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case study, seismic category I class electrical equipment in NPP was manufactured and a modal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n impact hammer to measur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electrical cabinets, various safety related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internal frame. Therefore, FEM model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local mode is required. To reflect both global and local mode to FEM model, modal testing should be carried out. For implementing the global mode, accelerometers were installed at twenty-eight points of the outline plate edge, and responses for local mode were measured at seven crucial points and compared those results.
Based on the construction plan of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a case study for shear design of horizontal construction joint of transfer plate. Design to resist real shear force was proposed to enhance an efficiency of construction of transfer plate.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details of the durability items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or a certain perio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The lack of competency and lack of institutional skills of participating engineers have been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and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s required.
본 연구는 번 슈미트의 전략적 체험 모듈을 기반으로 한 챗봇 마케팅이 브랜드 강화와 서비스 운영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에 대하여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 챗봇의 CUI(대화형 사용자 인턴페이스)가 제공하 는 체험 기반 서비스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챗봇을 도입, 활용하고자 하는 브랜드 및 유관 기관의 효과적인 서비스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챗봇의 CUI가 제공하는 체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체험 유형들이 서비스 운영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평판이 높은 브랜드의 챗봇에서 나타나는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다섯 가지 체험요소를 분석하였다. Robert K. Yin의 질적연구방법을 근거로 5단계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Bernd Schmitt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토대로 분석 모델을 설계, 챗봇 사례와 CUI 환경의 이용방법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여 전략적 모듈별 체험을 통해 향 후 챗봇 CUI 환경의 체험적 연구와 총체적 체험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금융 분야의 경우 인지와 행동 체험 효과가 높고 감각과 감성 체험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유통 분야에 있어서는 다섯 가지 체험 요소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의료 분야의 경우 관계 체험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이 타 분야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의료 분야의 구조적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서비스 완성도를 위한 노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법률 정보의 접근과 해석, 결론 도출의 특수성을 가진 법률 분야의 경우, 인지 체험 효과가 높고 상대적으로 감성 체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의 감성과 행동에 기능의 초점 을 맞추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경우 관계에 이를수록 모든 체험 요소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분야의 특수성이나 운영 중인 CUI의 완성도에 따라 각 요소의 체험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챗봇 운영을 통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실효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험 마케팅의 다섯 가지 요소를 포괄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총체적 체험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본 사례 연구가 다양한 챗봇 마케팅의 확장을 통한 브랜드 서비스 강화에 있어 효율적 방안 마련의 시사점과 기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종간 유머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사례 분석을 통해 브랜드 전략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이 종간 유머 콜라보레이션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 논문 및 문헌 조사를 통하여 유머와 콜라보레이션의 기본적인 개념과 목적을 분석하고 콜라보레이션 브랜드간 업계 영역을 비교 분석한다.
조사 대상은 30~40대 디자인, 마케팅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례를 통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다. 본 연구자가 직접 전문가를 만나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분석한다. 이종간 유머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의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종간 유머 콜라보레이션 활용은 독특한 차별화와 예상치 못한 유머 요소로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둘째, 문화와 같은 시대적인 흐름을 파악이 중요 하다고 언급하였다. 셋째, 기존의 브랜드가 고유한 특징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불어넣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머와 재미 요소를 접목시킨 콜라보레이션 브랜드는 소비자의 흥미를 자극시키고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예상치 못한 웃음과 즐거움 이라는 단순한 요소는 소비자들에게 새롭게 다가가는 계기가 되고 그 자체로도 이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유머와 흥미를 위한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 가치를 악화시키고 소비자들에 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브랜드간의 철저한 연구가 진행된 후 콜라보레이션이 진행되면 브랜드간의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순히 상품을 판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유머를 파는 개념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접근하게 되면 색다른 충격과 구매욕구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감성과 구매 욕구를 자극 시킬 수 있는 이종간 유머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의 출시 및 연구가 되도록 할 것이다.
