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IT 융합산업의 시장은 규모는 더욱 더 성장하여 2018년에는 2,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산업간 융합 환경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전통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제공하는 원천으로 활용될 것이며 산업 간의 융합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 일반화되고 그 서비스가 재편됨으로써 기존의 다른 응용 기술과의 융․복합된 서비스 구조 및 형태를 예측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기술 요소뿐만 아니라 다중 분야별 융․복합형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해 효율적인 서비스 모델링을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시스템들이 구축에 활용되었던 방법론에 대한 결과물인 유즈 케이스(Use Case)를 활용하여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및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유즈 케이스 기반의 영역간의 서비스 통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융․복합 모델을 제시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a quality management method of silicon wafers for solar cells using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model which can forecast conversion efficiency in state of a silicon wafer of a solar cell was presented newly and studied its limits. The first approach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quality characteristics which was currently known and the quality of the last production. Also, The special factor which was unknown to a general factor until now was found. This paper presented the time series analytical model which was transformed in order to forecast exactly the influence that these specia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mmersed in to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cells. Using the correlation of forecasted value along the arbitrary change of measured value, the most optimized reduction factor for calculation of weight to be suitable for this model was defined.
This study is prepared on the ground of consulting business in an objective of a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at was proceeded on industrious-purpose reel manufacturer, S cor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the production line of industrious-purpose reel via 4M analysis and separate team activities. The method for study was proceeded with 4M analysis via video recording, one of the steps of separate team activities. Separate team activity is newly established concept, indicating what is modified and expanded partial process among previously existing 6-Sigma methodologies so that measures of various variables in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line are applied. The first procedure is a 4M analysis via video recording. firstly, consultant records videos for relevant process, conducting 4M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to derive wasting factors in each process. Secondly, it is a procedure to derive and select proper measures, meaning that measures for removing wasting factors based on derived results are elicited, selecting a measure with high probability of application via negotiation between consultants and separate teams. The last procedure is an application of selected measures to real production line, reflecting an environment of production field to derive an effect of increasing practical productivity rather than a qualitative effect as a measure with trust and flexibility.
As local governments have difficulties in financing U-City projects very much at once, investment from private sectors is necessary. This paper propose methodologies about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private investment in U-City construction. They are concrete shapes of feasibility study methodologies of KDI PIMAC to meet U-City construction. They are feasibility study of private investment by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methodologies of financial VFM analysis to cost during a U-City project,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VFM analysis of project management, U-City service quali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U-City infrastructure . They give concrete examples of the Ansan U-City project.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특별보호구로 지정된 히어리군락의 생육상태와 향후 자생지의 지속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히어리군락은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암 및 자갈 노출도가 60%이상으로 식피율이 낮게 나타났고 계곡범람으로 조사구의 훼손과 교란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히어리군락의 교목층은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였으며, 아교목층은 히어리, 당단풍, 사람주나무, 편백, 산딸나무가 우점하였다. 관목층은 작살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우점하였으며, 초본층은 애기나리 등이 우점하였다. 계곡부에 위치한 히어리군락의 3년동안(2008∼2010년) 생육기인 5∼9월의 강수량 및 강우일수는 점차 증가하여 침식 및 훼손 등의 교란가능성이 높았으며 히어리가 주로 수광량이 높은 계곡부에 분포함으로서 성숙된 종자의 산포가 토양층이 얕은 계곡으로 분산되어 유묘 발생에 의한 개체군 증가가 빈약하였다.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개체군 보전과 복원을 위한 서식지로서의 여건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방사된 반달가슴곰 개체가 확인된 피아골, 빗점, 장당골, 뱀사골, 한신계곡, 칠선계곡에서 이루어졌다. 반달가슴곰의 조사연도별 행동권 크기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95% Minimum Convex Polygon(MCP)법으로 분석한 계절별 행동권 크기는 수컷이 봄 25.64 ㎢, 여름 73.02 ㎢, 가을 41.58 ㎢, 겨울 6.11 ㎢이었고, 암컷은 봄 17.57 ㎢, 여름 27.45 ㎢, 가을 13.26 ㎢, 겨울 2.89 ㎢으로 수컷의 행동권이 암컷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달가슴곰의 성별 행동고도는 수컷이 암컷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평균 행동고도는 봄 894±33 m, 여름 852±20 m, 가을 985±67 m, 겨울 996±26 m로 나타나 반달가슴곰은 겨울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높은 행동고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대지반가속도(PGA : Peak Ground Acceleration)는 지진파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매개변수(Parameter)이며 주로 지진파의 강도를 나타낸다. PGA가 동일하더라도 지진파에 따라 다른 동적특성을 가질 수 있고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PGA만으로 구조물에 미치는 지진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해석을 위하여 단자유도(Single Degree Of Freedom) 구조물의 시간이력해석 수행하였으며, 수치해석모델은 완전 탄소성(Perfect Elasto-Plastic)으로 가정하였다. 