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120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수거한 총 2,066건의 해산물(어류 573건, 패류 721건, 갑각류 208건 그리고 연체류 564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0.3%(212/2,066)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212주의 대장균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4.0%, 2월 1.0%, 3월 0.7%, 4월 9.5%, 5월 4.4%, 6월 9.4%, 7월 30.5%, 8월 42.1%, 9월 21.2%, 10월 6.6%, 11월 0.7% 그리고 12월 4.6%의 검출율을 보여, 6-9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7.0%(40/573), 패류 12.8%(92/721), 갑각류 8.7%(18/208) 그리고 연체류 11.0%(62/564)의 검출율을 보여, 패류, 연체류가 어류,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21.3%의 검출율을 보였고, 인천 15.6%,경남 12.1%, 전남 11.5%, 전북 22.2%, 충남 11.6%, 제주 6.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9.0%의 검출율을 보였다. 21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동정을 실시한 결과, O6은 소라, 키조개, 그리고 건해삼에서 각각 1건씩, O25는 문어, 멍게에서 각각 1건씩, O29는 소라, 키조개에서 각각 1건씩, 그리고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8은 문어, 갈치, 미더덕, 바지락, 낙지, 쭈꾸미, 소라, 오징어 알에서 각각 1건씩, O167도 소라에서 1건 확인되어 총 16주 (7.5% = 16/212)의 O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해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120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재배토양과 주요 양채류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고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첨가가 작물생육과 셀레늄함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랭지 지역의 토양의 셀레늄 함량은 0.024~0.038mg·kg-1의 분포를 보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지역에서 재배된 브로콜리의 셀레늄 함량은 적게는 10.5mg에서 많게는 17.9 mg·kg-1DW로 나타났으며, 토양내 셀레늄 함량이 높을수록 재배 작물체내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셀러리의 셀리늄 함량은 6.02 mg·kg-11이었고, 비트, 결구상추 및 파슬리는 1mg 전후로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2mg·L-1처리구는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생육및 작물체내 셀레늄함량을 증진시켰다. 2mg·L-1농도 60일간 관비재배한 결과 양채류의 Se 함량은 브로콜리 76.2mg·L-1, 파슬리 69.1mg·L-1, 셀러리 63.2mg·L-1, 비트 54.2mg·L-1, 결구상추 8.3mg·L-1순이었으며 브로콜리는 대조구보다 4.2배, 셀러리는 10.5배, 파슬리는 62.5배가 증가하였다.
        4,000원
        1205.
        2008.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OCs originating from vehicles were measured at 8 underground parking lots(two apartments, four department stores, and two large-scale marts) in Daejeon. The indoor air quality at underground parking lots of the department stores and marts was affected by the availability of the ventilation facility and their operation frequency.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ith a ventilation facility, the maximum VOCs concentration was 727㎍/㎥, and the minimum was 73.5㎍/㎥. The average concentration ratio of BTEX to TVOCs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was almost constant, which was approximately 44.8%. TVOCs and BTEX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0.88. The relative ratio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was 1 : 9.51 : 0.71 : 2.53, directl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vehicles sources.
