 5차시 모델 구성 수업을 실시한 후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2개 조(8명)의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2개 조(9명)의 학생들의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을 비교하였다. 모델에 관한 이해는 Upmeier zu Belzen and Krüger (2010)의 분석틀을 사용하였고, 모델 구성 과정은 Baek et al. (2011)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조의 학생들은 모델을 새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로 인식하였지만, 참여하지 않은 조의 학생들 은 모델을 현상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 구성 과정을 측정하는 분석틀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써 공동생성적 대화를 모델 구성 수업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400원
        5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예이츠와는 다른 면모를 보이는 3편의 시를 다룬다. 「참사」에서는 예이츠의 「1916년 부활절」에서 영웅적 태도를 눈에 보이게 칭찬하는 것에 대 한 비난을 암시한다. 그리고 히니는, 근본적인 인간적인 것에 근거하는 통찰을 보이기 는 하지만, 보다 믿을 만한 윤리적 기준을 예이츠의 「어부」에서 찾는다. 「밀짚 매듭」은, 의도적으로 보다 겸허한 상상을 하지만, 엑프레스틱한 시인데, 이 시는 「비잔티움으로의 항해」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반향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헛것 보기』 시집에 서 히니는 형식, 인생과 영혼 사이의 관계에 대해 예이츠와 철학적 대화를 시도한다. 예이츠의 사색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도, 히니는 인생은 별개의 영혼의 차원에서보 다는 내면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4,500원
        5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저리과(Tenebrionidae)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큰 그룹으로 세계적으로 2,300속 20,000여종이 기록되어 있고(Zhang, 2011), 형태적으로 다양한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장곡물 해충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골판지트랩(30×30cm)을 이용하여 전국의 미곡종합처리장(RPC)에 발생하는 저장곡물해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거저리과의 미기록 해충인 Cynaeus angustus (LeConte)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한편, 저장곡물에 발생하는 국외종 4종(Ulomina carinata Baudi; Gnatocerus maxillosus (Fabricius); Tribolium destructor Uyttenboogaart; T. madens (Charpentie)을 포함한 17종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하여 일반인도 쉽게 동정할 수 있고, 식물검역과정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디지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대화형 도해검색표를 작성하였다.
        5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fucianism and Taoism both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the history of China. On the whole, such a trend can be found that when the nation is united and the society is stable, Confucianism would prevail and dominate the political orientation. However, Taoism would become the mainstream of social ideology and the main theme of thought together with Buddhism when the nation is in the state of war and there is social unrest. Therefore, it’s obviously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chools are. Confucianism emphasizes on “Difference”, however “Equality” is an important part of Taoism. The refined two terms probably reflect the difference in expounding ideas and practicing theoretical path between them. Confucian politeness rule “being harmonious then respectful” (亲亲尊尊) standardizes Chinese millenarian civilization. Since the existence of Confucianism, it has great influence on each dynasty. It, meanwhile, explicitly specifies a class difference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and between the lower class and the upper class, which is also an equidifferent logic paradigm. On the other side, it appears that Chuang Tzu’s “On Leveling All Things”(齐物论) is unruly uninhibited. However, the “Equality” philosophy builds strong inner strength in a large context and it also has great soft influence on the social framework which is composed of Confucianism on the surface and legalism beneath the surface. Up to now, the intertexture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can probably still contribute to the rebuilding of the Golden Rule by means of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ought and profound historical accumulation.
