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s in the seawater of live fish tank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n their existence were investigated by collecting samples from fish markets and restaurants in 6 different cities. Pathogenic vibrios and coliform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most probable number (MPN) procedure, and aerobic plate count was enumerated by the standard pour plate method. No Vibrio cholerae O1 was detected in all the samples tested. Detection rates of Y. cholerae non-Ol,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n all the samples tested were 7.7%, 69.2% and 23.1%,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of the seawaber measured were higher in the pathogenic vibrios positive samples than in those negative samples. However, higher salinity and pH were shown in the pathogenic vibrios negative samples than in positive samples. The aerobic plate counts and MPN of total and fecal coliforms in the seawater were higher in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s than in the absence of pathogenic vibrios. In this study,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s in the seawater tested was closely related with other physiochemical parameters and populations of coliforms, indicators for food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tic pressure, dynamic pressure, dynamic pressure-time integral, relative impulse,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sound lower limb and amputated lower limb in trans-tibial amputee subjects using Parotec system. Seventeen trans-tibial amputee subjects wearing endoskeletal trans-tibial prosthesi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tatic standing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static pressure in soun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10, 14, 15, 18, 19, 23, and 24 and in amputate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9, 12, and 16 (p<.05). 2) In dynamic gait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dynamic pressure in soun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2, 18, 22, 23, and 24 and in amputate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5, 9, 10, 11, 12, 14, 15, and 16 (p<.05). 3) In dynamic gait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pressure-time integral in soun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2, 4, 18, 19, 20, 21, 23, and 24 and in amputate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5, 11, 12, and 15 (p<.05). 4) In dynamic gait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impulse in soun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18, 19, 20, 22, 23, and 24 and in amputated lower limb insole sensor of 5, 9, 10, 11, 12, and 15 (p<.05). 5) In dynamic gait condition,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contact time in push off phase of sound lower limb and in support phase of amputated lower limb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tibial amputee subjects had characteristics of shortened push off phase due to unutilized forefoot and of lengthened support phase with higher pressure in the midfoot.
연안어장의 해저지형을 조사하기 위한 정밀음향측심시스템은 Public-DGPS 수신기. 싱글빔 음향측심기 및 측량용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였으며, 그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치망어장의 해저지형 특성 및 투입된 인공어초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public-DGPS 수신기의 위치측정오차는 DGPS 모드일 때와 GPS 모드일 때 각각 5.47 m, 7.03 m이었다. 2. 실험정치망어장의 수심은 9~10 m이었고 해저는 대체로 평탄하였으며 이 어장으로부터 남쪽으로 120 m 떨어진 곳에 깊이 1~2 m, 폭 10 m내외의 골이 존재하였다. 3. 자란만 부근의 인공어초 수역에는 20개의 사각형 어초 (L3×W3×H3 m)가 수심 15~25 m에 낱개로 투입되어 있었고, 이 인공어초군의 가까이에 높이 5~8 m의 자연초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본 연구에서 구현한 정밀음향측심시스템은 인공어초사업의 적지선정을 위한 사전조사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80년대 말 시점과 1990년대 말 시점을 비교구간으로 설정하여 서울 한남동지역에 대한 대기중 수은의 농도분포변화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긴 시간 동안 발생원과 소멸원이 지닌 관계의 변화와 같은 영향에 의해, 양 기간대의 농도분포는 절대적 및 상대적 관점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80년대말 시점의 농도가 14.4±9.56 ngm-3인데 반해, 90년대 말 시점에는 이보다 1/3 가까이 감소한 5.34±3.92ngm-3를 유지하였다. 