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3

        14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숲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이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여성의 골격근량과 내장지방 량, 우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A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여성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2명으로 총 33명으로 구성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 램은 주1회 2시간씩 총8회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체성분분석기(Inbody 720, Biospace, Korea)를 이용하여 골격근량과 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고, 우울척도는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였다. 실험군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60.3±9.4였으며 대조군 나이는 평균63.6±5.8 이었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 대상자의 골격근 변화는 참여 전 2.52에서 참여 후 2.47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1.64에서 1.99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내장지방량의 변화는 실험군 대상자는 참여 전 34.27에서 참여 후 31.64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 35.02에서 33.18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우울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참여 전 5.10에서 참여 후 3.85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도시숲을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노인여성의 만성질환의 요인이 되는 골 격근량과 내장지방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고, 실험군의 우울감 역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 등 심리적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하나의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14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ismic designs for Korean nuclear power plants (NPPs) under earthquakes’ design basis are noticed due to the recent earthquake events in Korea and Japan. Japan has developed the technologies and experiences of the NPP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with extensively accumulated measurement data. This paper describes the main features of the design-time history complying with the Japanese seismic design standard. Proper seed motions in the earthquake catalog are used to generate one set of design time histories. A magnitude and epicentral distance specify the amplitude envelope function configuring the shape of the earthquake. Cumulative velocity response spectral values of the design time histories are compared and checked to the target response spectra. Spectral accelerations of the time histories and the multiple-damping target response spectra are also checked to exceed. The generated design time histories are input to the reactor building seismic analyses with fixed-base boundary conditions to calculate the seismic responses. Another set of design time histories is generated to comply with Korean seismic design procedures for NPPs and used for seismic input motions to the same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seismic analyses. The responses at the dome apex of the building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generated design time histories will be also applied to subsequent seismic analyses of other Korean standard NPP structures.
        4,000원
        14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city size and small town in Korean elderly. This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consumption of older people in metropolita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four income levels. The recent data from the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The final analysis included 4,325 individuals (Male: 1,856, Female: 2,469) over 65 years old. Multivariable regression with a complex sample design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nutrient intake among the groups. In a comparison within regions, the nutrition status of the elderly in small towns was more vulnerable than metropolitan and middle & small cities. The energy intakes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The carbohydrate intake of middle & small c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regions. The intake of other nutrients in metropolitan and middle & small cities appeared to be higher than in rural areas. The number of nutrie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ow and high-income levels were 19 in metropolitan, 11 in middle & small cities, and 5 in rural areas. Each contribution of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to the total energy intake was lower in the low-income level than the high-income level in metropolitan and middle & small cities.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only the contribution of protein to energy intake was lower in the low-income level than the high-income level. Cities with higher levels of urbanization had more severe nutritional inequality in relation to the income level. There was also nutritional inequality present in rural areas but it was to a lesser extent. Moreover, the generally low level of nutrient intake was problematic in rural areas.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evidence for developing community nutritional policies for the elderly.
        4,200원
        14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작업의 주된 목적은 문화예술 기반의 도시재생과 계급 문제에 대한 현시대적 함의를 부산과 창춘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하려는데 있다. 실지로 문화예술 기반의 도시재생이란 역사사회적 맥락에서 문화예술의 상상력 및 실천력과 철학의 비판력을 절합하는 대화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 대화를 통해 서로는 한층 더 풍요로워질 수 있고, 그 풍요로움을 통해 ‘도시 공동체로서 창조적 장소 만들기’라는 현시 대의 사회적 의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폐해를 극복하는 추동력으로 변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차근차근 밟아갈 때 현시대 문화실천가는 비로소 도시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더욱더 강력하게 주장할 수 있는 연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모두는 시민 자신의 힘으로 더 정의로운 도시를 가꿔나갈 수 있는 토대로 작동하게 된다. ‘또따또가’와 ‘무단거리’의 두 사례를 포함해 지금껏 이 작업에서 해 왔던 논의 모두는 바로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도록 설계된다.
        6,300원
        14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경미문학의 근원이라 인정되는 라오서(老舍)와 신경미(新京味) 작가 왕쑤 오(王朔)를 통해 20세기 베이징 도시문화의 함의와 그 변화의 일면을 살핀다. 라오서는 후통(胡同), 스허위엔(四合院)을 통해 보수적인 라오베이징 시민들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그는 찬탄과 그리움뿐만 아니라 냉정한 통찰과 비판의 시선을 베이징의 민속문화를 바라본다. 반면 왕쑤오의 베이징 기억과 상상은 온통 따위엔과 사회주의 혁명문화에 집중되어 있다. 따위엔은 혁명문화의 표상체인 동시에 진원지였다.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베이징 문화의 주류는 따위엔 문화다. 1949년을 경계로 베이징은 전통문화가 각인된 스허위엔·후통 문화에서 사회주의 혁명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따위엔 문화로 전환되었고 그 영향력은 지금도 막강하다. 1940년대의 라오서와 신중국 건립 이후의 왕쑤오를 통해 도시와 개인 정체성의 문제를 탐색하는 작업은, 도시 주요 거주공간의 변화에 대한 탐문인 동시에 제국도시 베이징에서 사회주의 수도 베이징으로 변모해가는 양상을 살피는 작업이다.
