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제품디자인관련 종사자들은 제품심미성이 소비자의 제품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 많은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ulcorner 소비자 반응에 대한 그 영향을 어떻게 측정 할 것인가\ulcorner 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에 대한 심미성 차원의 영향을 탐색하고, 남성용 화장품 용기의 심미성 차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측정을 통한 실증적 결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남성용화장품용기에 국한되었다 할지라도 다른 다양한 제품의 심미성 역할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24.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서 무한한 경쟁력을 제고해야 하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연구는 인류 문명의 발전적 도약과 함께 시장의 통찰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상품 마케팅을 위해서는 초기 단계부터 그것에 대한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사회와 사람, 지역성, 문화, 심리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통합적으로 리서치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트렌디(Trendy)한 상품 마케팅을 위한 콘텍스추얼 디자인 리서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이다. 콘텍스추얼 디자인 리서치를 위해서는 상품 전체를 이해하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과 분석을 위한 탐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한 소비자의 경험적 데이터는 상품 기획자에게 문제의 핵심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고력 역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콘텍스트(Context)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고 콘텍스추얼 디자인과 그 프로세스의 근간에 대한 이론적 요소를 정리하였다. 콘텍스추얼 디자인 리서치 전개 방법과 과정을 통해서 상품 마케팅의 전반적인 판단과 결정을 돕는 5개의 평가요소를 도출하였고 트렌디한 히트상품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경험적 특성을 분류해 사례를 조사하여 실제 리서치에 적합한 평가모델과 그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향후 콘텍스추얼 디자인 리서치 평가 도구의 활용을 통하여 기업과 개인에게 새로운 마케팅 강화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5.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CS 직업교육의 평가 방법이나 기준은 일률적이고 주입식이며 직무 중심 교육(지식.기술.소양)으로 인한 패션디자인 창작 활동에 장애가 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는 학습경험 플로우의 복합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 상호작용의 요소를 제안하고, 2차 제안된 Personal, Operator, Social Interaction 상호 작용 요소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충성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요소제안을 위해서 수요 조사와 관련 업종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문 위원과 NCS 교육 전문가에게 의견을 수렴하여 요소를 최종 결정하였다. 1차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호작용은 첫 번째 Personal Interaction으로 교육 참가자가 정확한 학습 목표를 위해서 교육과정내용을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 수행 계획에 따른 목표 성취 의지 및 학습 목표방향 설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두 번째 Operator Interaction 요소로는 학습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생에게 주어지는 조력자 도구 요소이다. Social Interaction 요소는 실기위주의 수업이 많은 관계로 모든 교육생이 다 따라갈 수 없는 상황의 가상공간에서 의사소통을 수행 과정에서 제공하여 주도적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위 세가지 상호작용은 학습경험 Flow로 학업성취수준을 높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과정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 나아가 자긍심과 미래에 대한 취업 성공을 높여준다고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NCS학습경험 Flow의 인지적 상호작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에게 Personal, Operator, Social Interaction에 관련된 요소를 잘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 함을 향후 검증하고자 한다.
        2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의 변화에 대비하여 농특산품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농업인 역량 범위가 생산에서 가공 및 유통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농촌 관련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 범위 확대에 속하는 포장 및 브랜드 등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한계성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브랜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기초설문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 교육 필요성 및 요구도가 높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농업인(10인)과 전문가(10인)로 나누어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농업인 의견과 전문가 의견으로 비교 분류하여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및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3회차를 통해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단계, 수준, 역량 정의, 교육시간, 방식, 커리큘럼, 세부내용 등을 구성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실용화하였다.