Elevated linear parks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the ecological stability, city amenity, cultural opportunity, and health benefits of urban dwellers; these are increasing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 space, linear parks need to be planned to increase the value of green space. This study was aimed at advancing urban planning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value of elevated linear parks, by comparing the Seoullo7017 with the Promenade plantée and the Highlin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green spac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physical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for users, and management systems. Field surveys and virtual to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se park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survey. From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and management in the three linear parks, following important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s of these parks: (a) diversify planting design for increasing the diversity of green space in a narrow area; (b) bring in various forms of amenities to promote the quality of users' experience; and (c) establish community-based management systems for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profit sharing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목적: 한국여자프로골프선수들의 LPGA 투어 환경에 대한 사례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LPGA투어 선수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1:1 형식으로 반구조화된 질문 내용을 통하여 심층면 담과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도출한 자료는 전문가 집단과 함께 귀납적 절차를 사용하여 범주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결과: 투어환경에 나타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은 크게 여섯 가지 항목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하였다. 첫째, 사회적 요인은 투어 중 부모와의 생활에 의해 발생하는 부모와의 갈등, 사생활 노출이 불안 시 되는 매니저와의 생활, 인종차별적인 미디어와의 갈등이 있었다. 둘째, 언어적 요인은 의사전달의 문제가 있었다. 셋째, 개인정서 요인은 타국생활에서 느껴지는 외로움의 문제와 연애고충이 있었다. 넷째, 경기환경 요인은 외국과 한국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의류 스폰서와 소통, 매번 다른 코스 특색, 세계적인 선수들과의 경쟁, 경기 참여시 필요한 장비나 용품들의 운송에 따른 수화물이 있었다. 다섯째, 신체적 요인은 시차적응, 장시간 비행, 외국음식, 항공편으로 이동시 항공기의 결항이나 지연, 연착 등과 같은 항공편 이용이 있었다. 여섯째, 경제적 요인은 여러 국가나 미국의 경우 각 주에 따른 세법의 차이 등에서 발생되는 재정관리가 나타났다. 결론: 투어 환경에 대한 어려움의 6가지 요인으로 선수 개개인 마다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으며 최상의 경기를 위해서는 이러한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 order to collect base line data for setting up bat boxes, we established a total of 30 bat boxes in 2017. The bat boxes were established on the sidewalls of overpass and on the inside of girder bridges. Since establishing bat boxes, we regularly confirmed whether or not they were used; in June 2018, we confirmed that a total of six bat boxes were being used by Pipistrellus abramus and Myotis aurascens. It was confirmed that P. abramus used one bat box each out of five bat boxes, and that many adult females of M. aurascens used a single bat box as a place for maternity roosts. This result is the first use case for setting up bat boxes across the country, and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to build roosts for bats by setting up additional bat boxes in the future.
