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2

        80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 교수법을 적용한 공공예술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것들의 의미를 밝혀내는 데 있다. 연구진행을 위해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에 대해서 PBL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학습자들이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학습자들이 제시하는 동두천 도시재생을 위한 키워드들은 크게 콘텐츠, 도시환경, 홍보로 범주화되었다. 콘텐츠 범주에 속하는 주요 키워드는 축제, 공연 등의 이벤트 요소와 먹거리, 체험, 학습프로그램 등이었다. 도시환경 범주의 주요 키워드는 복고풍, 리디자인 등이었다. 그리고 홍보 범주에서는 SNS와 유투브 등이 주요 키워드로 추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동두천, 특히 보산동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학습자들은 공공미술에 대해서 PBL 학습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이며 상호작용적으로 학습하였고, 학습결과를 위해 문제해결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학습을 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방안 발표내용은 이처럼 학습몰입의 결과이고,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팀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 속에 담긴 키워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니즈를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동두천의 미래발전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80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비스 산업이 중심을 이루던 도시 산업 전반이 서비스 포화로 인한 저성장 시대로 진입하면서 도심을 중심으로 소규모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도시형 소공인 제조 산업이 도시 산업 재생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빠른 속도로 산업 전반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역시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제조업과 AI,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반의 지능정보기술의 결합을 시도하며 이를 핵심으로 하는 도시제조업 중심의 제조업 재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기류와는 달리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도시제조업은 자금, 공간, 인프라, 인력, 기술 및 지식 고도화 부족 등으로 인해 4차 산업 혁명 대응 역량이 낮아 도시 산업 재흥의 성장 동력이 되기에는 총체적인 난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 및 지방정부, 유관 공공기관들의 서울시 도시제조업 지원 정책사례와 해외 사례 연구의 프로토콜 분석 및 고찰을 통해 기존 정책의 문제점과 원인을 살펴보고, 제조와 유통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이를 위한 도시형 소공인 협동조합 구성 등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도시제조업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80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It suggests that making a policy and strategies for a way of Dubai has a strong priority strategy on science and technology by using much oil dollars to prepare risk when oil dollar’s decrease. This has been now investigated how the leading innovator has changed the periphery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nalyze policy, status, what other neighbouring Middle East countries also want to benchmark a successful case of a leading Dubai strategy. Higher manpower is needed absolutely to develop S&T. and etc. Dubai and Arab countries establish university to nurture as well as invite the talented manpower from overseas to recover deficient manpower. Dubai built totally academy city and invited branch of the overseas famous university, and Saudi Arabia built university(KAUST) and invite faculty and support good scholarship for students. Abrab countries especially, This is studied the process of differentiating and integrating the migrant workers of these cities into the globalized cities. This has resulted in large-scale employment for foreign and local companies in these cities and the spread of science and innovation. Results – Dubai supports venture or SMEs by using a strong priority strategy and attracts foreigner’s investor, with which the neighbouring countries have been preparing together for 4th wave. It demonstrates that the gravitational model has been activat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of innovation science to create Dubai‘s hub. The maturity of long-term urban innovation is related to innovation capability through the national response and review. As a result, the flow of skilled international migration has been localized because of the mutual intersection with the local employment 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has spread as it spreads to neighboring countries. Conclusion – For the exploiting of new Distribution market in the neighbouring countries, Middle East countries’ a strong priority strategy on S&T and education system give an influence on economic situation of the 4th wave in the world and world order of leading by USA, Japan, or EU, and etc. This is due to the creation of clusters in the form of SEZs, friendly industrial policies and world-class infrastructure and innovation development. Its neighbours benchmark the cases of distribution of science innovation and centralizes the surrounding people.
