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의 붕괴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과 관련된 구조부재 및 지반운동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적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불확실성의 종류에 상관없이 불확실성은 구조물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구조물의 성능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이러한 불확실성 전파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구조물의 붕괴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분동적해석은 지반운동과 관련된 임의적 불확실성을 해석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확률론적 평가를 위한 또 다른 중요 요인인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제한사항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골모멘트골조를 표본 건물로 선정하여 인식론적 불확실 요인으로 정의한 구조물의 고유감쇠, 지진중량, 구조부재의 항복강도 및 탄성계수가 구조물의 붕괴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률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라틴 방격 추출법을 사용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증분동적해석을 수행하여 구조시스템 붕괴성능의 변동성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해석결과, 붕괴성능의 변동성에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변수 중에서 구조물 고유감쇠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s for catch and cluster analysis on the catch by gillnet for the Pacific herring were conducted using traditional nylon net (PA) and developing biodegradable net (PBS) with different monofilaments of #2 (=0.23 mm) and #3 (=0.28 mm) in diameter between 2011 and 2012, and of #2, #2.5 and #3 in 2013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Samcheok, Korea. The total catch during the experiments was 3,337kg in weight and 16,757 individuals in number. Though the catch ratio of the Pacific herring in 2011 and 2012 was 97.4% and 98.7%, respectively, that of the Pacific herring in 2013 was 73.6% as the biggest and followed by goldeye rockfish (8.6%), black edged sculpin (8.4%), atka mackerel (7.2%) and Alaska cod (1.0%). The ANOVA analysis on the total catch in relation to net material showed tha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5% level between nylon net (PA) and biodegradable net (PBS) (p=0.91). With the cluster analysis on the catch in relation to net material (PA, PBS) and twine thick (#2, #3), it showed the influence of net material on the catch was greater than that of twine diameter in this experiment. From the test of homogeneity on the catch by the gillnet with PA and PBS in which several species were caught in 2013,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mogeneity in relation to net material (p<0.005). That meant the traditional gillnet of nylon (PA) was more efficient than the biodegradable (PBS) gillnet to catch several kinds of fish, however the PBS gillnet was better than the PA gillnet to catch the target Pacific herring.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계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 정책 추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창조경제 문헌 검토를 통해 문화⋅콘텐츠, SW 산업 등 외국에서 정의되었던 창조경제의 범위를 협의의 창 조산업군으로 정의하고, 우리 정부에서 제시한 고기술⋅첨단제조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을 추가적으로 포괄하여 광의의 창조산업군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각 산업군 별로 창조경제 의 핵심 동인 중 하나인 ICT기반 혁신에 따른 투입-산출의 연도별 증감액을 추정하고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창조산업 내 ICT 기반 혁신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경기 하락세에서도 광의의 창조산업에서의 ICT기반 혁 신이 전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협의의 창조산업군에서는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증가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첫째로 기 존의 창조경제 성과지표가 투입 역량 중심으로 되어 있어 가시적 효과를 산정하기 어려운 상 황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산출 중심의 성과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 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창조산업 파급효과가 단순히 해당 산업군의 규모 추정에 그쳐 추상 적이고 모호하였다면, 본 분석에서는 창조산업의 전체 규모 중에서 ICT기반 혁신활동이 설 명하는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산출하여 효과 산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표준은 산업발전 및 무역 자유화의 기반이며 사회 · 경제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다. 표준과 관련된 정책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분야별 한국산업표준 제정과 활용에 대한 분석은 표준과 관련된 연 구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야별 KS 보유 및 제정현황 분석 그리고 열람실적을 이용하여 표준의 활용도 를 분석한다. 먼저 KS의 보유현황을 국가정책적인 이슈와 함께 살펴보고, 세부적으로 KS 제 정현황이 유사한 분야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시각화 및 군 집화를 실시한다. 