Since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extreme rainfall events, concerns on flood management have also increased. In order to rapidly recover from flood damages and prevent secondary damages, fast collection and treatment of flood debris are necessary. Therefore, a quick and precise estimation of flood debris generation is a crucial procedure in disaster management. Despite the importance of debris estimation, methodologies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Given the intrinsic heterogeneity of flood debris from local conditions, a regional-scale model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significant damage variables to predict the flood debris generation, 2) to ascertain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and 3)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debris estimation model. The scope of this work is flood events in Ulsan city region during 2008-2016.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test and multicollinearity test, the number of damaged buildings, area of damaged cropland, and length of damaged roads were derived as significant parameters. Key parameters seems to be strongly dependent on regional conditions and not only selected parameters but also coefficients in this study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previous studies. The debris estimation in this study has better accuracy than previous models in nationwide scale.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a regional-scale flood debris estimation model will enhanc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서비스 산업이 중심을 이루던 도시 산업 전반이 서비스 포화로 인한 저성장 시대로 진입하면서 도심을 중심으로 소규모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도시형 소공인 제조 산업이 도시 산업 재생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빠른 속도로 산업 전반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역시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제조업과 AI,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반의 지능정보기술의 결합을 시도하며 이를 핵심으로 하는 도시제조업 중심의 제조업 재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기류와는 달리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도시제조업은 자금, 공간, 인프라, 인력, 기술 및 지식 고도화 부족 등으로 인해 4차 산업 혁명 대응 역량이 낮아 도시 산업 재흥의 성장 동력이 되기에는 총체적인 난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 및 지방정부, 유관 공공기관들의 서울시 도시제조업 지원 정책사례와 해외 사례 연구의 프로토콜 분석 및 고찰을 통해 기존 정책의 문제점과 원인을 살펴보고, 제조와 유통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이를 위한 도시형 소공인 협동조합 구성 등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도시제조업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최근 관광의 중요성이 커지고 관광객의 숫자 또한 증가함에 따라 그 지역을 상징하면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문화상품으로서 관광기념품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홍보 및 관광 여건을 개선하고 경제적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기념품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디자인 측면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의 대상은 대한민국관광기념품 공모전에서 수상한 우수작품으로서 최근 3년간의 수상작을 대상으로 하였다. 디자인 영역별로 살펴보면 제품디자인이 36.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공예디자인의 비중이 23.4%로 크다. 섬유디자인 17.8%와 시각디자인이 13.1%로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을 상징’하는 특징이나 요소를 3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한복의 이미지나 전통 건축물의 형상과 같이 전통의 이미지 요소를 반영한 것이 64%로 나타났으며, 전통적 재료나 제작방법에 의한 것이 22%, 그리고 지역 특성이 반영된 것이 14%로 나타났다. 앞으로 관광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관광기념품을 발굴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관광기념품의 다양성과 고품격화가 필요하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상품 및 디자인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기능성게임은 단순히 재미를 즐기기 위한 수단이 아닌 교육, 의료, 홍보,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별한 목적을 의도로 개발되어 활용된다. 이러한 기능성게임은 일반적인 게임이 가지는 게임성과 함께 특별한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게임성과 효과성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기능성게임의 게임성과 효과성을 살펴보고 우수한 기능성 게임의 모델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상용화되어 서비스 중인 몇몇 기능성게임과 일반게임의 게임성과 효과성을 살펴보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로공공시설물은 사회 전반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 증가와 디자인 역량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잡한 이해관계자 및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가 존재하는 공공디자인의 특성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주변환경과 사용자를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가로공공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관점 및 디자인 방향 변화의 필요성과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여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 CMF,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관점을 재정의하여 설정하였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가로공공시설물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자의 실제 디자인 개발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 연구목표 및 방법 등의 과정을 거쳐 첫째, 형태적 관점에 있어서는 조형의 직접적인 묘사가 아닌 은유적이고 절제된 표현과 시설물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는 과도한 상징을 지양하는것이 