        2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약적인 기술발전으로 인해 빠르게 변모하는 사회는 ICT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환경에서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TV, PC 그리고 스마트폰 등의 형태로 발전하며 이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GU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ICT환경과 상황에 맞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소비하는 행태를 보이는 것이 콘텐츠 소비 패러다임의 현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르게 나타나는 GUI 디자인 개발 과정의 다른 점을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서로 다른 UI 디자인을 사용자 평가방법을 기반으로 비교 검증하는 점에 초점을 두어 실증 과정을 거쳐 보다 사용자 중심적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평가모델을 구축한 선행연구를 평가모델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TV GUI 디자인의 체감적 문제의식과 개발평가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LCA 다면평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평가요소, 평가유형, 평가방법, 평가척도인 4가지 평가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스마트 TV GUI 구조 현황을 조사 하였다. 이후 스마트 TV GUI 디자인을 DLCA 다면평가에 대입하여 4가지 평가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와 LCA 데이 터를 종합하여 DLCA 다면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마트 TV GUI 디자인 평가에 있어 DLCA 다면평가가 앞으로의 디자인 평가모델로써 기인하는 바를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28.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 고령화 및 서구화된 식습관,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수명 연장, 만성대사성 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헬스케어 관련 제품의 구매가 활성되면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혈당관리 모바일 App이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병원용 혈당기는 많은 사람들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병원 시스템과 유기되어야 하고 기능의 복잡성과 제약 등으로 인하여 모바일 APP에 비해 GUI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바일 APP의 GUI와 병원용 혈당기 GUI를 선행연구를 통해 최적화가 반영된 병원용 혈당기가 기존 병원용 혈당기와 사용성에서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기존 병원용 GUI 비해 최적화가 반영된 GUI가 사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도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플렛 디자인은 스큐어모피즘 디자인보다 작은 화면에서 사용성에 큰 도움을 주고 있음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요구가 반영된 직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적극적인 혈당관리를 유도하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활의 공간적 토대로서 도시의 기능이 원활하고, 의미 있는 장소로서 아름답고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면, 무엇보다도 도시공간의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굴다리는 도시공간의 부속물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기능성과 접근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소이며 생활의 터전으로서 활동공간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굴다리환경은 도시의 이미지가 직결되어있고, 시설물과 가로환경의 그 기능을 다 할 때 쾌적한 도시환경으로서 디자인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공공성을 살펴보고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을 위한 디자인적용의 평가지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굴다리 환경개선 사례와 대표적인 유형 그리고 디자인 적용 부분 현황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굴다리 개선사업 사전계획에 있어, 사업의 방향과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공 공간 및 공공 시설물에 대한 세부지표에 부합되도록 계획·설계·디자인된다면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으로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3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학자 데리다는 절대적인 정체성은 있을 수 없으며, 그 무엇이 존재함으로써 의미를 가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하였다. 세상은 모든 것들은 변증법적 대상이며 의미 또한 변화의 대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는 항구적 정체성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그들의 시대 초월적 가치와 미학은 지금까지도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 시장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익숙했던 미학적 기능주의 디자인에 대한 거부감으로부터 시작된 감성적 소비 가치가 스칸디나비아의 인본주의 디자인에 의해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를 감동시킨 스칸디나비아 디자이너, 이희숙. 2013)”에 근거하여 12인의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또한 해당 국가는 그들만의 정체성에 의해 유사성이 존재하기에 다시 한 번 대표적인 1인의 디자인에 내제된 함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석학적 차원에서 제시되었던 평가 툴(Tool)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에는 디자인 전공자, 대학원생 그리고 일반인 60인이 참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21 세기 디자인은 인공지능(AI), 완벽주의를 지향하는 디지털기술, 생태계파괴 문제 그리고 지식 중심의 합리주의 사회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에 의해 상품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칸디나비아의 디자인 정서와 인본주의적 기능주의의 중요성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함축적 특성이 향후 디자인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한다.
        3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IT 산업 기술 발달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률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여가 생활 에 관련된 다양한 문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이 점차 증가하고 이에 사용자들은 마음에 드는 폭 넓은 문화 콘텐츠 애플리케 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소통의 매개체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많은 콘텐츠 중 영화는 중요한 우리의 문화생활에 한 부분이 되었다.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UI 디자인 사용성 평가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들 대상으로 평가를 통해 UI 개선과 사용성 향상에 필요한 사항을 제안하는 것이다. 2017년도 상반기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애플 앱 스토어(Apple App Store)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로드 및 사용자 기준으로 상위에 해당하는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방법을 진행하기에 앞서 목적에 따라 문헌조사와 실증 연구 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후 첫 번째로 이론적 고찰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모바일 영화관의 이해 및 모바일 앱의 이해 그리고 UI의 대해 정리 후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항목들을 적용할 수 있게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앞서 진행되 었던 고찰들을 통해 사용성 평가 항목들인 3개의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을 통 해 평가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네 번째로 평가항목 결과로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 다. 사용자 중심의 UI 디자인은 많은 정보 속에서도 직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 한 영화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3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료 상품 마켓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품의 성격에 맞는 자연스러운 색채에서부터 차별적 성격을 나타내려는 인공 적 색채를 가진 다양한 음료 상품까지, 다양한 색채의 패키지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색채에 대한 사람들의 본능적인 인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패키지에서의 인공적 색채의 의미와 가치를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사람들의 본능적 색채 인식과 문화적 경험에 따른 의미론적 색채 인식의 차이점을 밝히고, 특정 색채에 대한 문자 정보의 유무가 수용자의 평가에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먼 저 인간의 색채 인지에 대한 진화론적 발전과 문화론적 발전에 대한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색채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연 구와 음료 패키지 색채 발전 사례들을 종합하여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글라소 비타민워터’의 6가지 단순 색채 샘플과 색채, 문자정보가 혼합된 샘플을 각각 제작하고, 무작위 추출법으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오스굿의 SD법을 활용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우선 