검토한 입력 지진파는 El Centro NS(1940)의 값을 증감한 지진파를 포함한 실측지진파, 인공지진파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PGA가 동일한 인공지진파들에 대해 비탄성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각 지진파에 대하여 변위연성도와 누적소산에너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PGA를 가지더라도 지진파에 따라 서로 다른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진의 특성뿐 아니라 구조물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을 대표할 수 있는 SI(Spectrum Intensity)는 속도응답스펙트럼의 일정구간에 대한 적분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SI와 변위연성도 및 누적소산에너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비탄성응답의 대표값으로 SI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specific features prevalent in the Women's Wear Collection S/S 2011. As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denim styles were classified by various fashion design factors consisting of silhouette, fit, color, and textile fabric, which were extracted from an image database. The properties of denim fabrics associated with each fashion image were investigated to inform fabric development and was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dense and glossy surface of the denim fabric represent a modern trend, which can be achieved by blending lyocell, tencel and rayon or by using different textiles, such as lightweight plain weave and satin instead of twill. For casual look, various washing effects were utilized jean's casual feeling like freedom and activities, while in a modern image, washing effects was restricted. And a glossy textile offers a simple modern look. The Modern image represents a simple H-silhouette and wide or straight fit in bottoms as well. Brightness can be adjusted by washing-induced bleaching. High brightness gives an elegant image, while low brightness makes a casu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gure a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in the growing women's casual wear market. In addition, This study, in which the elements for specific fashion image-making were analyzed,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denim style and fabr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roticism of the exposed body and clothing style of Chinese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d to design and develop a niche market for the Chinese. A Chinese professor translated 52 questions, which formed a preliminary survey given to 30 Chinese students. Following this preliminary survey, some questions were then revised. Th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3 weeks starting from the 5th of October. Only 289 of 330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Regression analyses in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ider men's breast, back, and neck line in order to develop the design of men's clothes, and the leg and collarbones for women's clothing.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we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articles of clothing to expand the erotic market for Chinese women's clothes: mini-skirts, side slit skirts, and tight-skirts for bottoms; blouses or T-shirts with a neckline scooped out deeply for tops; and see-through one-piece dresses with deeply scooped out backs.
편각은 판구조론 이해의 바탕이 되는 개념이며 실생활에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때도 쓰이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에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편각에 대한 설명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고등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개념 검사지를 통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교과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등학생들은 특히 자북극과 관련하여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교과서의 편각에 대한 설명 부족과 함께 잘못된 삽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편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비쌍극자 효과를 추가한 편각의 설명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삽화의 제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한반도에서 측정되고 있는 시계열 지자기 자료에 대해 결측 자료에 대한 복원과 측정 자료에 기반한 예측, 그리고 기관별 관측 자료에 대한 잡음도를 분석하였다. 결측 자료의 복원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통한 최적화 기법과 지구 통계학적 접근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주성분 기법은 자료의 주기성을 효율적으로 반영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지구통계학적 방법은 안정적인 복원 능력을 보였다. 관측소 별 잡음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천 및 청양에서 동일 기간에 관측한 지자기 자료에 대해 공간적 분산성을 스캐터그램을 이용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청양 관측소의 자료가 이천 관측소의 자료보다 연속적이며 안정적인 측정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복원을 위한 크리깅 추정에서도 실제 자료의 추정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결측자료의 복원의 경우 20분 이내의 결측 자료에 대해서는 크리깅 기법과 주성분 기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그 이상의 결측에 대한 복원과 지자기 자료의 예측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성분 기법을 적용해야 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이 실제와 더욱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지자기 자료의 예측을 위해서는 주성분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하루 정도의 지자기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for chicken head soup base were determin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sensory properties.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evaluated were yellowness, turbidity, bloody, chicken-brothy, organ meat-like, and fat-like flavor. All valu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ncreased remarkably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The optimum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were determined to be 1800 g and 150 minutes, respectively. Chicken head soup base had less fat,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its derivatives, but had significantly more cholesterol, sodium, and iron than whole chicken soup base. In flavor compound analysis, the amount of hexanal of the chicken head soup base, which is related to fat rancidity flavor, was 11-fold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chicken soup ba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ocal and specialty foods of the Yeong-ju reg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new menu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384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raditional rice cake production methods and their traits, were analyzed. Samgyetang was ranked top in the survey on recognition, public interest, and frequency of the local foods. Dakjuk was ranked second, followed by Baechujeon and Bopguk, in order. The level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pecialty foods were in the order of hasuo, peach, apple, and meat. Among the answers in the survey o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ocal foods, changing of the cooking style for younger generations' tast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Holding events to promote regional specialty foods and initiate the public to traditional cooking styles were listed sequentially by importance.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promotion of local foods through education, and as well as incorporation of new ingredients are both highly effective ways to commercialize local foods for tourism.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aste, nutrition, and appearance of food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quality.