이후 각 군집별 제정현황이 유사한 분야들의 표준화 제정활동에 영향을 미 치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가설설정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자본집약도, 연구개발 그리고 매출액이 표준화 제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 는 자본집약도가 큰 기업들이 표준화 과정에서 선도적 역할을 유도하고, 연구개발에 따른 표 준과 기술특허 등을 정책적으로 연계시키며, 매출액이 큰 기업들이 표준화 활동을 선도하도 록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두 번째로 표준의 활용도를 분석하기 위해, KS 열람실적 데이 터를 사용하며, 각 KS의 제정연도, 형태 분야별 활용도가 어떻게 다른지 기초통계분석과 의 사결정나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표준의 제정시기가 활용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며, 특정 분야와 형태의 KS들은 최근에 제정되었더라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라 열람실적이 낮은 표준들에 대한 홍보 정책과 함께, 표준을 제정할 때 미열람되 는 표준이 적어지도록 활용도를 고려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국제 표준화에서 양대 세력인 유럽과 미국의 활동 양상은, 한국과 같은 후발 주 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이에 관한 기존 연구는 비계량적 접근으로서 국제정치와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계량적 연구는 개별 기업이나 국가가 점유한 표준 특허, 기고 서, 의장단 등 단편적 수치를 비교하는데 그치고 있어, 국제표준화에서 주요 국가의 활동 양 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표준화에서 유럽과 미 국의 활동 양상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제공하고, 한국의 표준화 정책을 위한 구체적 목표 설 정과 실행 수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ISO에 등록된 공식 업무 기록을 수집한 후, 각국의 활동 내용을 차별적으로 기재한 문서를 추출하였고, 다시 이 내용을 분석하 여, 기록 내용을 부호화하고, 수치로 집계하여, 표준화 참여 국가의 활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고 설명한다. 따라서 전체 52종의 ISO 업무 문서 중에서, ‘신규 표준 제안, 투표 의견 검토 결과서, 회의 보고서, 투표 결과 보고서’를 수집, 분석하였다. 표준 기고서나 표준 특허 수량에 대한 단순 비교에 의존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실제 국제 표준화 활동에 대한 공식 기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표준화에서 미국은 참가 인원과 제출 의견 등 양적인 활동에서 다른 지역을 압도하였으나, 활동의 효율성은 두 번째를 차지하여, 활동 양상의 양과 질이 일치하지는 않았다. 둘째, 미국은 자국 표준 제안보 다 타국가의 활동을 견제하는데 주력한 반면, 유럽 국가들은 전반적으로 고른 활동 양상을 보였다. 셋째, 유럽과 미국은 국제 투표의 우위를 위해, 다국적 기업을 활용하고 있다.
배양시간(6, 12, 24, 48시간)에 따른 Yersinia enterocolitica 균체 및 배지 대사체들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GC/MS와 다변량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PLS-DA) scores plots 상에서 배양시간에 따라 분석 시료들이 뚜렷하게 분리되었다. 시료들 사이의 차이에 관여하는 대사물질들을 동정한 결과 균체에서는 ethylene glycol, valine, ethanolamine, succinic acid, adenine, stearic acid, 배지에서는 glycine, fumaric acid, threonine, aminomalonic acid, malic acid, 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배양시간에 따른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사물질들을 이용하여 관련 대사경로를 도출한 결과 배양시기에 따라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대사경로가 주로 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Y. enterocolitica의 경우 대수기 초기에는 TCA cycle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다가 정지기에 들어서면서 정상적인 TCA cycle를 수행하지 못하고 ethanolamine 및 ethylene glycol 등 다른 탄소원 또는 질소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관련된 많은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사체분석 기술을 활용한 Y. enterocolitica 균체 및 배지 분석 연구는 배양시간에 따른 대사과정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균체 연구의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말에서 주요 경제형질인 운동과 관련된 연구는 중요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물리학적, 생리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분자수준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경주마에서 RNA-sequencing을 수행하여 운동 전·후 alternative transcript 이형에 따라 발현 양상이 상이한 유전자(DYNC1LI2, COBLL1, AXL, PLEKHG1)를 발굴하였다. 이 중, DYNC1LI2 유전자를 선택하여 분자생물학적 분석 및 운동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DYNC1LI2 유전자의 2가지 전사 이형은 긴 형태의 전사체(DYNC1LI2a)와 결손이 일어나 상대적으로 짧아진 전사체(DYNC1LI2b)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두 가지 전사 이형 모두가 말의 각 조직(갑상선, 결장, 골격근, 맹장, 심장, 신장, 척수, 폐)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전과 운동 후 발현량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전사 이형이 동일하게 운동에 따라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 가지 전사 이형의 아미노산 비교 분석 결과, 엑손영역에 결손이 일어나는 부분은 단백질의 인산화 및 당질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YNC1LI2a가 DYNC1LI2b에 비해 더욱 단백질의 안정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DYNC1LI2 유전자가 운동에 따라 발현이 달라짐에 따라 차후 말에서 운동관련 연구에 대한 기반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같이 정보통신기술이 다른 산업의 제품 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모듈성은 기술 융합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고, 이는 조직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산업 내의 경쟁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 다. 모듈성이 조직 체계 및 산업 내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핵심 요인은 개별 모듈 간의 연계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모듈성과 인터페이스 표준에 관한 연구들 은 기술 체계와 조직 체계 간의 상호 작용과 이로 인해 산업의 역학 구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서, 상기 언급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성에 관한 기존 해외 연구들을 모듈성과 제품 아키텍처, 인터페이스 표 준과 조직 체계, 지배구조와 제도적 요소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 업을 비교 분석하여 표준화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모듈 제조 업체 육성과 네트워크 효과에 기반을 둔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용자 중심의 혁신 체계 도입 을 위해서는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을 외부형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 다. 또한 성능 최적화 측면에서 제품의 특성 반영, 산업 내 핵심기업의 참여 유도, WTO 법 과 같은 제도적 요소 등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화 정책을 수립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정리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Korean sea food manufacturing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irstly, based on an output oriented traditional CCR, BCC model, the study estimated the efficiency scores. The average estimates of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turned out 0.6517, 0.7184, 0.9074 respectively, which are separated for 50 marine corporations. The 10 DMUs were efficient under CCR model while the 17 DMUs under BCC model.