두 기간대에 관측된 농도 및 주변환경변수를 여러 가지 주기별로 수은의 농도분포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24시간 주기 또는 계절별로도 양기간대의 농도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과거 시점에는 낮 시간대에 고농도가 발생하는 현상이 빈번한데 반해, 현 시점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계절적으로 겨울철에 고농도가 집중되는 현상은 과거나 현재나 유사하지만, 과거의 경우 겨울철 고농도가 여타 계절에 비해 확연했던데 반해, 최근의 분석결과는 계절간 차이가 상당 수준 줄어 들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 기간대에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농도분포는 주로 각 기간대별로 수은의 농도를 조절하는 주생성원의 성격이 현저하게 다른 데 따른 가능성이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1999년 9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서울시 한남동과 경기도 과천시 두 지역을 중심으로 대기 중 수은의 농도를 시간대별로 관측하였다. 두 지역의 여러 가지 여건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 지역의 농도는 각각 5.34(N=2576), 5.25ngm-3(N=1992)를 기록하였다. 본 자료를 이용하여 양 지역의 농도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주기로 볼 때, 한남동 지역은 야간대에 그리고 과천 지역은 주간대에 높은 강도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한남동 지역에서 겨울 그리고 과천 지역에서는 여름에 최고농도를 기록하였다. 양 지역에서 수은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을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으로 고찰하였다.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구 지역의 대기중의 수은 분포는 지역적 발생원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내 넙치양어장에 빈발하여 피해를 입히는 에드와드병의 원인균인 Edwardsiella tarda의 출현 시기와 분포를 알기 위하여, 1997년 6월부터 1998년 5월가지 제주도내 5개 넙치양어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수(주입수, 사육수, 배출수)와 사육중인 넙치의 장기조직 (간장, 비장, 신장, 장)을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해수인 경우는 DSSS배지에 직접 도말하는 방법과, 증균 배양후 도말하는 방법으로 균수를 계수하였고, 장기 조직은 각 장기를
소백산육괴의 서남부에 위치한 승주-순천 지역에는 화강편마암, 반상변정질편마암, 우백질편마암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이들 정편마암은 연구지역에서 순차적인 관입관계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 세 정편마암들의 원암인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적특징과 지구조적인 환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리카-알칼리 IUGS 분류도에 의하면 반상변정질 편마암은 섬록암에서 화강섬록암 영역에 속하고, 화강편마암과 우백질편마암은 화강섬록암과 화강암 영역에 걸쳐 점시된다. 주성분원소의 여러 특성은 본 편마암류의 원암은 비알칼리암이며, 동시충돌형 구조장에서 형성된 S형의 마그마임을 지시한다. 고장력원소를 이용한 구조장 판별도에서는 본 편마암류의 근원암이 칼크알칼리암계열의 화강암류이며, 동시충돌형 구조장에서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귤응애의 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분산형태에 대해 2개년(1999~2000년)에 걸쳐 잎 표본에 대하여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으며, 잎 표본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다. Taylor's power law의 기울기와 절편은 조사한 포장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상수값을 이용하여 잎 표본 조사에 의한 귤응애 약 .성충에 대한 고정정확도수준에서의 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법에 대해 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4개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 고정정확도(D)값이 요구되는 D값보다 항상 낮았으며, 나무당 귤응애 밀도가 8마리 이상에서 필요한 조사 나무수는 18주보다 작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weed distributions in 6 areas(Suwon, Seonghwan, Seosan, Taekwanryeong, Namwon and Yeongam)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tic weeds from 1997 to 1999. Total 44 species in 15 families of exo
Bacteriological quality of beef carcass and distributions of pathogens in beef processing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hygienic quality of fresh beef. Total bacter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in slaughtering process and cutting board in cut-meat process showed 10^5-10^6CFU/㎠ and l0^5CFU/㎠ in summer, respectively. The viable bacterial count of cotton glove was similar to that of cutting board during and entire period of year. Microb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cutting board, cotton glove and deboned meat showed the highest in summer and the lowest in winter during the year. Escherichia coli O157,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ornithinolytica,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Tatumella. ptyseos, Serratia odorifera, Aeromonas sobria, Enterobacter cloacae and Flavimonas oryzihabitans were isolated from carcass surface during slaughter treatments. S. aureus, Listeria grayi and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rom cutting board and L. grayi, Erwinia spp.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cotton glove in cut-meat process environments. Citrobacter freundii,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deboned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