        4,200원
        120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랑호 어류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6과 32종이었으며, 일차담수어는 11종(34.38%), 주연성담수어는 18종(56.25%), 해수어는 3종(9.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지점 및 시기별 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한 결과 갯터짐이 일어나면 생태적 특성에 따라 어종의 출현 비율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랑호의 어류상에 대한 과거 자료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해수의 유입이 일어나면 주연성담수어와 해수어의 비율은 증가하고 일차담수어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석호 내의 어류군집은 갯터짐에 따라 시 공간적으로 그 성격이 매우 달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0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척이 식생 분포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새만금 간척지구 내 안서 포구 앞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서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식생과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의 조간대와 기수 지역에 출현한 식생은 모두 염생식물로, 조간대는 3종의 염생식물이 출현하여 단순하였고, 만조대와 기수 지역은 각각 9종과 8종이 출현하여 조간대에 비하여 다양하였다. 식물종은 조간대에서 해홍나물(Suaeda maritima),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및 칠면초(Suaeda japonica)가, 기수 지역의 비침수 지역에서는 해홍나물, 갯질경 및 갯개미취(Aster tripolium)가, 기수 지역의 침수 지역에서는 갯댑싸리 (Kochia scoparia var. littorea)가 우점하였다. 토양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조간대 내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양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Na+ 및 Cl-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식물종 간의 EC 농도는 동일지역 내에서는 유사하였으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는 동일종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식물종의 출현 유무는 토양환경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조간대 및 기수 지역에서 식물종의 출현은 토성과 토양화학성에 따라 다름으로써, 식생의 분포는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4,300원
        120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우사기(USAGI)와 나리(NARI) 내습시 낙동강 진우도 해안쓰레기량을 조사하여 그의 양, 종류 및 구성 성분을 평가하고,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태풍 내습 파랑분포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1) 태풍 내습시 낙동강 하구 진우도 해안쓰레기는 5,769/86kg/km2/day의 퇴적속도로 퇴적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이는 평상시보다 약 14.42 배 많은 양이다. (2) 진우도 전면해역에서의 태풍 내습시 파고분포는 4.1-3.5m였으며, 진우도 전면해역이 도요등 전면해역보다 파고비가 약 1.0배에서 2.5배 상승하여, 파랑에너지의 집중도가 크고, 보다 많은 양의 부유물질(쓰레기)의 밀집이 예상된다.
        4,000원
        121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형 체감온도지수를 개발 보급하기 위한 생명기상분야 기초연구로서 현재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체감온도 모델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반도는 도심지역, 해안도서지역, 내륙지역, 산간지역으로 구분되었다. 평균기온의 경우, 해안도서지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간지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저기온은 도심지역과 해안도서지역에서 영하 20˚C이고, 내륙지역과 산간지역에서 영하 30˚C로 나타났다. 풍속의 경우, 평균 풍속과 최대 풍속이 모두 해안도서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동계의 지역별 기온과 풍속의 분포는 전 기간의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JAG/TI와 Missenard 모델의 민감도 분석 결과, 기온이 체감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영하의 온도에서는 풍속의 영향이 증가한다.
        4,500원
        121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히어리 개체군의 분포가 북사면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 실험 및 전라남도 순천지역의 히어리 자생지에서 생육지(남사면과 북사면) 실험를 대상으로 종자 발아실험과 미기상 환경을 조사하였다. 종자 발아실험은 실내 및 생육 현지에서 실시하였고, 미기상 요인 측정은 히어리가 분포하는 지역과 분포하지 않는 두 지점에 대하여 기온, 지온, 습도, 토양수분 및 광량자를 각각 측정하였다. 히어리의 종자는 사면에 따른 환경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발아되어 종자의 산포 및 발아단계에서 사면의 환경 차이가 제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발아한 유묘가 정착하는 단계에서 북사면이 남사면에 비해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를 보여, 북사면이 상대적으로 건조에 취약한 유묘의 정착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착단계 이후 개체군의 성립 단계에서는 북사면이 남사면에 비하여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가 유지되었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나 히어리 개체군의 성립에 있어 발아단계에서 유묘로 정착하는 초기단계에서의 히어리 개체군의 사면적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4,000원
        121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tribution of light in a randomly scattering medium can represent problems found in many area.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lasers for Photodynamic therapy(PDT) or in the fluorescence spectroscopy for biological tissue, turbid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he influences of fluorophor, scatterer, and absorber in turbid material by light scattering were interpreted for the scattered fluorescence intensity and wavelength. The molecular properties have been studied by laser induced fluorescence spectroscopy in scattering medium as tissue. It has been found that the effects of optical properties in scattering media could be investigated by the optical parameters(μs, μa ,μt). Experimental and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for modelling light transport in tissue was applied.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a randomly distributed scattering medium we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It'll be also important in designing the best model for oil chemistry, medicine and application of medical engineering.