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operating profit of the two output factors should be more increased relatively and averagely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improvement. Secondly, super efficiency scores are estimated under super efficiency and SBM model. As a result, it came to be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ank the efficiency of the efficient DMUs. The highest score was 4.2975 under Super-CCR, was 2.4947 under Super-BCC, was 2.7160 under SBM-Super- CCR, and was 1.5319 under SBM-Super-BCC model. The average estimates of super efficiency were 0.76 and 0.82 under Super-CCR and Super-BCC model respectively, and were 0.61 and 0.67 under SBM-Super- CCR and SBM-Super-BCC model. Finally, the study conducted a rank-sum test, Wilcoxon-Mann-Whitney test, to fi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heterogeneity existing in efficiencies among the sample corpor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efficiency between Dried, Salted product manufacturing and Frozen product manufacturing under BCC-Super efficiency model at 10% level of significance. Furthermore, TOBIT model was applied to find out the potential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the efficiency, Wilcoxonand the results showed debt and sales cost influenced all of the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while net profit influenced only the technical efficiency.
본 연구에서 배아의 생식세포 동결에 가장 흔히 쓰이고 있는 두 가지 동결 보호제, 즉 DMSO와 EG의 독성을 비교하고자 생쥐 수정란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하였다. 생후 6주령의 암컷 생쥐 F1 hybrid mice에 10 IU의 PMSG를 복강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고, 2-세포기 배아를 획득하고 DMSO와 EG 각각 노출시킨 후, 배양을 하였다. 배반포의 전체 세포수는 2-세포기 단계에서 DMSO(68.1±24.1)로 EG(81.2±27.0) 혹은 control(99.0±18.3)(p<0.001) 처리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DMSO 처리구가 EG 처리구에 비해 세포수가 적었다. DMSO(15.4±1.5)와 EG(10.2±1.4) 두 처리구는 대조구(6.1±0.9, p<0.0001)와 비교해서 배반포에서 세포사 비율이 더 높음을 확인했다. 또한, DMSO 처리구는 EG 처리구(p<0.001)보다 더 많은 세포사멸된 세포가 확인되었다. DMSO 또는 EG 처리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배아 부화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배아에 대한 동결 보호제의 잠재적인 독성을 확인한 결과였다. 이번 연구에서 장기간 처리했을 때 EG 처리군보다 DMSO 처리군에서 배아발달과 세포수가 저하된 것은 DMSO의 독성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Generally, the outcomes of the historical study in some domain would be a most fundamental and basic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and core component of them. Specially in case of social scienc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search much more emphasized that would be divided into independent academic field. In Korean history including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the most remarkable historic event would b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one of the most obstacle should overcome. Though the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of Korea have considerable own history, the research and study of that not so much have been performed or investigated includ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f fisheries history have merely focused on partial topics like ‘Fishermen’s Association’,‘Fisheries Industry Despoliation’. And the historical study of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s overall status and trend in local area except Pusan also not enough.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isheries trends and statu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and finding out the overall major fisheries business issues that would be a better understanding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Achieving that Objectives, over 800 articles of medi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other historical data were gathered, refined and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of major fisheries topics and issues that including overall fisheries status, trends, fisheries catches, local 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eries exhibi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atus of fisheries in Korea had been deteriorated for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fisheries capitalist during that period. Though the level of Tongyeong in fisheries was very high in terms of catches ratio and population of fisherman, the distribution networks of fishermen’s association was not good enough. And the Tongyeong fisheries exhibition in 1922 has positive aspects for considering both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Even though the results and findings would be a helpfu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fisheries business trends and statu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e research and study of that should be accomplished.