        804.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several weather types and the change in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se weather types were analyzed over a decade (2007-2016) in seven major cities and a remote area in Korea. Th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ourly (or daily) observed data of weather types (e.g., mist, haze, fog, precipitation, dust, and thunder and lighting) and air pollutant criteria (PM10, PM2.5, O3, NO2, CO, and SO2). Overall, the most frequent weather type across all areas during the study period was found to be mist (39%), followed by precipitation (35%), haze (17%), and the other types (≤ 4%). In terms of regional frequency distributions, the highest frequency of haze (26%) was in Seoul (especially during winter and May-June), possibly due to the high population and air pollutant emission sources, while that of precipitation (47%) was in Jeju (summer and winter), due to its geographic location with the sea on four sides and a very high mountain. PM10 concentrations for dust and haz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ree cities (up to 250 μg/m3 for dust in Incheon), whereas those for the other four types were relatively lower. The concentrations of PM2.5 and its major precursor gases (NO2 and SO2) were higher (up to 69 μg/m3, 48 ppb, and 16 ppb, respectively, for haze in Incheon) for haze and/or dust than for the other weather typ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O3 and CO for the weather type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frequency of weather types and the related air quality depend on the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s.
        805.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의미 고찰을 위해 대다수 현대인이 거주하는 도시 공간과 그 곳에서의 일상적 삶의 모습을 정리하면서 관료제, 일상성, 소외 문제 등으로 대표되었던 도시생활 의 특성이 여전히 지속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런 가운데 동시대 미술은 개인과 공동체를 통합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참여 주체간의 협업을 통한 집단 창작도 수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의 확장은 물론, 미술에 시간성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기에 이르면서 과정상의 행위 자체가 작품으로 간주되는 등 변동성까지 내포하게 된다. 그중 사회참여미술은 미술이 공동체 구성원들의 현실 참여를 이끄는 매개가 되어 사회적 쟁점사항에 대한 주변의 관심과 변화를 촉발시키면서 미술의 공적 가치를 보여주는 장르라 해석할 수 있다. 행위예술의 예술적 개념과 작업 방식에, 크고 작은 우리의 삶속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행위가 더해짐으로서 매체 간, 영역 간의 통합적 접근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었다.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교육활동 구안을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관심,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능력, 참여자들 간의 비판적 대화 과정 등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특히 실천 지향의 교육활동으로 자아와 타자,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 지어 바라보는 경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끝으로 삶을 지탱하는 힘을 키우고 인간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시대의 직면 문제를 극복해내는 역량을 키우는 학문이 인문학이니 만큼, 미술교육 또한 그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80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전 관평천의 도시유역에서 2017~2018년에 발생한 강우 20건의 유출수를 연속적으로 채취하여 As, Cd, Cr, Cu, Ni, Pb 및 Zn 의 중금속 및 총고형물질(TSS) 농도와 유량을 분석하고, 강우특성과 수질 변화의 강우사상별 및 시간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일정 강우강도에서 오염물질의 최대농도는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작은 경우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발생하는 것이 관찰 되었다. 강우지속시간은 중금속 농도 및 부하량과 큰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Cu와 Zn을 제외한 중금속 질량은 강우강도(0.60~0.88) 및 총강우 유출량(0.74~0.89)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강우 시 유량가중평균농도와 선행무강우일수 또한 양의 상관성(0.54~0.73)을 보 이는 반면, 30분 강우강도로 표현된 시간별 유출량과 TSS 및 중금속 농도는 전혀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강우 기간 동안 지표면에 축적된 오 염물질이 최소한의 강우 에너지에도 세척효과가 발생하여 강우특성과는 무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중금속과 TSS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특성은 상관계수가 0.68~0.87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고형물질의 이동과 중금속 물질의 이동이 함께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동시에 중금속이 고형물질에 흡착되어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강우 시에 유역 표면의 고형물질을 청소 등으로 사전에 제거할 경우 하천으로 유입되는 중금속오염물질의 양을 현격하게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80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urban park utilization and master plan in rural areas. Urban parks designed for the rural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med type for rural tourism, a community type for hub regenerations and a waterfront type fo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To use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ness, these types are required a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nd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of local tourism resources have to be integrated by utilizing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urban parks in rural areas can be defined as a part of the public benefit project aim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lso, urban parks are necessary to use attractions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proposed two sustainable master plans as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Baelyeonje, Gulye-gun. For ecologic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d the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which reinforces the scenic resource of Nogodan in Mt. Jiri by developing the underdevelopment plan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building the Mt. Jiri tourism complex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needed to promote investments for securing mutual economic benefits.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social equity and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rural areas are needed.