수용자들은 ‘글라소 비타민워터’의 6가지 단순 색채 샘 플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호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후 단순 색채와 색채, 문자정보가 혼합된 샘플의 비교 조사를 통해서 색채에 대한 문자정보가 있는 샘플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문자정보를 바꿔서 실험한 결과 수용자는 여전히 색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경우에 색채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채에 대한 인간의 인지에 대해 진화론적 입장은 인간의 선호를 형성하는 과정에 미치는 문화적 힘을 비롯한 학 습의 중요성을 무시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패키지 색채의 사용에 있어서, 인간의 본능적인 색채에 대한 인식과 선호 에 제한되지 않는 문화적인 경험을 문자정보의 제공을 통해 수용자에게 전달할 때, 새로운 색채에 대한 인식과 호감에 긍 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점은 특히 디자인을 통해서 새로운 소비 패턴을 구축하려는 디자이 너들에게 특히 유의미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3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in order to promote agricultural products sold in the rural village festivals direct transaction marketplace and enabled by a comprehensive user evaluation of the rural village festivals direct transaction marketplaces in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provide a design plan for your care and comfort of a rural village festival Direct Deals Marketplace there is a purpose. Thus, redefining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suitable for direct transactions rural village festival marketplaces, and to do this by reclassifyi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farmstand-type in a framework was developed 30 questions to evaluate items for Universal Design Evaluation. And, the selection of three villages along the rural village festivals scale and conducted a survey of Universal Design Rating. As a result, the overall assessment was positive for B villages of rural village festival marketplaces direct transac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other village. In particular,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the fairness, efficiency, promotional, safety and hygien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gn elements for directing atmosphere by selling space, product display, hygiene.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suggestions about a rural village festivals farmers’ market aspects of universal design for improvement of the marketplace as following, 1) placement for differentiation the markerplace and around sites in the festival place, 2) to build the operating systems of sustainable management for arrangement and organization during the festival, 3) to install the device for maintaining agricultural products freshness 4) to separate the sale of local specialty products and general food products, and 5) to locate the suitable space considering the visitors tour route in the festival place for large-scale festival
        3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 5일 근무제 정착과 여가활용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출·퇴근이나 야간시간을 활용하여 스포츠를 즐기는 레저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일상 속에서 레저복이나 아웃도어복을 입고 비즈니스 업무를 보는 에슬레져룩 문화가 중가하고 있다. 이에 패션성을 갖춘 일상복으로서 라이딩복을 원하는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봉제 웰딩기법을 적용하여 안정성과 패션성을 동시에 충족시키고 활동성 및 시티웨어로서의 패션성을 고루 갖춘 도심형 라이딩웨어용 자켓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특성은 최대한 라이딩 활동에 저해되지 않도록 몸판의 경우 등을 자주 구부리는 라이딩의 특성에 따라 상의 앞쪽 보다는 뒤쪽을 더 길게 내려오도록 제작 하고, 등판 절개 기법으로 늘어났다 줄어 들 수 있는 봉제기법을 접목하였다. 또한, 뒷판에 포켓을 부착하여 기능성을 살릴 수 있으며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심실링테이프 및 웰딩 지퍼 처리를 하여 야간 라이딩시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라이딩복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성과 시티웨어로서의 패션성을 갖춘 도심형 라이더 자켓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내 시티스포츠웨어 생산 판매업체에게 실증적인 패턴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한국 사회는 IT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인공지능 활용 단계인 웹 3.0의 등장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SNS가 대표적인 예시다. SNS는 빠른 속도로 우리 삶의 일부분을 대체하며 시 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친구, 친척, 선후배 등 지인과의 인맥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능하였 다. 이렇게 SNS가 커뮤니케이션의 한 인적 네트워크 서비스로 활용됨에 따라 다양한 매체에서 SNS의 해시태그 기능에 주 목하였다. 해시태그는 특정주제 및 공통 관심사에 대한 단어 앞에 해시(‘#’) 기호를 붙이면 연관된 이미지, 글 등과 같은 게시물을 한 번에 모아 볼 수 있는 SNS의 새로운 기능이다. 이는 수많은 정보 가운데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집중적이 고 효과적으로 검색, 제공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정보 분류 및 공유 그리고 전파가 쉽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장점 을 지닌 해시태그는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 하나의 문화로 성장하였고, 현재 마케팅 도구로써 홍보, 정보 공유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새로운 정보를 나날이 쏟아내어 일상의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렇듯 SNS의 해시태그는 다양한 정보를 간편하게 링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들로부터 입증된 UI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가 미비 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SNS 해시태그의 시각적 UI 디자인 요소 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SNS 및 향후 새로 출시될 SNS의 디자인 및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sirable urban park planning which can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concerning activities and uses for all the people in a city. We chose the Seonyudo Park, a typical urban park in Seoul as an object for this study. As methods of this study, evaluation frame was made through reviews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manuals and guidelines and on-site surveys. On-site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the point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evaluation frame. Finally, We identified problems of the Seonyudo Park from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classified 9 evaluation sections, an evaluation frame of 83 sub criteria was made with a combination of 7 extracte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Secondly, evaluation of each Extracted Principles showed high scores in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among 7 extracted principles and low scores in “Amenity” and “Durability.” Evaluation results showed ±50 scores in other extracted principles with 56.7 points average meaning low in universal design adaptation. Thirdly, major problem identified from each section evaluations showed that parking for the disabled was the most unsatisfied se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niversal design. And the braille blocks and braille signs were barely installed in whole area. Also,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floors of most sections didn't use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o an immediate repair and supplementation were required for these. Finally, there were many destroyed and improperly maintained parts which require more installations, repair and maintenance by managing authorities.