        4,000원
        121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 총 3회에 걸쳐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해역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004년 9월, 11월 그리고 2005년 2월에 종속영양세균의 수는 각각 표층수에서는 3.5×101~1.16×103 cfu mL-1, 0.4×101~5.6×101 cfu mL
        4,000원
        121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순환팬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평적인 공기흐름이 환경요인들의 수평 및 수직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순환팬 가동 유무에 따라 기류 속도, 기온, 상대습도 및 CO2농도의 3차원 분포를 측정하였다. 온실내 기상인자 분포의 균일성은 외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무처리시 기온 편차는 4.7, 습도 편차는 19%이었는데 팬을 가동한 경우 그 편차들은 각각 2.2, 6.3%로 감소하였다. 팬 용량이 증가할수록 측점간 기온 편차가 줄어들었는데, 온실 바닥면적당 0.0104m3·s-1 용량의 팬으로 온실내 적정한 공기 유동을 만들 수 있었다. 기온 및 CO2 농도의 수직분포는 높이나 팬 용량에 관계없이 상당히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 방향의 기온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팬 배치와 소용량의 팬을 다수 설치했을 때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16.
        2007.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to evaluate and recogni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IAPs) such as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ormaldehyde(HCHO), PM10, carbon dioxide(CO2), nitrogen dioxide(NO2), ozone(O3) and radon in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urban, rural, and industrial complex area from November 2005 to February 2006.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IAPs were 117.9㎍/㎥ as in PM10, 1,971ppm as in CO2, 486.6㎍/㎥ as in TVOC. These chemical's concentration was exceeded the indoor air standard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ozone and toluene was lower than that of outdoor and other pollutant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In schools located industrial complex area, the outdoor concentration of TVOC was higher than that of urban and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above, PM10, CO2, TVOC have to be in the order of priority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in school. Also it should be performed in the detailed survey considered by the seasonal variation because this study showed cross-sectional results.
        4,000원
        121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 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폐광과 도곡폐광 지 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내 중금속 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 아본 결과, Amanita volvata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 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결과, Russula 와 Collybia 속은 비오염 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담자균 자실체의 중금속 흡수능을 살펴보기 위해 중금속오염토양에서 담자균의 자실체 유도를 하였으 나 우수 균주로 밝혀진 균주들의 자실체 발생이 어려웠으 며 P. ostreatus 만이 자실체가 발생하였다. 이 때, 중금속 흡수능을 조사한 결과, 건전토양보다 오염지 토양에서 자 실체내에서 월등히 많은 중금속이 검출되었다.
        121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벡터-기반 보조 정보를 사용하는 대시메트릭 매핑의 방법론을 정련화하고, 그것의 GIS-기반 실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0년 서울시 인구밀도 분포도 제작에 적용하는 것이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해당 변수와 공간적 연관성을 가지는 보조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변수의 분포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하는 지도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대시메트릭 매핑은 임의적인공간단위의 데이터를 보조 자료를 이용하여 변환함으로써 기저에 있는 통계적 밀도면(statistical density surface)를 복원하여 제시하는 주제도 제작 기법이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 정보가 가진 범주의 수와 범주 별 가중치 산출 방식을 모두 포괄하는 다중-클래스 대시메트릭 매핑의 일반식이 도출되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가중치 부여 방식을 정리하여‘인구 비중법’,‘ 표준 밀도법’,‘ 회귀분석법’으로 체계화하였다. 셋째, GIS 환경 하에서 대시메트릭 기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었다. 넷째, 서울의 2000년 522개 동 별 인구 수를 기본 데이터로 하고 벡터-기반의 토지이용현황도를 보조 정보로 하여 세 종류의 대시메트릭 매핑을 실시한 결과 코로플레스 매핑 보다는 기저의 통계적 밀도면을 보다 잘 반영하는 인구밀도 분포도가 제작되었다.
        4,800원
        1219.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giant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which is presumed developing in the East China Sea, is recently one of major issues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due to its fatal damage to the fishery. The biomass estimates have generally been conducted by trawl sampling and sighting survey methods. The biological research is also needed to clarify such environmental origin or diurnal migration patterns. While trawl sampling or sighting survey methods are effective to investigate its density estimates in its distributed community of near bottom or surface, they have a problem in investigation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jellyfishes. In this case, an echo sounding detection would have an advantage to survey it more extensively and effectively. This trial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giant jellyfish, where thermocline strongly formed, during mooring at each station of the East China Sea and southern coastal area using acoustical and optical methods. By the results, they were observed to exit and move at the water column under the thermocline using the optical camera and echo sounder system, and the information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acoustical sound scattering characteristics relatives to 120kHz frequency.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o estimate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 Giant jellyfish with comparing results from trawl sampling and sighting survey methods, hereaft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