Green strength is an important property of powders since high green strength guarantees easy and safe handling before sintering. The green strength of a powder compact is related to mainly mechanical and surface characters, governed by interlocking of the particl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wder surface roughness on the green strength of iron powders was investigated using a transverse rupture test. Three-dimensional laser profiler was employed for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surface roughness. Two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i.e. surface roughness, of powders were compared. The powders having rough surfaces show higher green strength than the round surface powders since higher roughness leads increasing interlocked area between the contacting powders.
지속적인 젖소의 능력개량과 사양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우리나라 젖소의 우유생산 능 력이 점차 향상되는 추세에 있다. 2000년에 8,086kg이었던 검정 유량이 2010년 9,638kg 으로 증가되었고, 검정농가의 비율도 2000년에 25.8%에서 2010년 55.2%로 사업에 참여 하는 농가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농가별 사육규모도 점차 증가되어 2000년에 호당 40.7두에서 2010년 67.7두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근래에 기후변화, 경영 의 복잡화, 우유 생산량과 호당 사육두수의 증가 등으로 농가에서 젖소의 번식관리에 상 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번식관리의 어려움으로 번식 성적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도태 산차가 단축됨으로써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크게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젖소의 평균 보유산차는 2.5산, 평균 도태산차는 2.9산으로 우유생산 능력이 최대로 발휘하기 전에 도 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젖소의 도태 유형을 분석 및 비교하 고, 농가별 평균능력우의 보유 수준에 따른 경제수명 연장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 행하였다. 평균능력우의 보유 비율에 따라 80% 이상(80% 이상구)인 농가 15호와 80% 이하(80% 이하구)인 농가 14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평균능력우의 비율이 80% 이상 인 농가는 896두, 이하구의 농가는 785두 총 1,681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 보유 산차는 80% 이상구의 경우 2.7산, 이하구의 경우 2.4산으로 평균 2.55산이었고, 평균 도 태산차는 80% 이상구의 경우 2.9±0.2산, 이하구의 경우 3.0±0.2산이었으며, 평균 도태율 은 80%이상구가 17.7%. 이하구가 17.0%였다. 주요 도태 유형을 보면, 번식장애가 34.5 % (101/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질병이 17.1%(50/293)로 나타났다. 번식장애의 경 우 80%이상구 및 이하구가 각각 33.3%(53/159) 및 35.8%(101/293)였고, 질병의 경우 각 각 20.8%(33/159) 및 12.7%(50/293)였으며, 유방관련 도태의 경우 각각 12.6%(20/159) 및 15.7%(21/134)였다. 주요 번식장애 유형별로 보면, 저수태의 경우 80%이상구 및 이하 구가 각각 41.5%(22/53) 및 72.8%(35/48)였고, 무발정의 경우 각각 39.6%(21/53) 및 16.7% (8/48)였다. 질병의 유형별로 보면, 소화장애가 30.0%(15/50)로 가장 높았고, 대사 장애가 26.0%(13/50)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유방관련 도태에 있어서는 유방염으로 인 한 경우가 85.4%(3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립불능 유형으로 보면, 원인불명이 47.7 %(21/ 44), 운동기관 장애가 20.4%(9/44) 및 사고가 15.9%(7/44)였다. 주요 도태원인별 산차를 보면, 번식장애가 2.7산, 질병이 3.0산 및 유방관련 도태가 3.8산이었다.