        3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차 산업의 영향으로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제조, 가공, 포장,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융ᐧ복합 경영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포장 및 판매의 경우 포장디자인, 브랜드디자인으로 농촌의 디자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비용 부담 및 정보부족 등으로 인하여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농촌 상황의 포장디자인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 연구에서 현장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 표준디자인 가이드 안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표준 포장디 자인안의 실용화를 위해 농촌관광마을에 현장 적용하여 개선을 통한 소비자 의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용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 적합성이 70%이상이 긍정적인 의견으로 나타났고 포장디자인 기능 충족도는 운반편리성과 상품성이 높 게 나타났으며 요건 충족도는 경제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적용 포장디자인의 개선 요인 의견분석 결과 구매도가 가장 높았고 그 외에 전형성, 내구성, 적합성이 개선 요인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된 표준 포장디자인안의 소비자 의견의 타당성 및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연구와 연결하여 현황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 진행, 표준가이드 디자인 개발, 현장실용화, 소비자 반응 평가, 기술이전계획 순으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절차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해결하는 디자인개선 참고자료로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3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갖는 기능성 식물용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기능성 식물용기를 상품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주거환경에서 시제품을 사용한 후 선호도와 디자인을 평가하였다. 시제품은 스탠드형과 걸이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먼저, 37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기능성 식물용기에 대한 경관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38명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한 달간 사용 후 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경관형용사쌍을 이용한 SD scale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디자인 평가는 한국디자인진흥원(2010)에 제작된 굿디자인(GD)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화분에 대한 기본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화분(2%) 보다 디자인화분(47%), 특수화분(36%), 기능성화분을(15%)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용기에 대한 소비 욕구가 디자인과 기능성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관선호도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심미성, 장식성, 선호성, 공간성, 편안함의 5개의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두 가지 형태 모두 주거공간에 적합하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적합성, 합목적성, 만족성, 사용성, 제품성, 심미성 등 6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매의사도 스탠드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 후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탠드형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협소한 장소에 수직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며, 주거환경에서도 식물을 잘 기르고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
        3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질환이 발생 될 수 있는 임신중에 산모의 건강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임산부의 X-ray 흉부촬영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임산부의 X-ray 흉부촬영에 관한 의료용 방사선의 사용은 기본적인 검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임신초기인 착상기 부터 태아의 각종 장기 형성 및 기관 형성기까지 대부분의 임신기간은 방사선의직접적인 차폐가 요구되어진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납치마는 임산부가 직접 손으로 잡고 있고 는 불편함으로인한 산모의 정확한 X-ray 흉부촬영 자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인해 산모의 X-ray흉부촬영 영상이 폐첨부와 견갑골이 자주 겹쳐 흉부영상이 질적으로 저하되는 현상을 가져다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산모용 납치마를 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새로 디자인한 산모용 납치마는 산모의 X-ray흉부 촬영시 편한 자세를 유지 할 수 있게 해주었다. 아울러 산모가 정확한 자세를 취 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산모의 X-ray흉부 촬영시 견갑골과 폐첨부가 겹치는 현상을 최소화 해주어서 산모의 흉부촬영 영상에 최적화된 이미지를 제공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40.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s throughout public design improvement project on the urban street spac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rmo-Render 3.0, 3D-CAD based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 program, had been used for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evaluations.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clayey blocks which have low heat transfer rate and cool island effect by trees and roof gardens brought cooling effects for buildings and surface of streets. Seconds, MRT values showed low levels because of low radiant mulching materials. Thirds, roof gardens contributed to reduce heat island effect since HIP levels were affected by decreasing heat storage effect of buildings from roof gardens. As a result, reducing heat storage effect throughout selecting and arranging proper materials which would not increase heat island potentials should be performed to improve heat island effect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