        808.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mparison of demand and supply is needed for efficient ecosystem services planning. However, the gap between them cannot be analyzed as existing studies mainly dealt with only the supply of ecosystem services. This study compares the demand and supply of ecosystem services in Shiheung using environmental complaints and urban planning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air’ and ‘water’ quality are magnified in demand, ‘energy’ and ‘water’ are crucial in supply. This result presents that citizen ask for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regulation services, although local government has plans for energy support in provisioning services. Periodic ecosystem services demand and supply monitoring will be the base of effective ecosystem services planning, which reduce insufficiency and surplus.
        809.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our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mall greenhouse model suitable for urban farmers. The study analyzed installation inclination, positive and negative reasons for installation, location of installation, preferred crops in small greenhouses, plans for use of products, and expected effects by using small greenhouse. Positive opinion on small greenhouse installation was 80.4% of the survey respondents. The most positive reason for the installation of small greenhouses was fresh and safe food supply, and the negative reason was maintenance difficulties. The results obtained in our survey indicated that small greenhouses were more likely to be installed near the house, and urban farmers tended to grow organic leafy vegetables in soil. The expected benefits of small greenhouse operat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benefit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benefit for economic profits’, and expec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than economic benefit. As a result of the Likert 5-point scale analysis, ‘benefit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by using a small greenhouse was graded as high as 4.17∼4.60. On the other hand, the ‘benefit to economic profits’ was rated as low as 3.51∼4.14.
        810.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세계 각 도시들은 도시에 내재된 유·무형의 자원에 기초하여 도시의 내재적 정체성과 상징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도시는 경제적 성장을 넘어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문화와 가치를 차별화하기 위해 도시브랜드의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대다수 도시들은 다양하고 풍부한 자연조건과 지역문화 사상을 기반으로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도시브랜드 개발 사례 중 대표적 3개 도시 -항저우(杭州), 쑤저우(苏州), 시안(西安)- 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와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통하여 기초적인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지리 위치적 요소, 문화유산 요소, 정책 요소, CI·홍보 요소 등 4가지의 요소를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의 도시브랜드에 나 타난 상징과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중국 다른 기타 도시들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문화의 발굴, 과거와 현대적 문화의 융합, 사람중심, 도시이미지의 구상화에 기초하여 도시에 함축된 의의와 특유성을 찾아내어 도시의 정체성에 적합한 도시 브랜드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811.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on index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urban land use types were investigated in the city of Chungju. The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land use type was in the order: general commercial district (29.59℃)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28.34℃) > productive green district (28.31℃).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70.12%)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69.93%)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66.48%). The average wind speed was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0.95 m/s)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0.87 m/s)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0.54 m/s). Positive and negative ion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on index by land use type. The average amount of positive ion generated was in the order: general commercial district (737 ea/cm3)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492 ea/㎤) > productive green district (445 ea/㎤). The average negative ion production decreased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930 ea/㎤)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754 ea/㎤)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744 ea/㎤). The ion index calculated from measured data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productive green district (2.09) > general residential district (1.53) > general commercial district (1.01). These results confirm the state of positive and negative ion generation in each land use type. Further, the differences in the ion index by land use type were confirmed.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mple summer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any future investigation and research should consider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812.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rtical farming systems offer many advantages in urban spaces. They have also been proposed as an engineering solution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of cultivated land by extending crop production in the vertical dimension. However, soil water retention is a major constraint affecting the plant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growth environment of Tropaeolum majus and Fragaria spp., on the vertical farming system, by using four different types of cover material types including sphagnum moss (Control), a shading net (S.N.), multi-layered fabric (M.L.F.), and non-woven fabric (N.W.F.). The volumetric soil moisture contents and plan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2014. Plant materials were individually cultivated in hanging baskets measuring 30×17×17 cm, filled with a mixture of soil and perlite, and placed at 1.5m height. Each treatment was performed in quadruplicate and consisted of five plants, amounting to a total of 20 plan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different covers were associated with multiple functions and soil water retention improvement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vertical farming system. The difference in soil water retention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M.L.F. > Control > N.W.F. > S.N.. Furthermore, the differences in plant height and survival rat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M.L.F. > Control > N.W.F. > S.N. Therefore, M.L.F yielded satisfactory good response for the vertical farming system of cover materials.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vertical spaces represent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urban farming and suggest that further increases in yield may be achieved via different cover materials in vertical farming using hanging baskets.