        5,500원
        14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dentifying the water circulation status is one of the indispensable processes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n urban area. Recently, various water circulat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simulate the water circulation, bu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make a water circulation model that could ada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water circulation state estimation model that could easily calculate the status of water circulation in an urban watershed by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watershed is a watershed in Seoul that applied the impermeable area ratio in 1962 and 2000. And, It was divided into 73 watersheds in order to consider changes in water circul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urban characteristic factors. The input data of the SHER(Similar Hydrologic Element Response) model, a water circulation model, were used as data for the urban characteristic factors of each watershed. A total of seven factors were considered as urban characteristic factors. Those factors included annual precipitation, watershed area, average land-surface slope, impervious surface ratio, coefficient of saturated permeability, hydraulic gradient of groundwater surface, and length of contact line with downstream block. With significance probabilities (or p-values) of 0.05 and below, all five model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estimating the water circulation status such as the surface runoff rate and the evapotranspiration rate. The model that was applied all seven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can calculate the most similar results such as the existing water circulation model. The water circulation estim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not only useful to simply estimate the water circulation status of ungauged watersheds but can also provide data for parameter calibration and validation.
        4,000원
        14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via utilization of porous asphalt pavements. METHODS : One of the many known functions of porous asphalt is that it reduces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Indo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sprinkled dense-graded and porous asphalt and outdo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sphalt pavements under external condition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indoor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the temperatures of the two pavements were similar and that the porous asphalt pavement exhibited low temperature when sprinkled; the temperature of the porous asphalt was approximately 2 °C lower than that of the dense-graded asphalt pavement. The results of the outdoor experiment showed that the peak temperatures of the two pavements were approximately the same as usual.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rous asphalt pavement at night after sunset was lower than that of the dense-graded asphalt pavement and that the peak temperature dropped for approximately 1~2 days after the rainfall.. CONCLUSIONS : Porous asphalt pavement has a lower surface temperature than normal dense-graded asphalt pavement, under the presence of moisture in the pa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rous asphalt pavement is due to the low heat emission of the pavement at night.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orous asphalt pavement will not only have known effects but also significant impacts on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 phenomena.
        4,000원
        149.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도권 인근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을 풍수적으로 해 석하고, 풍수적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각종의 비보물의 존재형태와 기능분석 으로 전통마을의 전개⋅발전되었음을 논증하는데 있다. 연구 사례지 는 총 15 개 마을이며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양평지역은 조산, 정자, 숲을 통한 비보가 있었는데 흉상차 폐 및 지맥연장, 수구막이 숲 등이 존재하였다. 양평지역은 한강 및 흑천 등 이 흐르고 마을은 하천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주로 하천의 풍수적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둘째, 용인지역은 산세가 수려한 지역이다. 비보의 형태는 주로 수구막이 숲이 대부분이었고, 지맥연장비보 및 돌(石)비보의 형태가 존재하였다. 용인지역은 중부내륙에서 볼 수 있는 산간 지역 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이었다. 셋째, 이천지역은 남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이 대부분이고, 마을은 대부분 평야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평야지역이라 하더라도 대부분 하천을 끼고 있고 있음으로 인해, 평야지역과 하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보 물 이었다. 본 연구 대상지에서 가장 많은 비보형태는 수구막이 숲이었고, 다음으로 지맥연장, 조산비보 등이 있었다. 또한, 돌을 매개로 한 비보형태도 발견되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보 숲은 기후조절효과, 휴양효과⋅ 마을 구 성원들의 위한 화합장소로서의 효과 등이 나타나, 이들 숲을 비롯한 비보 물들이 전통마을의 지리적⋅지형적으로 전개, 발전된 것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7,800원
        15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by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existing roads in urban areas,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a generalized linear model. METHODS :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ith/without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the urban road segment, data acquisition was conducted for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etc.,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factor, with/without applying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In addition,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generation models with/without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were estimat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RESULTS :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found to be slightly correlated with th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both with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however,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found to have somewhat low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Moreover,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significant when titanium dioxide was applied to the roads, based on the estimated model from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d the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traffic volume were significant for the absence of titanium dioxide on the roads. CONCLUSIONS : Analyt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o the roads. In particular, when titanium dioxide was applied to the roads, the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analyses, i.e., correlation analysis and a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was affected.