기술 표준은 기술적 특성과 사양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합의로서 기술의 발달 과 함께 모든 산업에 걸쳐 존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술의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기술 표준 연구(표준화 연구)는 기술 표준의 채택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 고유 의 가치와 상호호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술 중심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데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기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기술 차별화 정도와 기업별 기술 선호도 함 수를 두 단계 게임 이론 분석 방법에 반영하여 새로운 기술 중심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실증 사례로 사물인터넷의 무선 팬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해당 시장의 기술 구조 및 표준 관련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s a climatic element and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in Korea using annual time series data from 1970 to 2013. It also tried to predict the future changes in catch amount of fisheries by climate change. Time series data on variables were estimated to be non-stationary from unit root tests, but on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found from a cointegration test. The result of Granger causality test indicated that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ould cause directly changes in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catch amount showed that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oul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Therefore, i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ould increase, all other things including the current level of fishing effort being equal, the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was predicted to decrease.
The abalone aquaculture has been very rapidly developed in Korea. Annual production quantity was less 200 tons before 2000th, it have been increased to over 9,000 tons in 2014. Also Abalone export amounts have been over 20 million dollars. The reason of rapid growth of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due to high level profit ratio. Then now many fishing officers and other aquaculture fishers want to participate with abalone aquaculture newly. However Recent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faced some problems. Aspects of production environmental status of fishing grounds are more aggravate, and then abalone aquaculture is exposed to various disease, and death rate of young abalone is higher. And aspect of management, the aquaculture cost is more increase. The demand of abalone also is depressing recently, this cause to come down the production price. In this viewpoint, Management analysis of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helpful for decision making of general aquaculture fisher want to participate newly. The analysis is practiced two aspects. One is index analysis, and the other is Break-even-point(BEP) analysis. The result of index analysis, average net profit rate has shown 28.0%, however the Regional difference has excessive. That is, Wando(major) has shown 39.4%, and Haenam province has shown 14.2%. On the other hand, the more scale has shown higher profit rate by aquaculture scale. And the result of BEP analysis, average has shown 93 cage number per abalone aquaculture household, and Wando(major) has shown 56 cage number, Haenam province has shown 131 cage number. The lower production abalone price of recent means higher BEP level.
Immunoprecipitation-bas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P-HPLC) is a type of modifi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at uses protein A/G (or antibody)-conjugated beads instead of the antibody-conjugated wells used in ELISA. In order to determine the fidelity of IP-HPLC, the author used 83 antisera to identify protein expression changes caused by cisplatin treatment in KB human oral cancer cells. KB cells were cultured for 12 or 24 hours with 10 ug/mL cisplatin. The results obtained by IP-HPLC were comparable with published cisplatin data, although ELISA was not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Cisplatin dominantly reduced the level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on, transcription factors, growth factors, cytoskeletal proteins, and cellular differentiating factors, but on the other hand, apoptosis-related factors, oncogenes, and protective proteins were usually up-regulated, presumably to address cisplatin-induced DNA damage. In particular, cisplatin directly inactivated genomic DNA by down-regulating histone H1 and demethylase and by up-regulating deacetylase. Cisplatin also rapidly induced p53 overexpression and mitochondria-mediated endogenous apoptosis occurred after 12 hours of cisplatin treatment, although this was almost completely replaced by FASL/FAS-mediated exogenous apoptosis after 24 hours. This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 of cisplatin on the KB human oral cancer cells and to determine the fidelity of IP-HPLC data. It was concluded that IP-HPLC is useful for identifying profile changes of genome wide essential proteins and signaling changes of major molecular pathways.