        813.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도시유역의 수공구조물 설계기준의 불확실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관측자료(S0)를 기준으로 상세화 기법(downscaling) 및 편의보정(bias correlation)을 통해 생산된 RCP 4.5 기후시나리오 HadGEM3-RA (RCM)모델을 이용하여 S1 (2017~2046년), S2 (2047~2076년), S3 (2077~2100년) 기간의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평가하고,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최대첨두홍수량을 산정하고 기후변화 기간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확률분포형은 Gumbel, 매개변수 추정은 최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대부분의 도시배수시설물 설계빈도인 10년 빈도의 경우 3사분위값을 기준으로 50년 미래를 가정할 경우에는 약 10%, 70년 이상의 미래를 가정할 경우에는 약 20%의 확률 홍수량 증가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를 기준으로 설정된 설계홍수량으로 설치된 도시배수시설물이 미래에는 설계기준에 미달하는 시설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후변화에 대응 위해서 설계기준에 시설물의 내구연한을 고려한 미래 기후상태를 반영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81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aerobic granular sludge (AGS) in the advanced sewage treatment process. Simulated influent was used in the operation of a laboratory scale reactor. The operation time of one cycle was 4 h and the reactor was operated for six cycles per day. The volume exchange ratio was 50%. The influent was injected in divisions of 25%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in every cycle. As a resul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Cr and TN in this reactor were 98.2% and 76.7% respectively. During the operation period, the AGS/MLVSS concentration ratio increased from 70.0% to 86.7%, and the average SVI30 was 67 mL/g. The SNR and SDNR were 0.073 0.161 kg NH4 +-N/kg MLVSS/day and 0.071 0.196 kg NO3 --N/kg MLVSS/day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er or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other studies. The operation time of the process using AGS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Hence, this process can replace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815.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유역에서 발생한 유출은 지표면뿐만 아니라 하수관망을 통해 배수되며, 도시침수 모의 수행시 하수관망을 수문학적 배수 시스템의 한 구성요로서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시 침수 모의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적절한 기준에 준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하수관망을 단순화시켜 모의를 수행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D-2D 결합 도시침수 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수지상 구조에 구분법에 기반하여 단순화 된 하수관망의 도시침수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수관망 해석을 위한 1차원 모델은 Lee et al. (2017)에 의해 소개된 모형으로서 지표면과 하수관망 사이의 유입과 역류를 동시에 모의할 수 있고, 2차원 지표면 모델은 불규칙 삼각망을 이용하여 지표수 흐름을 모의하며 1차원 하수관망 해석모형과 연계되어 도시침수를 모의할 수 있다. 하수관망은 수지상 구조 구분법에 기반하여 2차, 3차 그리고 단순화 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하수관망은 서울시 사당역 인근에 많은 침수 피해를 발생시킨 2011년 7월 27일 강우 사상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케이스에 대하여 침수면적, 지표면에서 하수관망으로의 유입 유량, 하수관망에서 지표면으로의 역류 유량 등을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하수관망 단순화를 위한 적절한 기준 제시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다.
        81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 process to predict the maintenance cost for the aging urban infrastructure and to manage the facilities reasonably by establishing the budget execution plan based on prediction. It is anticipated that preemptive maintenance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and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average performance grade of the facility will be improved and the management cost will be reduced through longevity improvement.