        4,300원
        5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ee-won. 2015. “The interactional function of the first-person plural pronouns women and zanmen in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239~266.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first-person plural pronouns in spoken Chinese from a conversational-analytic perspective. Focusing on the pronouns, women and zanmen,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first person plural pronouns systematically functions to create a membership category between participant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exact categories that are enacted and how the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recognize and use them in the course of an interaction. We argue that participants produce and recognize categories in their talk and that these categories index aspects of a speaker'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icipants, such as social difference or intimacy. This study offers a new understanding of what motivates speakers' choice of discourse forms and patterns in the evolving sequence of talk.(123 words)
        6,700원
        5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많은 학자들이 편리한 동정을 위해 검색키를 사용해 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검색키로는 전통적인 검색키와 대화형 검색키가 있다. 전통적인 검색키는 기본적으로 트리구조로, 두 가지 형질 중에 양자택일을 하여 순차적으로 형질을 선택해 가는 방법이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양자택일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형질선택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 반면에, 대화형 검색키는 트리구조와 관계없이 어떠한 단계의 형질이든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대화형 검색키 구조를 응용하여, Pictorial Key를 추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 복잡한 용어나 수식이 필요 없이, 이미지만을 이용한 직관적인 동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나 일반인들도 사용할 수 있는 검색키 작성이 가능해진다. 이 방법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나비 200종에 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57.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n Hui-Youn 2014. The Meaning of Conversation as a Socio-cognitiv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alyzing conversation type of microgenesis in the Sociocultural theory's point of view.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nversational phenomenon that shows socio-cognitiv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concepts in the ‘sociocultural theory’s point of view and descriptive methodology based on the ‘conversational analysis'.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as transcribed by observing the conversations generated in the situation where fou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Mongol performing story-making and, interview. Based on this analysis data, this study caught conversational scenes that show the second language development as ‘microgenesis’ phenomena and tried to find the theories of acquisition and conversation organization involved in these conversational scenes. As results of analysis, firstly, this study could see clinical conversation types of microgenetic development generated to complete story-making; secondly, this study could observe cooperative conversational phenomena of microgenetic development accompanied by conversational phenomena such as repair or metaenonciation during the course of interview.
        6,700원
        5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 Microsoft Kinect-based hand recognition algorithm for an interactive image clipping system, which is widely used for environments such as public facilities and security environments where personal capturing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are not allowed. User-friendly interface and accurate image capturing function are required for an image clipping system. We build the system by combining Microsoft Kinect, HD webcam and projector. The Kinect and webcam are used to capture the motions of users' hand and project is to display the user-selected area from the capturing material. Hand recognition is composed of three steps: (i) the region occupied by users' hand is extracted from an image, (ii) the fingertips of the extracted hand region are analyzed using k-curvature algorithm, and (iii) the height of the fingertip is estimated using the depth image from Kinect. The height of the fingertip informs whether users' finger touched the surface of the target. The region captured by the fingertip is clipped from the image and stored as the target image. The excellence of our hand recognition algorithm is proved through a user test.
        4,000원
        5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d dialogues in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sociolinguistic variables and dialogue structure ru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shows that dialogues take place most frequently in the areas of speaking and listening while dialogues appear in the area of writing at the lowest rate of 10 percent.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dialogues based on sociolinguistic variables shows that in most textbooks dialogues take place in various places such as houses, stores, schools, streets and restaurants, but places in some dialogues are not identified. As for the topics of the dialogues, leisure and hobbies, traveling, food, and giving directions are the most common topics. There are many dialogues which do not have any specific topics but include basic expressions for communication. Moreover, most dialogues do not identify clear relation among participa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Lastly, the analysis of the dialogue structure rules finds that as for the length of the dialogue, one or two rounds of exchanging of talks are the most common and in the most cases the format of taking turns of speaking is the set of A-B-A-B, which indicates that the dialogues are very simply structured. The cases of adjacent pairs are mainly focused on question and answer sets. From the analyses, it is found that if we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ialogues appearing in current Japanese textbooks and include the sociolinguistic variables and diverse dialogue structure rules into the dialogues to construct more authentic dialogues, the dialogues provided in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will be a lot more helpful to improv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5,700원
        6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감성코칭대화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코칭 연구자 24명이 강조하는 코칭핵심요소 중 코칭대화모델이 가능한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추 출된 코칭핵심요소는 코치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도록 형상화 하였다. 새로운 코칭대화모델을 형상화를 하기 위한 전 단계로, 국내에 코칭 펌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칭 대화 모델을 참고 하였고, 인터넷을 통하여 국외 코칭 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 칭 모델 자료를 수집하여 이들도 참고 하였다. 코칭연구자 24명이 제시한 코칭 특성 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제시한 것은 관계에 대한 스킬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둘째, 목표설정 을 중요한 스킬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질문스킬이 중요한 코칭핵심요소이리고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가지 요소를 형상화, 구체화 한 OWH코칭대화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코칭을 하다보면 코칭대화가 잘 되지 않아서 자기를 자책 하는 경우가 있은데 이런 경우에 대비하여, 수용참여치료모델(ACT: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and Acceptance, Choose, Take action)을 참고한 I-ACT(Insight , Acceptance, Choose, Take action)모델을 제 시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한 제한점과 후속연구로 본 코칭대화모델의 효과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5,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