필요하며 둘째,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로써의 색채와 재질의 적용이 아닌 설치환경과 시설물의 전체, 부분의 구조적인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색채 및 재질의 계획이 중요하고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시민만이 아닌 설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반복해왔던 획일화된 디자인 관점의 접근에서 벗어나 형태, CMF,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의 복합적인 접근이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가장 중요함을 전체적인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녀에게 적극적으로 베트남어를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베트남어 교육 양상을 알아보고, 베트남어 교육에 필요한 요인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자녀에게 베트남어를 교육하고 있는 네 가족의 부모 8명, 자녀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연구결과 베트남 다문화가족은 각 가정이 처한 상황을 적극 활용해 자녀에게 베트남어를 교육하고 있었다. 베트남어 교육에 필요한 요인은 결혼이민여성, 한국인 가족, 자녀, 사회제도적 요인으로 나 뉘었다. 결혼이민여성 요인은 ‘엄마의 베트남어 교육에 대한 의지와 신념’, ‘베트남어 사용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한국인 가족 요인은 ‘아빠의 지원’, ‘친가가족들의 동의’로, 자녀 요인은 ‘베트남어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한국어 습득에 대한 걱정 해소’, ‘성공적인 학교생활 적응’으로, 사회제도적 요인은 ‘지역사회 기관의 베트남어 수업 개설’, ‘결혼이 민여성의 사회 참여’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가족들이 각자의 상황에 적합한 자원과 요인을 활용하여 자녀 이중언어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개별 가족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나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목을 위한 PBL 수업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나타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공예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으며 1개의 PBL 모듈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전공별, 학년별로 구성되었고 총 7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학습자들이 PBL 과정을 거친 후 작성한 성찰저널과 자기평가, 그리고 학습만족이었다. 성찰저널에서는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협동학습 이해, 관련지식 습득과 적용, 실제 경험과 체험, 자아성찰과 변화된 자신, 그리고 문제해결력 향상의 다섯 가지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고, 학습만족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창의 융합 역량을 위한 PBL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문제의 다각적 분석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 제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학습만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게임을 활용하는 다양한 교육 방안이 수업에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게임기반 학습(GBL) 비율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역사교육 GBL의 실천적 활용을 고취하기 위한 학제연구로 사례분석과 유형분류를 통하여 설계 요구사항과 학습준거, 수업모형을 도출한 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실행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핵심적인 차별화 형식요소는 수업목표에 따라 교육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씬 관리와 역사적 전환 점에 종속되도록 게임 흐름을 통제하는 개념이다. 교육자와 학습자, 교육게임 개발운용책임자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한 반복적 타당성 평가를 통하여 프로토타입을 확정하였다.
2009년 이후 정부 주도로 기능성게임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실현이 잘 안된 이유 중 하나는 정부의 지원이 개별 게임에 대한 지원으로 집중되어 기능성게임이 자랄 수 있는 생태를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페어팩스 카운티의 사례를 통해 기능성게임을 생태의 중심으로 보기보다는, 생태 안에 포함된 하나의 요소로 보고 그에 맞는 전략을 실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기능성게임 생태의 개발을 위해서는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소프트웨어 지원, 그리고 휴먼웨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또한 책임 있는 테크놀로지 사용과 같은 디지털시민교육에 더욱 힘써야 한다. 게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책임 있는 플레이에 대한 교육이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상담관)의 상담성과가 있는 상담 사례를 통해 군상담 의 실제를 경험하고 바른 이해를 돕는다. 연구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다섯 단계로 이뤄졌다. 정기 면담, 추가 면담 녹음한 현장 자료를 연구자가 직접 전사했다. 상담관의 상담성과 경험을 상담자 기법, 태도, 경력과 전문성 중심으로 이야기 했다. 기법은 내담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적절한 개입으로 확인됐다. 태도는 내담자에 무조건적 존중과 공감적 이해, 비언어 사용으로 나타났다. 경력과 전문성은 공식적 교육 과정 후 워크샵 참여, 상담전문가 수퍼비전, 동료 수퍼비전, 지속적 성찰로 전문성을 유지했다. 상담관은 상담과 개인적 특성 통합으로 전문상담자 발달을 이루고, 정체성을 유지하며 상담성과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군상담의 상담 실제를 내러티브 탐구로 다룬 연구의 희소성이 있다. 또한 군상담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인식을 개선하고 상담자 중심으로 연구해 상담관의 질적 측면을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장병의 심리적 안녕과 사고예방에 기여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Asan-si and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to deriv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meal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of the school meal policy in connection with local food.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meal support policy and local food supply policy for nutritionists in two areas.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issues to be improved intensively and the issues to be continuously managed over the medium to long term,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using IPA.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chool meal support policy and local food supply policy, both Asan-si and Hongseong- gun. focused on improving the price and quality of local food.