        4,000원
        15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광역도시권을 대상으로 도시 스프롤이 통근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차원적 측정 방법으로 광역도시권의 시군구 스케일에서 산출된 스프롤 관련 지수들과 사회경제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설명변수로 하고, 자가용 통근(모형 1) 및 대중교통이용 통근(모형 2)을 종속변수로 하여 두 개의 OLS 회귀모형을 구성하였다. 아울러 공간적 의존성과 이질성을 반영한 공간회귀모형과 지리가중회귀모형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스프롤과 통근 패턴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두 모형 모두 OLS 분석에서 공간회귀분석 및 GWR 분석으로 진행할수록 모형의 설명력과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설명변수 중 밀도지수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1에서는 가로접근성지수가, 모형 2에서는 복합지수가 일부 지역에 대하여 유의하였으나 밀도에 비해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국지적 모형인 GWR을 통해 전역적 모형에서는 탐지하지 못하였으나 국지적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는 사회경제적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0원
        152.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modern transition process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change of the Imperial Palace as a central facility in Seoul. The road renovation of Seoul, which started in 1895, has established a modern, circular transportation system centered on Gyeongun-gung Palace, the Imperial Palace along with the tram line. In this urban structure, the imperial palace as a central facility of the former monarchy, unlike the previous palaces, could not be located at the top of a road with a longitudinal axis, and it expanded its territory around foreign legionaries and placed a new government office around the perimeter. However, the royal palace was moved to Changdeokgung Palace in 1907 with the throne of Sunjong. With the creation of Changdeokgung, which is the periphery of Seoul, as new royal palace, the status of the imperial palace in the city was remarkably weakened, and Gyeongun-gung, located in the center of Seoul, was also reduced to the current Deoksugung area, turning into an urban facility facing a modern street.
        4,900원
        15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원, 녹지, 도로 등의 공공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도시 계획시설로 지정된 시설 중 결정·고시 이후 10년 이상 지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일몰제가 적용됨에 따라 지정도시계획시설 사유지에 대한 개발이 제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녹지지역에 대한 개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생태계서비스의 중요한 역할인 재해 저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도시지역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자주 발생되는 홍수와 열섬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의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유출 량은 11% 증가되었고 대상지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2.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그린인프라의 재해저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시설 일몰제로 인해 발생될 수 있 는 무분별한 개발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 road characteristics on temperature changes in urban areas using surface thermal temperature. METHODS : This study measured the surface thermal temperature of each road component from urban roads, analyzed the effect of the road compon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n temperature, and estimated the regression models. RESULTS : As a result, the mean temperature was 27.3 ℃ on the roadway, 25.5 ℃ on the vegetated median, and 22.9 ℃ on the sidewalks. The roadside temperature was 26.14 ℃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23.82 ℃ near green spaces. The temperature with street trees was lower (24.45 ℃) than without (28.38 ℃) while it was 23.96 ℃ with vegetated median and 25.64 ℃ without. The temperatures were lower (24.70 ℃) on the permeable surface than on the impermeable surface (28.38 ℃). Model estimates show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s by 0.007 ℃ with an increase of 1 m² green (permeable space) space and the temperature with buildings tends to be 1.729 ℃ higher than that with green space. As green space increases by 1 m², the temperature tends to decrease by 0.017 ℃ on the roadway and by 0.012 ℃ on the sidewalk. Shade effect models show that street trees with shade affect temperature reduction by -3.884 ℃ on roadways and -3.314 ℃ on sidewalk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differing effects of road characteristics on temperature. The roadway is more sensitive than the sidewalk to temperature changes and roadside vegetation, ambient green space, and pavement permeability contribute to temperature reduction.
        4,000원
        15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막 분리 운전방식에 따른 음폐수 소화가스의 도시가스용 바이오메탄 생산연구를 상업용 시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메탄의 순도는 4SBR과 3SDR 모두 98.9%를 달성할 수 있었다. 소화가스 내 메탄 회수율은 4SBR 88.1%, 3SDR 79.4%이었고, 처리 소화가스량 대비 바이오메탄 생산율도 4SBR이 53.5%로 3SDR의 49.4%보다 높았다. 그러나 막 분리시설에 공급되는 가스 중 반송 가스의 비율은 4SBR이 56.5%로 3SDR 보다 두 배가량 컸으며, 이로 인해 최대 처리량에 있어서는 3SDR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소화가스 200 Nm3/day 이하는 4SBR, 240 Nm3/day 이상에서는 3SDR이 경제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정 운전변수들의 평균값 대비 운전 값들의 상대편차는 전반적으로 4SBR이 컸으며, 또한 주 운전조절 수단인 바이오메탄 인출압력 대비 주요 지표들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3SDR가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