In this study, temperature variation characteristics in a flat plate with sheath heater a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ANSYS fluent is used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ing plate system. Transient condition is applied to observe temperature variation with the sheath heater operation, and thermal resistance on the contacted surfaces is also considered. Experimental data agree well with numerical results obtained for heat generation rate from sheath heater, Local temperature variation on the surface of flat plate is also predicted through this simulation. There is large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air surrounded flat plate, especially at the top of flat plate with natural convective heat transfer.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optimal design for various systems equipped with sheath heater.
Although the NutriPlus program has shown considerable evidence of enhancing users’ nutritional status, the budget does not cover all eligible mothers and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cost-benefit analysis of the NutriPlus program to assess its economic efficiency. 53 families with 79 users in the NutriPlus program at Daejeon Dong-gu Health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informed consent. The costs and benefits were estimated from both the administrator’s and users’ perspectives. We converted the time cost into Korean currency based on the minimum wage in 2014. The value of nutrition education and service (B2), estimated by contingency valuation method (CVM), was counted as an economic benefit. 6 families (11.3%) were recipients of national medical care and 22 families (41.5%) paid 10% of the food package cost by themselves. The total cost was 7,450,167 and the total benefit was 12,402,239. The budget for the health center (C1+C2+C3+C4) was 5,984,381 a month. Time and transportation cost for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C6)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families. Household food consumption increase (C4-B4) was 40,379 in the poverty group, which was four times more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net benefit (B-C) was 4,852,172 and the B/C ratio was 1.66. Therefore, the NutriPlus program is beneficial in the economic aspect as well as in the nutritional aspect. If the enhancement of nutritional status was also considered, the total benefit would be even higher. These results confirm the legitimacy of a secure budget for the NutriPlus program. And we suggest expanding its budget to cover more eligible individuals to improve people’s health and welfare.
The major complaint of hybrid vehicle driver is that real fuel economy is lower than the certified fuel econom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cause of low fuel economy and to improve the fuel consumption at real driving condition. In this study, the various speed profile is measured by driving urban road with considering different traffic jam. By using backward simulation, the fuel economy characteristics of the acquired driving modes are analyz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operating points of engine and motor analyzed and the cause of decrease of real fuel economy is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esirable way on the eating of sugar foods, specifically the differences between dietary attitude, dietary behaviors and intake frequency. Data was collected from 279 middle students in the Incheon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behaviors and intake frequency was 3.52, 2.89 and 2.51, with a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0.867, 0.789, 0.940 and KMO of 0.899. Factor analysis extracted three components of the sugar preference, which we named dietary attitude (factor 1), dietary behaviors (factor 2), and intake frequency (factor 3). Th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gar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p<0.05). Also, intake frequency of sugar f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colate, chocolate products, and ice cream between sugar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ake, bread kinds, juice, sweetness milk, yogurt between sugar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p>0.05).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intake frequency of sugar food (p<0.05) was shown for the dietary attitude, BMI, weight, and monthly pocket money. Based on this study, the reduction of sugar intake is needed especially for middle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jerusalem artichokes and to define its antioxidant potential. The study also evaluated mook prepared with jerusalem artichokes powder as a new functional food for ameliorating Diabetes Mellitus. Regarding the chromaticity of mook prepared with jerusalem artichoke, lightness decreased as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increased (p<0.05),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Regard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increased (p<0.05).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JA30 were 7.36 mg TAE/g and 2.15 mg RE/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3.50 mg TAE/g and 0.76 mg RE/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scavenging abilities (IC50) for JA30 were 4.40 and 5.70 mg/mL,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er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7.59 and 7.24 mg/mL, respectively).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IC50) of JA30 and the control group was 18.91 and 24.01 mg/mL,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described results, mook containing jerusalem artichoke powder is expected to ameliorate diabetes with antioxidant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and sensory factor. Also, it is believed that this functional material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