        817.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은 관광지 개발 및 지역에 대한 상권개발 발전이 상당히 빠른편이며 그에 따라 트랜드 및 기타 변화에 민감한 나라이다. 대규모 프랜차이즈나 상업자본이 들어오면서 매우 유동적이며 이동이 많아지는 상권이 될수록 기존 고유의 지역특성 및 독립문화가 상실된다. 무분별한 패션거리나 주류 및 식음료 등의 소비문화공간으로 변화되면서 임대료는 무한히 치솟게 된다. 결국 원주민이 내몰리면서 지역 정체성을 잃게 되어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성을 고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지역의 주민과 건물주 임차인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상생도시를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상생도시로서 지역주민의 발전에 문화예술교육을 접목시켜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지역의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대책 지역 사례를 분석하였다. 젠트리피케이션 징후가 일어나는 지역을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조사된 성동구를 지정하여 젠트리피케이션을 넘어 지속가능발전구역에 대한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구역인 성동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브랜드 전략 및 슬로건, 브랜드 키워드, 색상 스타일 방향을 설정하여 디자인 컨셉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동구는 건물주와 상인, 지역의 상생협약을 통해 지속적인 상권 유지와 원활한 참여를 위한 조례와 제도,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상생도시를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브랜드 디자인 제안’으로 성동구 지역의 긍정적인 정책 심볼 이미지 구축 및 성동의 발전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81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중국의 경제가 고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중국 대륙의 도시들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고 더 많은 기회를 잡기 위해 도시 이미지 로고의 구축과 홍보를 갈수록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륙의 성급(省级)행정구역의 성도 도시 로고를 선택하여 로고 형태와 로고 색채 등 두 가지 요소에 중심을 두고 로고 디자인의 기본적 함의, 로고의 형태, 색채의 표현기법과 지역 특징을 결합시켜서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와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 시스템이 도시의 전체 이미지와 함의를 향상시키는 데 발휘하는 역할을 논술하면서 홍콩 도시 브랜드의 성공 요인과 중국 대륙도시 이미지 로고 디자인의 현황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 대륙 도시 로고 이미지 디자인 분야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런 부족함이 생긴 구체적인 원인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어 앞으로의 도시 로고 디자인이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참고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81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Competition amon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shifting from competition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osts and quality of raw materials to competi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settlement environment, culture, and place. The entry into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nsumption factors is not only attracting investment for strengthening city competitiveness, but also actively inducing urban image reconstruction and new image making.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marketing are being carried ou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external citizens about Changwon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eoul and Busan citizen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mong the nine hypotheses. In summary, pleasant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brand recognition. The magnanimous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ity brand recognition. In the impa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loyalty, magnanimous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loyalty. Pleasant images and dynamic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ity loyalty. In addition, city brand recogni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loyalty. Conclusions - Firs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its contribu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investigating mutual influences in urban aspect by combining place marketing with image, recognition, and loyalty. Secondly, kinetic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and dynamic image have more influence on recognition, and static images such as magnanimous images have more influence on loyalty. So,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ori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to local c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urban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magnanimous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820.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implications by observing the chang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with Gimhae city, Gyeongsangnam-do as the subje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examined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community were examined for Gimhae city, Gyeongsang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35 years from 1981 to 2015, Gimhae decreased 50.52㎢ of farmland, which is about 17.4 times that of Yoido, and about 69.4% of the decreased farmland area. Second, the decrease in agricultural land has been expanding to the whole of Gimhae City from 1990 to 2010, and has been continuing since 2010 around dong-area. Third, in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the number of settlements increases rapidly, but the aging population also increases. Fourth,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is getting complicated with the change of the members. Taken together,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rea efficiently because rapid change is present in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hange in land use due to the reduction of farmland not designated as agricultural development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armland-conversion standard.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land use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there have been problems such as uncontrolled development due to the development pressure beyond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al defects of the pertinent legal system. Fourth, while the traditional farming activities are decreasing with the decrease of agricultural land area, the increase in farms with secondary jobs and the urban-rural interchanges organization’s efforts can lead to increased visits from outsiders that seek rural tourism and experiential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