분만 후 최적 수정시기를 탐색하기 위한 초기의 연구에서는 분만 후 경과일 수에 따라 분만 후 60일 이내, 61 90일 및 90일 이상으로 구분하여 시험이 수행되었는데 처리별 첫수정 수태율이 각각 48%, 70% 및 76%였고, 수태당 수정횟수가 2.09회, 1.55회 및 1.54회였다고 보고하였으며(George, 1955), 분만간격이 360 374일인 젖소의 첫수정 수 태율에 있어서 분만 후 0 45일 38%, 46 60일 47%, 61 90일 55% 91 120일 59% 및 121 180일 59%로 분만 후 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수태율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 보고하였다(Bozworth 등, 1972). 그리고 분만 후 50일 및 80일에 발정이 발견된 경우 의 수태일수는 각각 88일 및 121일이었고, 수태당수정횟수는 각각 1.50회 및 1.96회였다 고 보고하였다(Schneider 등, 1981). 또한, 분만 후 50 75일, 76 100일 및 100일 이상 에서 인공수정 시 임신율이 각각 36%, 47% 및 43%로 76 100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Pursley 등, 1998). 분만 후 비유단계에 따른 발정발현율, 수태율 등이 연구자 들에 따라 다소 의견을 달리하고 있고, 특히 산유능력(평균능력 및 고능력)에 따른 조사 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단계 및 산유능력에 따른 발정발현 율, 수태율을 조사하고, 차기의 번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정 수정시기를 구 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만 후 기간에 따라, 분만 후 30 59일(30일구), 60 89일(60 일구), 90 110일(90일구) 및 111일 이후(111일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분만 후 발정 발현율은 30일구가 16.7%(17/102), 60일구가 28.4%(29/102), 90일구가 20.6%(21/102) 및 111일구가 34.3%(35/102)였고, 분만 후 수태율은 30일구가 52.9%(9/17), 60일구가 51.7 %(15/29), 90일구가 47.6%(10/21) 및 111일구가 48.6%(17/35)였다. 산유능력별로 보면, 발정발현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25.0% 및 16.7%, 60일구의 경우 각각 40.6% 및 20.8%, 90일구의 경우 25.0% 및 12.5%, 111일구의 경우 9.4% 및 50.0%였고, 수태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87.5% 및 25.0%, 60일구의 경우 각각 61.5% 및 0%, 90일구의 경우 75.0% 및 33.3%, 111일구의 경우 66.7% 및 50.0%였다.
현재 경북지역에는 약 700여두의 칡소가 사육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자연종부에 의한 번식에 의존하고 있어 사육농가에 따른 근친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고 품조의 퇴화가 의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에 사육하고 있는 칡소의 유전적 근연관 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배계획 등에 활용할 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칡소 개체에 따른 모색발현은 전체 칠소무늬, 부분 무늬, 황색 및 흑색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경북지역 사육 칡소 암소와 수소 총 67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DNA를 분 리하였다. 근연관계분석은 ISAG에서 추천하는 27개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하여 PCR 분 석을 하였다. 결과는 POPGENE32 및 UPGMA 등의 클러스터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 전적 거리 및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칡소의 모색은 전체 칡소 무늬, 9.6%, 부분 칡소 무늬, 56.0%, 황색 20.8% 및 흑색 13.2%로 조사되었다. 칡소 혈액으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genetic distance(GD)를 조사 하여 모색 발현과 비교한 결과 전체 칡소무늬는 GD 값이 0.92, 부분 칡소무늬는 1.32, 황색은 0.79 및 흑색은 0.77로 분석되었다. GD 값이 큰 개체들 간에 교배한 경우 칡소무 늬가 발현된 송아지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 경북지역 칡소의 기초적인 유전적 근연관계를 확인할 수있었으며, GD값이 클 수록 모색이 정확하게 발현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근연관계 분석에 더 많은 칡소의 분석과 모색유전자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ialic acid는 9탄당의 단당류로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의 당사슬 말단에 존재한다. Sialyltransferase의 활성에 따른 sialic acid의 함량의 변화는 세포의 생존, 분화, 증식등 다양한 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표적인 당단백질 의약품인 EPO의 경우 말단 sialic acid의 함량은 체내활성이나 반감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sialytransferase는 다 양한 방면의 연구에서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이다. 하지만 돼지에서는 당사슬 관련 연구가 미흡하며 관련 효소들도 아직까지 그 염기서열이나 세포내 기능이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 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클로닝 된 ST6Gal1을 돼지유래 세포주 PK-15세포 를 이용하여 세포내 기능을 분석하였고, ST6Gal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각 조직별로 비교분 석하였다. N-terminal 구역에 Flag-tagging된 pig ST6Gal1을 pcDNA3.1(+) vector에 cloning하여 PK-15 cell에 trasfection하였다. Rea-time PCR과 Western blot을 이용해 효소의 발현을 확인한 후, α2-6 sialic acid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Sambucus nigra agglutinin (SNA)을 사용하여 immunofluoresescence microscopy analysis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ST6Gal1-transfected cell에서 α2-6 sialic acid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adhesion assay를 통해 ECM 기질의 일종인 fibronectin에 대한 부착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K-15 cell의 β-integrin에 존재하는 당사슬의 α2-6 sialic acid 함량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조직별 발현량 분석을 통해서는 간에서 특이 적으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이는 human, mouse 등의 다른 종들에서의 결과와도 일치 한다. 또한, 자돈(5일)보다는 성돈(24개월령)에서 ST6Gal1의 발현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